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역전적 담론 유형과 그 특성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역전적 담론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리말

2.북한 국가사회주의의 보편성과 특수성

3.북한의 역전적 담론의 유형

4.북한의 역적적 담론의 특성

5.맺음말

본문내용

요소 즉 물리력과 헤게모니를 모두 갖춘 매우 강력한 사회주의적 중심주의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불교와 유교 등 한반도에 수용된 모든 문명의 운명처럼 소련의 사회주의적 근대 문명도 토착화의 수순을 밟게 된다.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조선화와 조선의 마르크스-레닌주의화가 교차하는 가운데 소련과 차별성이 있는 독자적인 북한식 국가사회주의체제가 성립 발전해 나간 것이다. 이 과정에는 물론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각종 유형의 역전적 담론들이 활용됐다. 아무래도 소련의 사회주의적 중심주의가 매우 강력하게 동화력을 발휘했던 시기에는 소련의 용어나 이론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역전의 효과를 꾀하는 전략이 시도됐다. 이후 소련의 용어나 이론을 수정하는 단계를 지나 결국 북한만의 독자적인 용어와 이론을 개진하며 스스로의 체제가 사회주의적 중심주의에 대해 독자적이고 우월하며 심지어 보편적이기까지 하다는 점을 주장하기에 이른다. 즉 북한은 각종 유형의 역전적 담론을 통해 소련의 사회주의적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북한식의 중심주의를 구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이 꼭 시계열적으로 진행된 것만은 아니고 , 대체적인 경향성이 그렇다는 것일 뿐이다.
그러나 북한이 구성한 중심주의는 사실 허구적인 측면이 강한 중심주의였다. 즉 김일성 수령이 북한 체제의 중심이고, 또 김일성 수령을 중심으로 하는 그 체제는 민족과 세계, 문명의 중심으로 강변됐다. 이같은 구조의 중심주의는 당연히 현실과의 괴리가 매우 큰 것이었고, 그런 점에서 대내 인민들을 규율하며 동원하는 관변 옥시덴탈리즘의 성격이 강한 것이었다. 북한 인민들이 이처럼 허구적인 북한 중심주의를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했는가의 문제는 앞으로 검토할 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끝)
(참고문헌)
1.북한 자료
(1)전집류
『김일성저작잡9』(평양: 노동당출판사, 1979)
『김일성저작집14』(평양: 노동당출판사, 1981)
(2)논문
김일성, “사상사업에서 교조주의와 형식주의를 퇴치하고 주체를 확립할 데 대하여”(1955,12), 『김일성 저작집9』(평양: 조선노동당 출판사, 1979)
김일성, “조선 인민의 민족적 명절 8.15 해방 15돐 경축 대회에서 한 보고”(1960.8.14), 『김일성저작집14』(평양: 노동당출판사, 1981)
(3)남한출판자료
『북한의 민족주의 선전자료집』(서울: 국가안전기획부, 1995)
2.연구논저
(1)단행본과 번역문헌
강정인,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서울: 아카넷, 2004)
개번 맥코맥 지음, 박성준 옮김, 『범죄국가, 북한 그리고 미국』(서울: 이카루스미디어, 2006)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 『북한 문화, 둘이면서 하나인 문화』(서울: 한울, 2006)
구갑우, “북한연구와 비교사회주의 방법론”,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엮음,『북한연구방법론』(서울: 한울, 2003)
길영환 지음, 이원웅 옮김, 『남북한 비교정치론』(서울: 대맥사, 1988)
김경일 외 지음, 『우리안의 보편성-학문 주체화의 새로운 모색』(서울: 한울, 2006)
김광운, 『북한정치사연구1』(서울: 선인, 2003)
김세균외, 『북한체제의 변화와 한반도 국제정치』(서울: 서울대 출판부, 2006)
박형중, 『북한적 현상의 연구-북한 사회주의 건설의 정치경제학』(서울: 연구사, 1994)
박호성,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한반도 민족주의를 위하여』(서울: 당대, 1997)
보흐단 나할일로, 빅토르 스보보다 공저, 정옥경 옮김, 『러시아 민족문제의 역사』(서울: 신아사, 2002)
브루스 커밍스 지음, 김동노 옮김,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서울: 창작과 비평사, 2001)
샤오메이 천 지음, 정진배김정아 옮김, 『옥시덴탈리즘』(서울: 강, 2001)
서동만,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1945-1961』(서울: 선인, 2005)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타 엮음,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파주: 한울, 2006)
스즈키 마사유키 지음, 유영구 옮김,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서울: 중앙일보사, 1994)
오쿠무라 사토시 지음, 박선영 옮김, 『새롭게 쓴 중국 현대사-전쟁과 사회주의의 변주곡』(서울: 소나무, 2001)
와다 하루키 지음, 서동만 남기정 옮김, 『북조선-유격대 국가에서 정규군 국가로』(서울: 돌벼개, 2002)
이성시 지음, 박경희 옮김, 『만들어진 고대』(서울: 삼인, 2000)
이태준, 『소련기행』(백양당, 1947)
임지현, 『그대들의 자유, 우리들의 자유-폴란드 민족해방운동사』(서울: 아카넷, 2000)
제인 포털 지음, 권오열 옮김, 『통제하의 북한 예술』(서울: 길산, 2005)
황장엽,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서울: 한울, 1999)
(2)논문
김양수, “1940년대 중국문학의 민족형식론 연구”, 성균관대 박사학위 논문(1994)
김연철, “집권적 농업체제의 개혁-쿠바의 농업개혁이 북한에 주는 시사점”, 『현대북한연구』5권 2호(2002)
김영수, “북한의 체제 이데올로기와 내셔널리즘”, 김영작 엮음, 『한국 내셔널리즘의 전개와 글로벌리즘』(서울: 백산서당, 2006)
김영수, “북한지역의 정치적 동태와 소군정”, 『한국현대사의 재인식1-해방정국과 미소군정』(서울: 오름, 1998)
김학일, “1960년 전후 북한 문단의 민족적 특성 담론 연구-민족적 특성의 창출과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경남대 북한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05)
박계리, “전통관의 변화와 북한의 조선화 정책”, 『문화정책논총』제13집(2001)
박영자, “북한 중앙국가기관 특성과 체제 운영 실태: ‘민주집중제’와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한 비교사회주의”, 『동아연구』49집, 2005
백학순, “북한의 국가형성에 있어서 김일성의 자율성 문제”, 『한국정치학회보』28집 2호, 1994
정대일, “북한의 공민종교-주체사회주의의 기원, 형성,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36집(2003)
(3)외국문헌
Gi-Wook Shin, Ethic Nationalism in Korea, Standford University Press, 2006
3.신문류
『한국일보』2006년 12월 7일
『문화일보』2006년 11월 27일

키워드

북한,   특성,   담론,   사회주의,   보편성,   특수성,   역적적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2.12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