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FTA체결에 따른 문화관광산업의 기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일 FTA
1) 한일 FTA 전개 과정 및 기본 방향
2) 한일 FTA의 분석
2. 한일 FTA와 문화관광산업의 기회
1) FTA 예상 이슈 및 전망
가. 관세
나. 투자소유
다. 독점/수량제한
라. 저작권
2) 한일 문화관광산업
가. 문화산업
나. 관광산업
3) 일본 대중문화 개방 영향
4) 일본 관광산업 개방 영향

Ⅲ. 결론

본문내용

체 방문객수에서 전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미주나 구주 대륙의 총 방문객 수보다도 훨씬 많은 수가 방문 하고 있다.
05년 초 교과서, 독도 문제등 양국간 첨예한 문제들로 인하여 방문객수가 주춤한 가운데에도 ‘2005년 한일 공동방문의 해’를 통해 정부의 지속적 사업지원과 한류문화의 바람을 타고서 양국간 인적교류 확대 기반을 조성하고자하는 노력으로 위와 같은 결실을 맺게 되었는데 위의 방문객 중 95%이상이 관광을 목적으로 방문한 것으로 앞으로 한국의 관관산업 영향에 일본의 비중이 얼마나 높은지 알 수 있는 한 면이다. 문화관광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5", 2005, 09, 01
하지만 우리나라 관광 산업은 JTB 등 세계적인 초대형 여행사들이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투어를 진행하는 일본의 관광 산업에 비해 큰 회사들도 영세한 편이라 랜드에 하청을 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투자를 통해 해외에 많은 관광지에 지분을 확보해 일본인이 돈을 쓰더라도 결국은 일본의 대외 자산이 되도록 만든 것도 많고 투어자체가 매우 세분화 되고 구체화 되어 있는 일본에 비해 한국은 아직 그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등 일본에 비해 많이 열악한 환경구조를 가지고 있다. 네이버 지식 IN, "일본 관광산업"에 대한 질문의 답변 중, 03년 11월
하지만 FTA를 통해 한국, 일본간 관광 서비스 산업에 대해 협정이 체결이 되면 우리나라는 일본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 남기위해 구조적 조정을 통한 경쟁력 강화와 원활한 관광객 이동과 그에 따른 서비스 경쟁 등으로 관광 인구의 증대와 서비스 질의 향상으로 인한 관광 수입의 차이를(표8.) 극복해 나가기 위해 노력 할 것이다.
Ⅲ. 결론
일본은 일찍이 OECD에 가입한 선진국이며, 1억 2천의 거대한 내수시장과 높은 경제수준을 지닌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다. 우리에 비해 수준 높은 기초기술과 연구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모방하기 어려운 강력한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 그러한 일본이 한국과 인접해 있어 우리의 3위의 교역상대국이자 투자국으로서 긴밀한 경제관계를 지속하고 있다.
여기에 나타난 서비스 산업만 하더라도 2000년 일본은 한국의 제2위의 서비스 수출시장(7,155백 만불)이며 한국은 일본의 제6위의 서비스수출시장(3,398백 만불)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일본이라는 역사적 특수성 등으로 인하여 FTA필요성을 공감하면서도 반대의견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 주변정세를 살펴보면 일본과 ASEAN이 2005년 FTA 협상을 개시하였고 중국-ASEAN은 2010년에 FTA를 체결하기로 합의하는 등 우리를 둘러싼 아시아 역내 주변국의 움직임은 재빠르다. 그런데 역설적이긴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을 촉발시킨 것은 다름아닌 한일 FTA라는 사실에 주의를 해야 한다. 즉, 한일 FTA가 그간 전세계적 FTA논의에서 비껴있었던 한중일 3국간 균형을 깨트리기 시작했고 그 연쇄반응이 이제 거침없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대외경제 정책연구원(KIEP), 김양희 일본팀장(세계지역연구센터)
, “한일 FTA 산관학 공동연구회’의 중간평가와 향후과제”, 2003. 04. 29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한국이 경쟁력을 갖춰 나가기 위해서는 WTO협정보다 자유화 범위를 더 확대시키는 한일 FTA가 양국에게 공히 이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문화, 관광, 서비스산업 역시 예외 일수 없다.
한일 FTA를 통하여 다양한 문화적 컨텐츠와 보다 체계적인 관광 산업을 지닌 일본과의 FTA는 한류라는 아시아의 큰 문화 영향을 끼치는 무기를 가지고도 발전을 못시키는 우리에게 문화적으로 다양성과 세밀함을 제공해 준다. 또한 그것이 문화 수출국으로서 더욱더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나게 해준다.
관광, 서비스 산업은 단일화 되었는 단순한 관광 시스템의 틀을 벗어나게 해줌으로서 경쟁을 통한 관광, 서비스 산업에 세분화 업무 시스템과 업종의 다양성으로 관광산업에 있어서 한 걸음 도약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즉 결론적으로 한일 FTA는 앞서(본론)나타난 것처럼 우리에게 실보다는 득이 많다는 걸 알 수가 있고 무한한 경쟁을 하고 있는 현제 국제 흐름 속에서 우리에게 또 하나의 경쟁력을 가져다주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보고서]
1. 대외경제 정책연구원(KIEP), 김양희 일본팀장(세계지역연구센터)
, “한일 FTA 산관학 공동연구회’의 중간평가와 향후과제”, 2003. 04. 29
2. 대외경제 정책연구원(KIEP) 무역투자정책실, 손찬현 선임연구위원
, “한일 자유무역협정(FTA)의 구상: 평가와 전망”, 1~4p, 2000. 05
3. 문화관광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5”, 2005. 09. 01
4. 문화관광정책연구원, 조현성 책임연구원 외 5명
, “일본 대중문화 개방영향 분석 및 대응방안”, 19~51p, 2003. 12.
5. 문화관광정책연구원, 채지영 책임연구원 외 5명
, “일본 내 한국 문화상품의 유통실태 분석”, 10~12p, 2004. 12.
6. 삼성경제연구소, 김휴종 수석 연구원
, “문화산업의 한중일 협력방안”, 346p, 2000. 11. 01
7. 삼성경제연구소, 심상민 수석 연구원, “한국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긴급제언”
, 4~5p, CEO Information 2002. 8. 14 (제361호)
8. 삼성경제연구원, 이안재 수석연구원, “한일 FTA와 문화산업의 기회”, 3p, 2004. 12. 01
9. 외교통상부. 윤덕민, “21세기 일본의 대외정책 평가-새로운 대일정책 모색”, 2001. 05
10. 외교통상부, “한일 FTA협상 제6차 회의결과” 보고서
[통계자료]
1.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외래객 입국 현황 통계
2. 문화관광부, “2006년 8월 출입국동향”
3. 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5년 한국관광동향”
4. 한국관광공사, 세계관광통계
5. 한국관광공사, 2005년 12월 관광수지통계, 시장조사팀, 2006. 01. 26
[인터넷]
1. 네이버 지식IN, "일본 관광산업"에 대한 질문의 답변 중, 2003. 11(http://kin.naver.com)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1.25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5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