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대학입시전형의 특징과 문제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 대학입시전형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행입시제도
1) 7차 교육과정의 편제와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2)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의 활용 계획
3) 학교생활기록부 - 학교 내신 성적

2. 입시제도의 문제점
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점
(1)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찬반론
(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점
2) 학교생활기록부 적용의 문제
3) 고교 교육에 미치는 문제점
4) 사회적인 문제점

본문내용

의 개인적 특성을 살리는 교육에 장애가 되고 있다.
③ 학교생활기록부의 적용은 오히려 사교육을 조장하게 된다. 생활기록부의 적용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이론 교육을 비롯한 모든 활동(음악, 체육, 미술 등)은 모두 대학 입시를 위한 하나의 점수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이들 교과에 대한 보충학습을 위해 학원이나 과외 등의 수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는 주요 교과뿐만 아니라 기타 교과의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지만 이들 교육이 대학 입시를 위한 점수 불리기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3) 고교 교육에 미치는 문제점
① 고등학교 교육의 황폐화 - 그 동안의 대학입학 전형제도는 학교 교육과정을 도외시한 선발방식을 고수하여 진로와 적성을 무시하는 맹목적인 진학열을 조장해 왔다는 책임을 면할 수 없다.
② 학교에서 대학진학 희망자들에 대한 진학지도는 적성과 취미를 살리고 능력과 자질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는 학과에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 원칙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대입전형에 따른 진학지도는 대부분 수능시험에 대비한 훈련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일부 예체능 계열의 학생에게만 적성을 살린 교육이 행해지고 있다. 이 것마저도 학교에서는 충당할 수 없어,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즉 현행 대학 입시제도에서는 수학 능력 시험의 총점성적이 곧 학생의 능력이고 적성이라는 잘못된 관념에 사로 잡혀 있다.
③ 고등학교 교육의 대학입학전형제도에 대한 타율성이 심화되고 교육의 비정상화를 초래되었다. 고등학교는 대학입시 준비기관으로 전락하였으며 좋은 대학에 학생들을 많이 입학시키는 것이 고등학교의 목표가 되어버린 실정이다. 실제로 고등학교 고 3 교사는 학생의 특기나 적성에 관계없이 점수에 따라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을 최고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학교에서는 자체적으로 좋은 학교에 많이 보낸 교사를 표창함으로써 교사들의 ‘좋은 대학 보내기’ 노력을 부추기고 있다.
④ 지식의 습득과 문제풀이로만 진행되는 학교교육은 입시위주의 지식교육 편중으로 도덕교육이나 인간교육 측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사회적인 문제점
① 가계의 대학입학 준비비용을 과다지출 시켰으며, 사회적 위화감을 증폭시켰다. 특히 학부모는 여전히 과열 고액과외의 우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큰 문제이다.
② 맹목적인 상급학교 진학열을 조장하여 사회통합과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인력개발의 불균형을 초래하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06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