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사 (1945 - 1949) 해방, 미군정기 에서 정부수립까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해방 후 한국경제

미 군정기~
대한민국 정부수립



미 군정의 경제적 목표
1945-1948 귀환동포 누적통계
미 군정기 경제현안
미 군정의 토지·식량정책
미 군정의 산업·적산정책
주요 산업 자본금 비율
미 군정의 산업·적산정책
미 군정의 무역정책
미 군정기 경제정책의 성격
미 군정기 경제정책의 결과
한국정부의 경제계획
1953년 생산목표량 지수(1949년 = 100)
5개년 물동계획과 ECA원조
한국 정부의 식량정책

본문내용

미 군정의 경제적 목표
군정의 경제적 목표(SWNCC’미 국무성 육해군합동조정위원회’,1945)
① 점령군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
② 식량을 비롯하여 조선경제에 긴요한 물자의 생산을 극대화하는 것
③ 조선의 경제생활로부터 일본지배의 모든 잔재를 청산하는 것
④ 일본 경제에 대한 종속으로 부터 조선을 벗어나게 할 여건을 형성하는 것 등
미 군정의 토지·식량정책
귀속농지
- 1945년 9월 25일 모든 일본인 소유의 토지에 대해 접근금지령
- 1945년 10월, 3·1제 발표
- 1946년 2월 ‘신한공사’에서 귀속농지 접수/관리
*신한공사 – 농지 관리 및 각 농가에 소작을 주고 소작료를 받음.
- 1946년 2월 식량공출제 실시
- 1948년 4월~8월 전체 귀속농지의 80%불하
● 외국 원조 – GARIOA(Government Aid and Relief in Occupied Areas)
,OFLC(Office of Foreign liquidation Commissioner)
미 군정의 산업·적산정책
귀속재산
- 농지, 사업체, 주택, 건물, 임야, 기타 등
● 공장접수운동
- 일제 패망 이후 국내에 가동중단 된 공장에 대해여 노동자들이 자발적 운영을 선언.

키워드

해방,   미군정,   정부수립,   1945,   독립,   경제,   경제사,   미군정기
  • 가격3,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4.28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62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