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음식문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식생활 문화의 배경
2. 음식 문화의 특징
3. 일본요리의 형식적 특징
1) 혼젠요리(本膳料理)
2) 가이세끼요리(會石料理)
3) 가이세끼요리(會席料理)
4) 쇼우진요리(精進料理)
4. 일본요리의 시대에 따른 변화
1) 죠믄토기시대 (B.C 700~B.C 3세기경)
2) 야요이시대 (B.C 3~6세기경)
3) 나라시대 (B.C 710~794)
4) 헤이안시대 (794~1185)
5) 카마쿠라시대 (1192~1333)
6) 무로마치시대 (1338~1573)
7) 아이치․모모야마시대 (16세기 후반~16세기말)
8) 에도시대 (1603~1867)
9) 메이지시대 이후 (1868이후)
5. 대표적인 음식
(1) 주식(고항모노 : 밥요리)
(2) 면요리
(3) 부식
6. 설날 음식
(1) 가가미 모찌
(2) 소바(메밀국수)
(3) 오세치요리
(4) 토소
(5) 조니(떡국)
6. 식사 예절

본문내용


② 돈부리(덮밥)
- 흰쌀밥 위에 각종 수조육류, 어패류, 채소류를 요리해서 얹고 국물을 끼얹어 먹는 음식
- 가장 유명한 것 : 큐돈(쇠고기 덮밥)
쇠고기 덮밥
돈까스 덮밥
회덮밥
(2) 면요리
- 소면 : 생강, 겨자.
- 우동 : 생강
- 소바 : 와사비
① 우동
- 추운 겨울에 따뜻하게 먹는 음식
- 밀가루 국수를 가시오부시나 멸치다시다 국물에 표고버섯, 생선묵, 야채, 유부 등을 넣어 끓여 먹는 대표적인 면요리
싯포쿠 우동 : 국수나 메밀에 송이버섯, 표고버섯, 생선묵, 야채 넣어서 끓인 우동
기츠네 우동 : 유부를 달게 조려서 넣은 우동
냄비우동
2 메밀국수(소바)
- 차게 만들어 먹어야 하므로 온도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음식
오로시소바
자루소바
3 소멘(실국수)
- 밀가루를 단단하게 으깨어 면실유를 발라 가늘게 늘려서 건조시킨 것
- 만든지 2년된 국수가 기름이 빠져 있어 제일 맛있음
④ 라멘
- 중국식 밀가루 국수를 간장이나 된장으로 양념한 국수에 말아먹음
- 돼지고기, 콩나물, 죽순 등을 함께 곁들임
(3) 부식 : 식사에서 다른 요리의 맛을 돋구는 역할
1 시루모노(국)
- 가장 먼저 먹는 음식이 국물요리
- 스마시시루 : 맑은 다시(맛국물)를 그대로 써서 재료 자체의 맛과 향을 나타냄
- 미소시루 : 된장을 풀어서 끓인 된장국
2 사시미(회)
- 일본의 가장 대표적인 음식
- 관서지방에서는 츠구리라고도 함
- 생선의 맛을 돋우기 위해 부재료를 곁들임
: 갠 - 무를 얇게 돌려 깍아서 가늘게 채를 썬 것
오이나 당근으로 모양 낸 것
◎ 알아두기 - 생선초밥 맛있게 먹는 법
초밥을 먹기 전에 종지에 간장을 조금 부어 자기 앞쪽에 놓는다.
젓가락으로 초밥을 집을 때는 초밥의 옆을 집어야 간장을 묻힐 때 밥알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초밥에는 이미 간이 되어 있기 때문에 간장은 생선쪽에 묻혀서 먹는다. 생선초밥을 한가지 먹은 다음 에 초절임 생강을 한 조각 먹으면, 입안이 개운해지면서 생선마다 독특한 맛을 제대로 음미 할 수 있다. 생선초밥을 담백한 흰살 생선초밥부터 먹기 시작하고, 그 다음 맛이 강한 등푸른 생선이나 참치뱃살초밥, 익힌 생선초밥 순서로 먹어야 맛있게 즐길 수 있다.
3 야키모노(구이)
- 고기, 생선, 채소를 모두 이용하여 재료의 원래 모양을 잘 살리기 위해 꼬치에 구워먹음
- 아시라이(곁들임음식)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
: 오이, 시금치, 연근, 풋고추, 파, 초절임생강, 무 등
- 스야키 : 아무것도 바르지 않고 그냥 불에서 열을 가하여 구워내는 요리
- 시로야키 : 소금을 뿌려 굽는 소금구이
- 데리야키 : 간장양념에 재웠다가 굽는 간장 양념구이
④ 니모노(조림)
- 양념하여 간을 맞춘 다시국물에 고기, 생선, 야채 등을 넣고 조리는 요리
- 관동지방은 국물이 적고 단맛을 내는 조림
