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컨벤션 사업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외 컨벤션 사업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제 회의사업의 비교분석

2) 주요국가 국제행사 운영현황

3) 주요 경쟁도시별 전시회장 면적비교분석

본문내용

면적은 250만 S/M에, 독일 전시산업의 연간 생산 효과는 230억 유로로 독일 연간 GDP (2조 650억 유로)의 약 1% 수준에, 고용효과는 25만명 대구전시컨벤션센터는 지난 개관이래 지난 4년간 13,700여명의 고용효과를 일으켰다고 발표했다.
에 달한다. 반면에 미국은 연간 4,074회의 각종 박람회 개최하였는데 이중 전시규모 2만 S/M 이상인 국제 규모 박람회는 연간 146회로 세계 전체의 21.6% 점유하였으며 99만 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표Ⅱ-4> 주요국의 전시장 공급 현황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한국
전시장수
71
29
29
14
9
가용면적(m2)
328
303
38
36
12
국제규모전시장수
18
16
4
-
2
자료 : 산업자원부(2003), www.mocie.go.kr 자료실 참조 재구성
아시아 국가중에서 일본은 폐쇄적 시장 특성과 지난 10년간 계속된 경기 침체 등으로 아시아 주요 국가들에 비해 침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10년 사이에 아시아 최대 전시산업 시장으로 발돋움하여 2004년에는 연간 1,684회로 아시아 전체 3,750회의 45%를 차지하였으며 전시장 면적은 총 91만 S/M로 발전했다. 싱가포르는 참가 외국업체가 80%, 홍콩은 40-50%에 이른다.
그림Ⅱ-3을 살펴보면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국제회의 개최건수가 50%이상 증가한 국가는 에스토니아(300%), 아이슬랜드(268%), 알제리아(233%), 탄자니아(150%), 피지(138%),베트남(130%), 그리스(114%), 말레이시아(105%), 한국(100%), 포르투칼(96%)등이 있다.
[그림 Ⅱ-3] 국제회의 50%이상 성장한국가(1995-2004)
주요 경쟁도시별 전시회장 면적비교분석
대구전시컨벤션 센터의 전체 면적은 타 도시 유명 컨벤션 센터의 전체 면적보다 작게는 반 정도이며, 제일 큰 하노버 멧세의 20% 정도 규모이다. 전시장을 운영하게 되면 홍보마케팅부터 전체가 가져야할 기능과 인원은 대개 비슷하게 운영되어야 하는 특성에 비추어 애초부터 여타 외국 도시의 유명 컨벤션 센터와의 경쟁력이 문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Ⅱ-5> 세계 주요 전시장 현황
도시명
전시장명
면적(S/M)
하노버
Messe Hanover
469,760
프랑크푸르트
Messe Frankfurt
321,000
쾰른
Koln Messe
286,000
뒤셀도르프
Dusseldorf Messe
234,398
뮌헨
Munich Messe
160,000
시카고
McCormick Place
201,000
밀라노
Fiera Milano
374,961
파리
Paris Expo
226,011
버밍햄
National Exhibition Center
190,000
자료 : 한국전시포탈, www.exportal.or.kr
※ 자료원 : AUMA, 2002년 기준
[그림 Ⅱ-4] 주요 경쟁 도시별 AUMA, 2002년 기준
전시회장 면적 비교분석 EXCO의 면적은 연면적 / 대구전시컨벤션 센터의 자료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8.1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