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발][경력개발 제도][나이키 사례]경력개발과 경력개발 제도 및 나이키의 사례(경력개발 정의, 경력개발 역사, 조직 경력개발의 발전, 다운사이징 조직에서의 경력개발, 나이키의 경력개발제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력개발][경력개발 제도][나이키 사례]경력개발과 경력개발 제도 및 나이키의 사례(경력개발 정의, 경력개발 역사, 조직 경력개발의 발전, 다운사이징 조직에서의 경력개발, 나이키의 경력개발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경력개발의 정의

Ⅲ. 경력개발의 역사

Ⅳ. 변화하는 조직과 경력발달의 새로운 개념들

Ⅴ. 조직에서 경력개발의 발전
1. 진입 단계
2. 초기 경력 단계
3. 중기 경력
4. 후기 경력

Ⅵ. 다운사이징 조직에서의 경력개발
1. 미래의 조직변화와 경력개발에 대한 시사점
2. 다운사이징 시대의 경력개발형태
1) 다양한 능력의 개발
2) 퇴직자관리프로그램(Outplacement program)
3) 다운사이징 시대의 재교육
4) 내부배치
3. 국내기업에 대한 시사점

Ⅶ. 나이키의 경력개발제도
1. Right People-Right Place-Right Time
2. HRP의 단계를 통해 우수 인력자원 유지
3. 직원 개개인에 대한 평가
4. 미래에 대한 대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된다.
3. 직원 개개인에 대한 평가
직원 개개인의 업무성취도, 잠재능력, 재능, 관심분야 등을 평가한다. 나이키에서는 ‘Coaching For Excellence\'로 불리는 인사고과제도가 이를 위한 주된 수단이다.
평가는 연간 2회가 있는데 연중 1회의 평가는 직원의 개발이나 발전을 위한 성격에 가깝고 회계연도말의 평가가 공식적인 인사고과자료로 이용된다.
개인의 분석은 크게 5가지로 나뉘어진다.
①업무성취도 : Excels, Achieves, Needs Improvement의 3단계 평가척도를 사용한다.
②잠재능력평가 : High, Good, Core, Questionable의 4가지 단계로 평가하며 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하기 위해 과거의 평정자료, 업무능력, 적성 등을 참고 자료로 하고 있다.
③재능: 직무 및 교육경력 등으로 평가한다.
④관심분야: 직원의 관심분야를 반영하는 것이며 지역적 이동가능성 등도 파악한다.
⑤개발게획: 직원이 필요로 하는 훈련 및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다음 인사이동을 위한 자료로도 파악된다.
4. 미래에 대한 대비
신규사업 계획이나 장단기적인 예측에 따른 직무, 임원 및 필요스킬 후계자 계획 등을 수립한다.
이상과 같은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경력개발제도는 실제로 나이키가 우수한 인력자원을 유지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Ⅷ. 결론
경력개발제도는 경력개발의 개념을 조직의 인재육성을 위해 제도화시켜 놓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력개발제도는 개인의 입사로부터 퇴직까지의 경력경로를 개인과 조직이 함께 설계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관리해 나가는 종합적 인적자원 개발시스템을 말한다. 경력개발제도의 목표는 개인의 성장 욕구를 충족하고 동시에 조직의 인적자원 개발을 극대화시켜 개인욕구(individual needs)와 조직욕구(organizational needs)를 조화시키는 데 있다(Schein, 1977; 1978).
경력개발제도는 경력관리 시스템과 경력관리 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된다(London & Stumpf, 1982). 경력개발제도는 조직구성원 본인을 통해 개인적 관점을 제도에 반영하고, 조직의 경영전략과 인적자원계획을 경력관리에 연계시키며, 개인과 조직을 연결해 주는 연결고리로서 상사를 상정하고 있다.
경력개발제도는 그 운영상 종업원 본인(individual)을 출발점으로 한다. 조직의 각 개인은 자신이 누구인지(Who am I)를 객관적 자료를 가지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기진단(self-assessment)을 한 다음 본인에게 맞는 경력경로를 스스로 계획한다. 그리고 자신이 조직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경력열망(career aspiration)을 자기계발을 통해 부단히 가꾸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London, 1983; London& Stumpf, 1982).
참고문헌
김흥국 (1995), 한국기업 경력개발제도의 조건 분석, 『인사관리연구』, 제 19 집, pp.223-258.
배성현(1997), 조직사회화 전략과 결과변수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제21집 제1권, 179-210.
이진규최종인(1998), 미래조직의 경력관리: 다중경력 패러다임, 「인사조직연구」, 제5권 제3호, 167-208.
탁진국(1993). 경력개발지향적 조직으로의 변화.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6, 129-142.
탁진국(1998). 다운사이징 조직에서의 경력개발. 1998년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33-53.
Burack, E.H., & Mathys, N.J. (1980), Career management in organizations: a practical human resource planning approach, Lake Forest, IL: Brace-Park.
Californi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1977), Program evaluators guide. Sacramento, CA: Californi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Dowd, J.J., & Sonnenfeld, J.A. (1984), A note on career programs in industry, in J.A. Sonnenfeld (Ed.,) Managing career systems, Homewood, IL: Irwin, pp. 318-328.
Farren, C., & Kaye, B.L. (1996), New skills for new leadership roles, in F. Hesselbein, M. Goldsmith, & R. Beckard (Eds.), The leader of the future,San Francisco: Jossey-Bass, pp. 175-188.
Feldman, D.C. (1988), Managing career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resman.
Graddick, M.M. (1988), Corporate philosophies of employee development, in M. London, & E.M. Mone (Eds.), Career growth and human resource strategies, New York: Quorum, pp. 99-109.
Gutteridge, T.G., Leibowitz, Z.B., & Shore, J.E. (1993), Organizational career develop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Hall, D.T. (1976), Careers in organizations, Glenview, IL: Scott Foresman.
Hall, D.T. (1996), Implications: the new role of the career practioner, in D.T. Hall, & associates, The career is dead-long live the career: a relational approach to careers, San Francisco: Jossey-Bass, pp. 314-336.

추천자료

  • 가격7,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6.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