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적소그룹을 장으로 하는 청소년기독교교육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소그룹의 개념 이해
1. 성서신학적 이해
2. 초대교회의 이해
3. 교회사적 이해
4. 현대교회의 이해
5. 기독교교육적 이해

Ⅲ. 전인적 소그룹을 장으로 한 청소년기독교교육
1. 전인적 소그룹의 개념 이해
2. 청소년교회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1) 청소년사역 현장에 대한 재조명
2) 청소년교회교육의 교육형태에 대한 재조명
3. 전인적 소그룹을 장으로 한 청소년기독교교육
1) 전인적 소그룹을 장으로 한 청소년기독교육의 목적
2) 전인적 소그룹을 장으로 한 청소년기독교육의 내용
3) 전인적 소그룹을 장으로 한 청소년기독교육의 방법
4) 전인적 소그룹을 장으로 한 청소년기독교육의 평가
4. 효과적인 전인적 소그룹 형성을 위한 전략적 구상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형태로 존재하는 소그룹의 유형과 그 효과성에 대한 실천적 연구의 아쉬움, 그리고 성인교육과 유기적으로는 연관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별되어야 하는 부분을 전인적 소그룹의 영역 안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의 한계를 들 수 있겠다.
김청봉의 말처럼 청소년사역은 청소년들에 대한 현재의 사역이다. 청소년들은 교회와 성인 회중의 부속물이 아니라 성인과 함께 현재 교회에 발붙이고 사는 완전하고 떳떳한 일원이다. 그들은 성인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요, 하나님의 사랑의 대상이다. 그러므로 그들의 이름은 ‘내일’이 아니라 ‘오늘’이다. 오늘이 건강하지 않고는 내일이 건강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바라기는 전인적 소그룹을 중심으로 한 오늘의 건강한 청소년기독교육을 위해 좀 더 깊이 있고 실천적이고 다양한 연구들이 있길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강희천. 『기독교교육사상』.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1.
강희천.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강희천. 『종교심리와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고용수. 『기독교교육론』. 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5.
강희천. “신앙공동체 중심교육론.” 『신학논단』제8집(1992).
강희천. “현대 기독교교육사상.” 양금희 외 6,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 육연구원, 2006.
김덕수. 『셀교회 전환과 셀리더 세우기』. 서울: 도서출판 NCD, 2002.
김영호. 『교회교육방법론』. 서울: 종로서적, 1985.
김청봉. “건강한 청소년교육을 위한 모델.” 『신학과 현장』제11집 (2001).
김희자. 『기독교 청소년교육』.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5.
박상진.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7.
강희천. “기독교육의 장-어디에서 교육하는가?” 양금희 외 6,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장로회신학 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박영철. “21세기와 복음주의 신학교육.” 『성경과 신학』. 서울: 횃불, 1997.
강희천. “셀교회의 세 가지 정신.” 『복음과 실천』제21집(1998).
사미자. “신앙발달과 교수방법.” 『기독교교육연구』제7권 제2집(1996).
설은주. “공동체적 기독교교육론.” 김현진, 『공동체신학』.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98.
은준관. 『기독교교육현장론』.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8.
강희천. 『교사의 교육신학』. 서울: 종로서적, 1988.
강희천. “주일교회학교 교육에 관한 연구” 『연세교육과학』27집 (1985).
강희천. 『어떻게?-기독교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서울: 감신대한국선교교육연구원, 1976.
이숙경. “한국 기독교 교육의 공동체적 접근에서의 문화적 한계.” 『신학과 선교』제2호(1998).
임창복. “기독교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양금희외 6,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장신근. “한국에서의 기독교교육과 기독교교육학” 양금희외 6,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장로회신 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2006.
정웅섭. 『현대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법』.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정웅섭, 오인탁, 정우현. 『한국교회학교교육실태조사』. 서울: 한국기독교교육연구원, 1980.
채이석, 이상화. 『건강한 소그룹 목회 컨설팅』. 서울: 기독신문사, 2001.
한미라. “교회교육의 규모와 과제.” 『기독교교육정보』제13집(2006).
Black, Wesley. An Introduction to Youth Ministry. Nashville, Tennessee: Broadman Press, 1991.
Donahue, Bill. Robinson, Russ. 오태균 역.『소그룹 중심의 교회를 세우라』. 서울: 국제제자 훈련원, 2004.
George, Carl F. 김원주 역.『성장하는 미래교회 메타교회』. 서울: 요단출판사, 1997.
George, Carl 외 5. 한국 소그룹목회연구원 역. 『소그룹사역의 새로운 방향』. 서울: 소그룹 하우스, 2004.
Green, M. Evangelism in the Early Church . Hodder & Stoughton, London, 1971.
Groome, Thomas H.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San Francisco: Harper & Row, 1980.
Harris, Maria. 고용수 역. 『교육목회 커리큘럼』.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Icenogle, Gareth Weldon. 안영권, 김선일 역.『왜 소그룹으로 모여야 하는가-소그룹 운동과 공동체 사역을 위한 성경적 근거』. 서울: 옥토, 1997.
Khong, Lawerence. 최봉실 역. 『신사도적 셀교회』. 서울: 한국강해설교 출판부, 2001.
MacNair, D. J. The Practices of a Healthy Church Life and Ministry. New Jersey: Publishing, 1999.
Mallison, John. 신재구 역.『생동감있는 소그룹 매뉴얼』. 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2005.
Neighbour, Ralph W. Jr. 정진우 역. 『셀교회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NCD, 2003.
Nelson, C. E. Where Faith Begins. Atlanta: John Knox Press, 1971.
Richards, L. O. A Theology of Christian Education. Michigan: The Zondervan Co, 1978.
Schwarz, Christian A. 정진우 외 3 역. 『자연적 교회 성장』. 서울: 도서출판 NCD, 1999.
Sweet, Leonard. 김영래 역.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는 미래 교회』. 서울: 좋은 씨앗, 2002.
Westerhoff Ⅲ(ed), J. H. 김재은 역. 『기독교교육논총』.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8.
http://ygmd.jiguchon.org
  • 가격3,5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7.06.1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54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