- 관서지방은 국물이 많고 담백한 맛을 내는 조림
⑤ 아게모노(튀김)
- 어패류나 채소에 튀김옷을 살짝 입혀서 바삭바삭하게 튀기는 튀김음식
가라아게 (막튀김)
: 재료에 간을 배게 한 다음 표면에 밀가루, 갈분, 전분 등을 입혀 튀김
고로모아게(덴뿌라)
: 밀가루를 주로 해서 튀김옷을 입혀 생선이나 야채에 묻혀 튀김
덴뿌라
쇠고기 튀김
모듬 튀김(덴뿌라)
⑥ 나베모노(냄비요리)
- 겨울철에 먹는 음식
- 재료에 따라 냄비의 선택이 중요
- 스키야키(쇠고기 냄비요리 ) : 두꺼운 철냄비
- 살짝 끓여서 먹는 음식 : 보통 냄비
- 오래도록 끓이는 오뎅 : 도자기로 만든 냄비
- 대구탕, 오뎅, 스키야키, 샤부샤부 등
모듬 꼬치
스끼야끼
스끼야끼
샤브샤브
샤브샤브
6. 설날 음식
- 신정만이 유일한 설날
(1) 가가미 모찌
- 설날에 쓰는 모찌(떡)
- 찹쌀가루를 쪄서 둥근 찐빵과 비슷한 모양으로 만듬
- 새해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로 쓰는 음식
- 신성한 곳에 두었다가 설날 저녁에 먹음(신과 일체감을 느낀다는 뜻)
(2) 소바(메밀국수)
- 새해에도 건강하고 무병장수하기를 기원하는 새해 전날 밤 밤참으로 먹음
(3) 오세치요리
- 국물이 없이 만든 것
- 찬합에다 차곡차곡 쌓아놓고 끼니때마다 또는 손님을 접대할 때마다 꺼내 먹음.
- 멸치조림, 찐 새우, 검은 콩조림, 연근, 다시마 등
1 연근 : 여러 개의 구명이 숭숭 나 있는 연근을 먹으면 구멍을 통해 앞날을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을 갖는다는 믿음을 뜻함
2 마른 멸치조림 : 풍작을 기원
3 새우 : 긴 수염이 달린 새우는 장수를 의미
4 검은 콩조림 : '마메'라 함. 열심히 노력하면 살아간다는 뜻
5 다시마 : '곤부'라 함. 기쁘다는 뜻의 '요로고부'의 마지막 부분 발음과 비슷하기 때문에 다시마를 먹으면서 일년 내내 좋은 일만 생기기를 기원
(4) 토소
- 설날 아침에 약초로 만든 토소라는 소주를 마심
- 정초에 이것을 마시면 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건강에 좋다고 함
(5) 조니(떡국)
- 여러 가지 채소와 생선을 국물에 넣고 끓임
- 국물에 된장을 넣고 그속에 반드시 둥글게 생긴 가가미 모찌가 들어감
- 조니를 먹어야 비로소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며 설날 기분을 낸다.
6. 식사 예절
① 식사하기 전에 반드시 잘 먹겠다는 인사를 한다.
② 밥그릇, 국그릇, 조림그릇 순으로 뚜껑을 열어 상의 왼편에 놓는다.
③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젓가락만 사용하여 먹는다.
④ 양손으로 밥그릇을 들어 왼손 위에 올려놓고 오른손으로는 젓가락을 집는다.
⑤ 국을 먹을 경우 국물에 젓가락을 적시고 국물을 입을 축이고 나서 밥을 한입 먹는다. 그 다음부터 밥과 반찬을 번갈아 가면서 먹으면 된다. 국을 마실 때는 건더기를 먹고 국물을 마실 때는 젓가락으로 건더기를 누르고 마신다.
⑥ 젓가락을 놓을 때는 자기와 어깨와 평행이 되게 가로로 놓는다.
⑦ 공동의 음식은 보통 전용 젓가락으로 덜어다 먹어야 한다.
⑧ 생선은 머리쪽의 등살에서부터 꼬리쪽으로 먹는다.
⑨ 달걀찜(자왕무시)은 젓가락으로 젓지 않고 앞에서부터 떼어먹고 뜨거울 때에는 그릇 밑의 종지를 받쳐들고 먹는다
⑩ 밥공기는 작은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더 먹고 싶을 때는 공기를 비우지 않고 조금 남긴다. 깨끗이 비웠을 때는 다 먹었음을 의미한다.

키워드

음식,   일본 ,   문화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4.0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2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