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을 읽고 루소를 알아본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에밀>의 감상 및 분석
2.1 제1기 - 유아기
2.2 제2기 - 아동기
2.3 제3기 - 소년기
2.4 제4기 - 청년기
2.5 제5기 - 성년기
Ⅲ. 결론

본문내용

대한 사랑을 우리에게 일깨우려 하고 있으며, 오직 이러한 사랑에 근거해서 순수한 도덕이 확립될 것이며, 이 사랑이 확대될 때 사회의 새로운 질서가 확립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Ⅲ. 결론
여기까지 <에밀>에서 루소가 제시하고 있는 다섯 가지 발단 단계에 따른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보는데 이 책에서 루소는 그 서로 다른 원천을 제시하면서 교육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고 밝혔다. 그 다른 원천은 각각 자연, 사물, 인간이다. 자연의 교육은 이미 자연에 의해서 인간의 본성으로 주어진 절대적 조건이다. 사물의 교육은 인간을 자극하는 사물로부터 얻어지는 경험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의 교육은 인간의 본성과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궁극적으로 도덕적 측면에서 어떠한 특정한 인간형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에밀>의 교육적인 목적은 사물의 교육과 인간의 교육은 자연의 교육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곧이어 이런 종합적인 교육의 실현이 정말로 어렵다고 지적한다. 왜냐하면 자연인은 완전히 그 자신만을 위하여 사는 데 비해 문명인은 공동체 전체를 위해 살아가므로 탈자연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명인의 독립된 자기 동일성은 상대적 존재로 변모되어 그를 커다란 전체의 한 부분으로 만든다. 그러나 자연 교육이 문명 교육과 결합할 수 있다면 인간 속의 모순은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인간의 행복을 가로막는 커다란 장애도 제거될 수 있다. 이상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루소는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한 이상주의자라기보다는 당시 사회의 인위성과 비인간성을 고발하고 해결책을 모색한 현실적인 이론가였음을 알 수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1.21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