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스타일(Learning style) 가운데 2가지를 선택하여 각각의 정의를 내린 후, 자신의 학습 스타일과 관련 지어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학습 스타일에 대한 연구 및 정의
2. 학습 스타일의 주요 유형
3. 학습 스타일 중 2가지의 정의 및 특성
1) 지각방식에 의한 학습 스타일(perceptual learning style)
2) Kolb의 정보처리 선호도에 따른 학습 스타일
(1) Kolb 학습 스타일의 특징
(2) Kolb 학습 스타일에 따른 정의 및 특성
① 수렴자(Converger)
② 분산자(Diverger)
③ 융합자(Assimilator)
④ 적응자(Accomdator)
4. 기타 학습 스타일의 종류
1) 좌-우뇌(right and left hemisphere)의 기능에 따른 학습 스타일
2) Myers-Briggs의 성격에 의한 학습 스타일
3) 장의존(field dependent)과 장독립(field independence)형 스타일
4) 충동형과 성찰형
5. 학습 스타일 이론과 개인적 학습 스타일 분석
1) 지각방식에 의한 학습 스타일에 따른 나의 학습 스타일 분석
2) Kolb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나의 학습 스타일 분석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에서 혼자 공부를 하기보다는 개방적인 곳에서 몸을 움직이면서 학습을 해야 효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신체운동 지각형에 속한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신체운동 지각형은 현장 학습, 연극, 무언극, 인터뷰와 같은 학습환경에 신체 전부를 사용하는 유형을 말하는 것이므로, 학습 스타일이 절대적인 신체운동 지각형이기보다는 제한적인 신체운동 지각형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주변 환경과 시기에 따라 신체사용 여부 및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읽기를 좋아하고, 조용하게 혼자 학습하기를 선호하는 등의 시각형 학습 스타일은 아니라는 점이다.
2) Kolb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나의 학습 스타일 분석
Kolb는 정보처리 선호도에 따라 학습 스타일을 적응자, 분산자, 수렴자, 융합자 등의 네 가지의 스타일로 분류하고 있다.
나는 삶의 방식과 학습의 방식에서 원리적, 원칙적인 답을 선호한다. 즉, 어떤 사실이나 질문, 해결해야 할 문제에서의 해결책 혹은 답이 여러 가지 이거나 상황에 따라 혹은 시각에 따라 답이 불분명하거나 하는 것을 싫어하며, 하나의 문제에 하나의 해결이나 정답이 존재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러한 학습적 특성을 고려해볼 때, Kolb의 학습 스타일 중 수렴자(Converger)의 학습 스타일이 속한다고 판단된다. 쉽게 말해, 인문·사회적인 스타일보다는 자연과학적인 스타일이 가깝다고 생각된다.
물론, 때로는 본인 스스로가 놀랄 정도로 응용력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문제의 해결을 도모하거나 특별한 아이디어로 목표한 성과를 이루는 등의 분산자(Diverger)의 스타일을 갖고 있는 것 같지만, 감성적이고 직관적이며 다양한 관점으로 볼 수 있는 능력과 함께 개방적인 사고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족한 것으로 보아 아무래도 분산자 보다는 수렴자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어렸을 때에는 추상적인 개념에 관심이 있고, 귀납적 추론과 분산되어 있는 관찰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잘 보였던 융합자의 학습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되나, 성장하면서 현재에는 그러한 학습 스타일은 보이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현재의 나의 모습은 융합자의 반대 개념인 적응자에 가깝다고 판단되는데, 상황에 대한 적응력이나 상황파악 능력 등이 괜찮다고 생각하는 것이 그 이유라고 말할 수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학습 스타일의 의미를 알아보고, 학습 스타일의 기존 연구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는 한편, 학습 스타일의 종류에 따른 각각의 의미와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선정한 학습 스타일과 관련하여 개인 학습 스타일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학습 스타일은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설명해 주는 주요 변인으로 작용하면서도 지각(perception), 인지(cognition), 개념화(conceptualization), 정서(affect), 행위(behavior)와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므로 학자들마다 학습 스타일의 유형과 정의가 다양하다.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종합해 보면, 학습 스타일이란 용어는 개인의 네 가지 측면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첫째, 선호되고 습관화되는 정신적 기능으로서의 인지 스타일, 둘째, 개인이 학습 상황에 집중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관심 유형, 셋째, 자신의 학습 방식과 맞는 상황을 추구하고 지각하는 행동, 넷째, 특정 전략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그것이다. 학습 스타일을 측정하는 도구는 교육학에서 그 목적과 쓰임에 따라 구성요소가 다르며, 학습 스타일에는 지각방식에 의한 학습 스타일, Kolb의 정보처리 선호도에 따른 학습 스타일, 좌-우뇌의 기능에 따른 학습 스타일, Myers-Briggs의 성격에 의한 학습 스타일, 장의존과 장독립형 스타일, 충동형과 성찰형 학습 스타일 등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Ⅳ. 참고문헌
1. 교육부, 2002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2.
2. 이효응 외국어 학습책략에 관한 연구, 영어교육 48, 1994.
3. 김득준, 학습객체 기반 개별화 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4. 박현정,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에 따른 학습전략 및 과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임창재,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9.
6. 이남희, 학습 스타일이 말하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박춘식, 학습 전략이 초등 영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0.1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0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