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 분석및 비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길동전 분석및 비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홍길동전」에 반영된 작가 허균과 조선의 17세기
2. 실존인물로서의 홍길동
3. 인물연구
4. 「홍길동전」의 주제와 율도국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사회에 저항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이후 홍길동이 새로운 이상향을 찾아 율도국으로 건너간다는 것을 대부분의 해석은 해외진출 사상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조금 다르게 해석한다면 그것은 위에서 말했듯이 하나의 도피처에 불과했다. 홍길동은 그의 능력이라면 조선의 왕이 되고도 남음을 알고 있다. 하지만 굳이 그렇게 하지 않고 또 다른 세계를 찾은 것은 조선이라는 땅에서는 그가 바라는 이상향을 실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홍길동이 왕이 된다 하더라도 조선 관리의 특성상 부정부패는 반복될 것이 자명함을 알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꿈을 표출할 공간을 국외로 잡은 것이다. 결국 홍길동은 율도국에서 평화롭게 백성을 다스리다가 천수를 다하고 소설은 끝이 난다.
Ⅲ. 결론
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홍길동을 접하게 된다. 은행창구에서도 구청에서도 어느 서류에건 예로 들어있는 서류는 이름란이 모두 홍길동으로 채워져있다. 이러한 홍길동은 인간의 고유명사인 이름을 대표하는 단어로 굳어졌다. 그러다 우리는 무의식중에 이 범상치 않은 인물 홍길동을 평범한 사람으로 인식해버렸다. 하지만 홍길동은 실존 인물로서도 소설 속에서도 절대 범상한 인물이 아니다.
나는 「홍길동전」의 홍길동이 실존 인물이었던 홍길동을 모델로 재해석한 인물이라는 가정을 세워봤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어느 학자의 의견으로 실제 홍길동은 전남 장성에서 홍상직의 서자로 태어나 의적활동을 하다가 1500년에 체포되어 의금부에서 취조를 받았지만 유배 후에 탈출하여 일본 오키나와까지 진출하여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그렇기에 한국의 홍길동과 일본의 오키나와 팔중산의 민중 영웅 오야케 아까하치 홍가와라가 동인인물이라는 설 <홍길동의 삶과 홍길동전> 中 317p
도 있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허균의 홍길동은 실존인물의 삶과 유사한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있다.
그 주장이 사실이든 아니면 단순한 추측이든 어떠한 관점에서 본다 해도 홍길동이 민중 영웅임에는 변함이 없다.
※참고자료
1. 「홍길동전」경판 24장본
2. 「홍길동전」완판 36장본
3. <홍길동의 삶과 홍길동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설성경 지음 2002년 4월 30일 초판발행
4. <한국 고소설의 자료와 해석> 아세아문화사
이영빈 지음 2001년 10월 31일 초판발행
5. <고소설의 사적전개와 문학적지향> 도서출판 보고사
김흥국 발행 2000년 3월 10일 초판발행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09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