미래도시의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주제선택이유
1.2개념의 정의
1.2.1 'city'의 정의
1.2.2 'tomorrow'의 정의

2. 본론
2.1연구배경
2.2방법론
2.3연구경향
2.3.1 세계화-도시의 관계 연구
2.3.2 학제간제휴
2.3.3 IGU의 심포지엄 소주제(topic)조사
2.4현재도시의 모습과 문제점
2.4.1 현재도시의 모습
2.4.2 도시의 문제점
2.5미래도시의 전망
2.5.1 미래도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
2.5.2 미래도시의 전망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많은 국가들이 중앙, 지방 차원에서 컨벤션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등의 투자를 통해 국제적 경쟁력을 높여나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컨벤션 산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다음은 2003년 컨벤션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열린 간담회에 관한 기사이다. 미래에는 도시의 컨벤션 산업이 활성화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컨벤션 산업은 첨단정보 수집, 기술교류 등 다양한 목적이 복합된 고부가가치형 산업이다. 컨벤션 참가자 대부분이 여론 지도층이어서 국제회의 개최만으로도 개최 국가나 도시의 대외 위상을 높이는 데 큰 효과가 있다. 또 국제회의와 전시회 스포츠 문화예술행사 등이 함께 개최되면서 부가자치가 커지자 세계 각국은 컨벤션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 국제회의 개최를 위해 지역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도시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획일적인 정책이 아니라 각 도시의 상황에 맞는 개발이 중요하다. 특히 서울시는 컨벤션 산업 발전을 위해 국제기구 유치, 컨벤션 산업 육성을 핵심 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
-김문권 기자, 한국경제 2003년 4월 22일자
3. 결론
지금까지 다양한 조사를 바탕으로 ‘미래도시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연구해보았다. 그동안 우리는 경제적 수치의 환상에 매달려 ‘채움의 번잡함’에 시달려왔다. 우리가 전통적으로 강조하던 비움과 여백의 미는 무리한 성장정책으로 인해 우리의 도시에서 더 이상 찾기 힘들었다. 그래서 우리는 도시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답을 구해보고자 하였다. 처음 이 작업을 하는 것은 다소 힘들었다. 먼저 주제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어디서부터 조사를 해야 할 지 막막하였다. 하지만 주제에 대해 단계적으로 접근을 하니 주제를 다루기가 매우 편했다. 먼저 IGU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이 주제에 대해 개괄적인 이해를 하고 난 뒤, ‘도시’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았다. 의문점에 대해서는 ‘도시 지리학’을 전공의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이자 'Commission on Monitoring cities of Tomorrow'의 회원이신 김인 교수님을 찾아뵈어 설명을 들었다. 교수님을 뵙고 난 뒤, 문제에 대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할지 확신이 들었고 개요를 짜고나니 주제를 대하기가 한결 가벼웠다. 평소의 분량이 적은 레포트를 대하다가 이번 과제를 대하면서 다수의 연구서적과 책을 빌려 훑어보고, 특히나 IGU를 비롯한 한국지리학 협회 등의 웹 페이지를 드나들며 조사를 하니 마치 우리가 ‘학자’가 된 듯한 느낌으로 기분좋게 조사를 할 수 있었다. 조사를 마치고 나니 이 연구가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라는 생각이 든다.
‘미래도시의 전망’이라는 주제를 정하여 이 주제가 학계에서 왜 연구되고 있으며(연구배경), 어떠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으며(방법론), 마지막으로 무엇을 위주로 연구되고 있는지(연구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렇듯 ‘왜(why)’, ‘어떻게(how)’, ‘무엇을(what)’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연구하는 것이 학문에 제대로 접근하는 방식임을 본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총괄적인 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도시의 모습과 문제점에 대해서 조망하고, 이 조사의 궁극적 주제인 미래도시의 전망을 여러 입장으로 분류하여 예측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각 지역 단체에서는 공간적 미래상을 정립하고 도시발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도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친화적 도시, 미래지향적 도시 등은 앞으로의 도시모습을 전망하게끔 해주는 대표적인 표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 지리학’, ‘도시 사회학’, ‘도시 공학’, ‘도시 행정학’ 등 여러 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끊임없이 상호작용 해야 할 것이다.
사람들은 보다 살기 좋은 조건을 갖춘 공간을 찾게 마련이다. 이중환이 ‘택리지’에서 ‘가거지’의 조건으로 생리, 지리, 산수, 인심을 꼽았다는 사실은 고등학교 시절 이미 배워서 잘 알고 있다. 이렇듯 조선시대에 그는 살기 좋은 곳의 조건을 제시하였다. 이는 오늘날에도 적용되는 듯하다. 사람들은 각자 살기 좋은 곳을 찾아 정착하다 보니 조건이 좋은 곳에 모이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는 살기 좋은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오늘날의 도시는 또한 환경, 주택, 교통 등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을 떠안고 있는 모순적 상황에 처해있는 것 같다. 이중환이 그 옛날 제시한 ‘전통적 가거지’의 기준을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면, 우리는 미래도시 환경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국내외 도시와의 협력을 증진시키고, 세계화에 당면한 새로운 과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역동성을 지녀야 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순조로울 때 우리는 살기편한 도시, 아름다운 도시, 활력있는 도시, 세계에 열려있는 도시를 꿈꿀 수 있게 된다.
<참고문헌>
안성호김선태, 미래도시와 환경, 도서출판 다운샘, 2004
하성규 외, 지속가능한 도시론, 보성각, 2003
H.Gleitman, 심리학 입문, 시그마프레스, 1999
P. Hall, 내일의 도시, 한울, 2000
김인, Diversity of Urban Development and Urban Life, 서울대학교 출판사, 2002
이민웅, 저널리즘: 위기변화지속, 나남출판, 2003
http://www.cities-of-tomorrow.com/news/IGUHomepage
http://www.nso.go.kr/newnso/main.html
http://www.naver.com
http://www.igu-net.org/uk/what_is_igu/commissions.html
* 목 차
1. 서론
1.1주제선택이유
1.2개념의 정의
1.2.1 'city'의 정의
1.2.2 'tomorrow'의 정의
2. 본론
2.1연구배경
2.2방법론
2.3연구경향
2.3.1 세계화-도시의 관계 연구
2.3.2 학제간제휴
2.3.3 IGU의 심포지엄 소주제(topic)조사
2.4현재도시의 모습과 문제점
2.4.1 현재도시의 모습
2.4.2 도시의 문제점
2.5미래도시의 전망
2.5.1 미래도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
2.5.2 미래도시의 전망
3.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6.04.1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8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