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평생 교육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1.일본의 평생교육법 개관
2.평생교육법 구조
3.일본의 평생교육행정

<2> 공민관
일본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및 정책
ⅰ.공민관의 설치목적 및 주요 활동 내용
ⅱ.공민관의 설치 및 운영
ⅲ.공민관의 특징
ⅳ.공민관의 프로그램
ⅴ.공민관과 다른 학습시설과의 연계
* 돗토리(鸟贩)시의 공민관 *
ⅰ.돗토리시의 공민관 현황
ⅱ.돗토리시의 공민관 활동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대학에서는 문부성인정 사회통신교육을 실시하는 것 이외에 자체적으로 통신교육과정을 개설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에서의 교육 성과를 직접 사회에 개방하고 지역주민 등에게 질 높은 학습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공개강좌를 실시하고 있다.
★ 초 중 고교 지역사회학교화
일본은 학생들이 학교교육을 통해 평생에 걸쳐 학습을 계속할 수 있는 의욕과 능력을 길러줌과 동시에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 하에 학교교육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학교교육 활동에 참여시키고 있으며, 학교시설 설비를 지역사회에 개방해 나가고 있다.
지역사회의 우수한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초 중 고등학교 교육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특별면허장 제도와 특별 비상근강사제도가 있다. 후자는 교원자격은 갖고 있지 않으나 각종 분야에서 우수한 지식과 기능을 갖춘 사회인을 도, 도, 부, 현 교육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비상근강사로서 활용하는 제도이다. 1997년도 현재 이 제도를 통해 고등학교 5천여명 이상의 지역사회 인사가 교단에 서고 있다. 또한 교육위원회는 고등학교의 교육 기능을 활용하여 개방강좌를 실시하고, 학교의 특별교실, 도서관, 음악실 등을 지역사회에 개방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이와 함께 문부성은 [학교시설정비지침]을 만들어 지역사회 주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여유시설활용지침]을 마련하여 여유교실을 사회교육시설과 스포츠 및 문화시설로 전용하고 지역사회주민의 학습활동에 활용하도록 지방공공단체에 권고하고 있다.
★ 민간단체와의 연계
지방공공단체는 물론 문화센타 등의 민간 사회교육기관도 학습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문부성은 민간사회교육기관 및 단체 관계자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지방공공단체와 [민간영리사회교육사업자단체등사무연락협의회]와 상호 연계하도록 조언하는 등 민간사회교육단체를 건전하게 활성화시키고 있다. 교육행정기관과 민간단체간의 구체적인 연계 협력 추진방식으로는 민간교육기관과의 연계협의, 학습정보제공, 민간교육기관의 인력 교재 시설활용, 강좌시설의 민간교육단체에 위탁, 공민관의 민간교육기관 임대 등의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를 토대로 일본 평생교육의 특성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은 근대적인 교육제도가 형성될 때부터 성인들을 위한 교육 제도를 구축하고 있었다. 대개의 나라들이 근대 이후, 학령기의 학생들을 교육하는 학교 교육 중심으로 교육제도를 구축해왔지만, 일본은 메이지 유신 초기부터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교육 체계를 구축해왔다. 비록 제 2차 세계 대전 전의 일본의 사회교육은 천황제 국가주의를 옹호하는 국민교화사업으로 이루어졌지만, 일본은 사회교육을 사회개화운동의 일환으로 활용하면서 근대적인 사회교육을 일찍이 발전시킬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평생교육은 여가 선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 일본에서 사회교육은 고등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젊은이들에게 학습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보상교육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고등학교 진학률이 90%를 넘어서면서 사회 교육의 교육 내용은 여가 활동을 위한 것이 되었다. 대표적이 사회교육시설인 공민관은 주민들에게 문학, 예술, 음악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서구의 평생교육제도가 직업 교육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본에서 평생학습의 개념은 학교 교육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UNESCO는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평생에 걸친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고 보고, 평생학습의 개념을 제안했다. 그러나, 일본 교육 개혁에서 학교 교육의 한계가 평생교육의 주 배경이었다. 일본 사회는 학력 사회의 병폐 문제를 안고 있다. 펴앵학습은 학교 교육에 대한 지나친 강조를 줄이고, 사회기관의 교육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다.
*참고문헌
관련사이트
1. http://www.monbu.go.jp (문부성 홈페이지)
2. http://www.houko.com(일본 법률 검색 서비스)
3. http://www.javada.or.jp(중앙직업능력개발협회 홈페이지)
4. http://www.japanem.or.kr(주한일본대사관 홈페이지)
① http://www.cia.gov(CIA 홈페이지)
② http://www.japan4u.co.kr(Japan4u)
관련책자
현대세계의 평생교육(지구문화사) - 신해영행
대학 평생교육 국제 비교(지구문화사) - Schuetze, Hans Georg
平生敎育政策論(學文社) - 이양교
김도수(1996). 평생교육사회의 교육제도론. 서울: 교육과학사.
김도수김득영(1998). “일본 평생학습체계화 과정 연구”. 사회교육학연구, 4(1). 177-216.
김득영(1988). 일본사회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득영(1995). 일본 평생교육정책의 변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백종억(1996). 주요국의 교육행정제도. 서울: 교육과학사.
윤정로(1995). “일본의 사회교육과 공민관: 川崎市 시민관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4(4). 183-202.
이규환(1990). 선진국의 교육제도. 서울: 배영사.
이정연(1999). 한국과 일본의 평생교육체제 비교.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정표 외(1998). 주요국의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제도의 연계분석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정표(1999). “일본의 평생학습 평가인정제도의 구축 동향과 시사점”. 사회교육학연구, 5(1). 1-30.
* 목 차
<1>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1.일본의 평생교육법 개관
2.평생교육법 구조
3.일본의 평생교육행정
<2> 공민관
일본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및 정책
ⅰ.공민관의 설치목적 및 주요 활동 내용
ⅱ.공민관의 설치 및 운영
ⅲ.공민관의 특징
ⅳ.공민관의 프로그램
ⅴ.공민관과 다른 학습시설과의 연계
* 돗토리()시의 공민관 *
ⅰ.돗토리시의 공민관 현황
ⅱ.돗토리시의 공민관 활동
<3> 결론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6.04.1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