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복지제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복지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청소년복지 제도의 발달
1. 청소년복지 제도의 개념
2. 청소년복지 제도의 발달

Ⅱ. 청소년복지 관련 기관 및 조직
1. 청소년복지 관련 조정기관
2. 청소년복지 관련 행정기관
3. 청소년복지 관련 연구기관

Ⅲ. 청소년복지 관련 재정
1. 청소년 재정 현황
2. 청소년육성기금 지원 및 조성현황

Ⅳ.청소년복지 관련 단체 및 시설과 전문인력
1. 청소년복지 관련 단체 및 시설
2. 청소년복지 관련 전문인력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창군)
▷ 공공청소년 수련시설 지원계획(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국 고
개소수
금 액
청소년수련관
27
21,255
청소년문화의집
11
4,116
청소년야영장
6
3,240
청소년유스호스텔
2
2,899
여가문화시설
8
1,390
공공시설 개보수
21
3,102
공 부 방
328
1,641

403
37,643
2. 청소년복지 관련 전문인력
청소년복지 관련 전문 인력은 청소년복지와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격을 갖춘 사람을 말한다. 현재 청소년복지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는 크게 나누자면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상담사, 사회복지사가 있다. 청소년이 갖고 있는 욕구의 수준과 문제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청소년 복지 관련 전문 인력은 청소년에 대한 전문지식과 지도기법 및 자질을 갖추고 인접 전문가들과 협력하는 방법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1)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 관련분양의 경력ㆍ기타 자격을 갖추고 자격검정에 합격하고 소정의 연수를 마친 자에게 부여하는 국가자격증이다. 청소년지도사는 청소년수련활동을 전담하여 학생, 근로, 복무, 무직청소년 등 전채청소년의 신체단련, 정사함양, 자연체험, 예절수양, 사회봉사, 전통문화활동 등을 지도한다. 청소년지도사의 등급은 1급, 2급, 3급으로 분류되며, 대학에서 청소년학을 전공한 자는 2급, 사회복지학과 등 관련 학과를 전공한 자는 3급에 응시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년1회 청소년지도사 자격 검정 시험을 실시하고, 자격검정에 합격한 자에 한해서는 실무능력향상을 위해 소정의 의무연수를 실시하며 수련시설 및 청소년단체에 배치ㆍ활용한다.
* 청소년지도사 양성 현황 *
연도
급수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11,260
713
708
715
341
635
593
868
988
1,583
1,429
1,370
1,317
1급
1,114
-
96
101
47
131
120
128
113
97
117
90
74
2급
6,313
485
375
361
193
314
280
530
585
990
837
700
663
3급
3,833
228
237
253
101
190
193
210
290
496
475
580
580
2)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상담사는 청소년상담사 자격검정에 합격하고 청소년상담사 연수기관에서 실시하는 연수과정을 미친 자에게 부여하는 국가자격증이다. 청소년상담사는 학력ㆍ경력 등의 자격요건에 따라 1급, 2급, 3급으로 구분된다. 대학에서 상담관련분야를 전공한 졸업생은 3급에 응시할 수 있다. 상담관련분야는 상담의 이론과 실제, 면접원리, 발달이론, 집단상담, 심리측정 및 평가, 이상심리, 성격심리, 사회복지실천론, 상담교육, 진로상담, 가족상담, 학업상담, 비행상담, 성상담, 청소년상담 또는 이와 내용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과목 중 4과목 이상을 교과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는 학문분야를 말한다. 상담관련분야에는 청소년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아동학 등의 학과가 속한다. 청소년상담사는 한국청소년상담원, 시ㆍ도 청소년종합상담실, 시ㆍ군ㆍ구 청소년상담실, 각급 학교,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관, 사회복지관, 청소년쉼터, 청소년관련 복지시설 및 청소년업무 지원부서 등에서 청소년상담업무를 수행한다.
3)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에게 부여하는 국가자격증이다.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자격증 제도는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83년에 사회복지사업법이 개정되면서 사회사업가 또는 사회사업종사자의 명칭이 사회복지사로 규정되어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교부되기 시작하였다. 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 2급, 3급으로 구분되며, 대학에서 사회복지삭 전공교과목중 필수 10과목, 선택 4과목 이상 이수하고 졸업하면 사회복지사 2급 자격을 취득한다. 개정된 법률에 따라 2003년부터 사회복지사 1급 자격등은 국가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하여 교부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활동영역은 다양하나 크게 나누자면 공적 사회복지영역과 민간 사회복지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공적 사회복지영역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민간 사회복지영역에서는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이 지역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등의 민간사회복지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
Ⅴ. 결론
청소년의 미래는 우리 사회의 현실이 될 것이다. 청소년시기에 인생의 가치관, 세상을 보는 관점 등이 형성되고 자리 잡는다. 이런 청소년을 위한 복지체계는 더 구체적이고 더 가깝고 더 실용적이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조는 청소년 복지의 제도적 기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모든 조직이나 체계는 제도적으로 뒷받침 되지 않는 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나라의 청소년 복지제도가 맹아기를 거쳐 전개기 까지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는 것을 알았고, 또한 청소년복지 관련 기관 및 조직에 대해 어떤 기관이 어떤 일을 하는 지를 알았다. 또 이런 청소년 복지에 재정이 어떤 식으로 마련되며 어떤 식으로 쓰이고 있는지를 배웠다. 이런 청소년 복지의 제도적 기반을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제도적인 것이 확충되었다 해도 직접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즉 민간시설의 서비스가 부족함을 느꼈다. 청소년이 직접 혜택으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말이다. 또 시설이 많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시설을 청소년들이 잘 이용할 수 있는지, 또 청소년들이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지 의심스러웠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내린 우리조의 결론은 청소년 관련 인력을 더욱 확충하고,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있는 것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민간체계의 확충이다.
<참고문헌>
한국청소년개발원(2005). 청소년복지론, 교육과학사
경기도차세대위원회 http://www.ggyouth.net/
국가청소년위원회 http://www.youth.go.kr/
한국청소년개발원 http://www.kiyd.re.kr/
한국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
한국청소년자원봉사센터 http://www.youthvol.net/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7.12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