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방송이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디지털방송이란?

2. 디지털방송의 특징과 방식.

3. 디지털방송의 탄생과 변천.

4. 디지털TV.

5. 지상파, 케이블, 위성방송

6. 디지털방송의 미국과 유럽의 장단점.

7. EPG System

본문내용

신호에서 EPG 정보는 별도로 분리해서 시청자가 원할 때 TV 상에서 보여주는 것이다.
디지털 방송의 표준은 MPEG2 이다. 방송 Stream에 여러 가지 정보 테이블을 함께 얹어서 송출 할 수 있다. 이 때 EPG에 해당하는 테이블은 EXT 테이블 또는 EIT 테이블 이다.
이러한 방송 스트림을 시청자의 집에서 수신한 다음, 게이블 셋톱박스나 위성 셋톱박스 같은 별도의 셋톱박스에서 순수 방송영상과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분리한다.
순수한 방송영상은 TV로 바로 보내지고, 별도의 부가데이터는 셋톱박스내의 메모리 등에 저장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를 시청자는 리모컨으로 EPG를 조작해, 당일은 물론이고 약 1주일 후에 어느 방송국에서 어떤 방송프로그램을 방영하는지 등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프로그램 이름을 지정하면 일람표보다도 더욱 상세한 프로그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서비스에 따라서는 EPG의 화면으로부터 프로그램 이름을 지정해 예약녹화도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이미 80년대부터 라는 회사에서 아날로그 방송에서도 TV가이드 채널을 운영했고, EPG서비스 사업에 가장 먼저 뛰어든 곳은 미국 벤처기업인 Gemstar international, 덴쓰, 그리고 신문, 잡지 등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도쿄뉴스통신사 등으로 구성된 그룹이다.
EPG사업자는 여러 PP로부터 예고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관련정보를 받아 주제별, 시간대별, 시청자 특성별로 구분해 실시간으로 뿌려준다. 그만큼 채널정보를 얻기가 쉬워진다.
EPG는 방송위성(BS) 디지털방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8.24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0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