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추간판탈출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2. 질병의 병태생리
3. 진단검사
4. 증상
5. 치료와 간호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본문내용

.5
39-54
%
RBC count
4.27
4.5-5.5
10*6/ul
WBC
4.67
4-10
10*3/ul
MCV(평균 적혈구 용적)
90.2
80-94
fl
MCH(평균 혈구내 혈색소)
30.4
27-31
pg
MCHC(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
33.8
32-36
g/dl
(6) 요화학 검사
진단검사
결과
범위
단위
specific Gravity
1.015
1.003-1.030
stat
pH
5.0
4.8-7.5
stat
WBC
(-)
negative
stat
Nitrite
(-)
negative
stat
Protein
(-)
negative
stat
glucose
(-)
negative
stat
ketone Body
(-)
negative
stat
urobilinogen
(-)
norm (-)
stat
bilirubin
(-)
norm
Blood
(-)
norm
RBC
0-1
0-5
(7) 혈액화학검사
진단검사
결과
범위
단위
AST
22
0-40
U/L
ALT
22
0-37
U/L
Total protein
5.311
5-8
A/G ratio
1.95
1.5:1-2.5:1
Triglyceride
112
0-200
mg/dl
Glucose
90
75-120
mg/ml
BUN
20.4 H
5-23
mg/dl
Creatinine
1.3 H
0.6-1.3
mg/dl
B/C ratio
21.14
7-29
(8) 혈액 가스 검사
진단검사
결과
범위
단위
pH
7.386
7.35-7.45
pCO2
43.2
35-48
mmHg
pO2
64.9 L
83-108
mmHg
Hct
38.1
37-52
%
SO2
97.9
95-98
%
HCO3
25.7
21-28
mmol/L
BEb(염기초과)
0.1
(-)2-3
mmol/L
BEecf
0.3
(-)2-3
mmol/L
SBC(표준 붕산수)
58.4 H
21-27
mmol/L
5) 치료경과
(1) 진단명 : L4-5 HNP
(2) 치료의 종류 :
① 수술(수술명 : Right hemipartial(L4) and Disectomy)
② 약물 :
1.AlD(CAPS)
효과: 진통제
효능: 수술부위의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진통 소염제로 사용.
2. ULGLI(TAB)
효과: 위장약
3. TRULI(TAB)
효과: 진통제
효능: 수술부위의 통증을 줄이기 위하여 진통 소염제로 사용.
4. ULSTI(TAB0
효과: 소화제
효능: 약에 소화를 돕고, 위장에 무리를 주지 않기위에 사용.
(4) 결과 : 수술은 심한 출혈도 생기지 않았고, 신경손상도 없었다.
2. 간호진단
수술에 의한 외과적 절개에 관련된 통증
사정
계획
수행
평가
<주관적 사정>
“수술한 데가 아파요. 아파서 말하기도 귀찮 아요”
“아파서 움직 이기도 힘들어 요.”
<객관적 사정>
-대상자는 인상 을 찌푸리고 가만히 누워 있음
- 주변인들이 자기 몸에 손도 못 대도록 짜증 을 내는 모습이 자주 관찰 됨
목표
-단기목표:
☆안면의 찌푸 림과 짜증내는 모습이 사라진 다.
-장기목표:
☆수술 후 통증 이 완화된다.
기대되는 결과
☆수술 후의 통증이 따름을 알고, 통증의 호소가 없다.
간호지시
☆통증의 정도 를 사정한다.
☆부주의하거나 무의식적인 활 동을 제한하고 침상안정을 시 킨다.
☆필요시 진통 제와 근육 이완 제를 투여하여 효과를 평가 한 다.
수행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고 주위 사람들에게 짜증을 부리는 경우 심호흡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을 생각하게 권하여 통증에 대한 생각을 분산시켰다.
☆수술 후에 통증에 대해 물었 을 때, 수술 후 따르는 통증에 대 설명하고 곧 통증이 사라 질 것이라고 설명해 주고 침상안정을 권유했다.
☆환자의 통증 시 PCA의 사용법을 교육했다
40여분 뒤 통증정도를 다시 사정했다.
이론적근거->침상안정을 통해 신경조직 긴장과 압박이 감소되어 통증완화
->통증은 주관적 호소이므로 관심을 다른곳으로 전환시켜 내성을 증가시킴
☆수술 후, 통증이 따른다 는 것을 환자와 보호자 모두 이 해하고 곧 사라 질 것이라 믿는 다.
☆보호자가 환자의 상태를 이해하고 환자 에게 게임과 가족 얘기를 하 며 통증에 대한 내성이 길러졌 다.
☆환자는 통증 호소를 하지 않으며 얼굴을 찌푸리지 않는 다.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하) 전시자 외 현문사
2. MOSBY'S CRASH COURSE 신경과학 도서출판 한우리
3. 성인 내외과 간호학Ⅳ 최정신 외 형설출판사
4.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5. 간호 진단과 중재 이은옥 외 서울대학교 출판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