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햇반의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업소개

2. 환경 분석

3. 경쟁사분석

4. SWOT분석

5. STP분석

6. 마케팅전략

7. 경영성과분석

8. 향후 전략

본문내용

상반기 히트 상품 선정
- 3개 신문사에서 97년 연간 히트 상품 선정
- 국제 기내식 협회에서 세계 최우수 기내식 대상 Mercury상 수상(98년)
-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97년 상반기 히트상품 선정
- 한국능률협회컨설팅에서 98년 히트상품 大賞 선정
- 일경유통신문 98년 한국의 5대 히트상품 선정
- 한국 슈퍼마켓 협동조합연합회 99년 올해의 상품 선정
- [한경 마케팅대회] 2001년 마케팅기획賞
8. 향후전략
(1) 지속적인 소비자 NEEDS 파악 (맛과 편의성+건강)
CJ㈜는 '웰빙'의 순풍에 힘입어 각각 주요 제품군인 쌀 가공과 콩 관련제품 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빵보다 건강 효능이 크고 '쌀'과 고기를 대신하는 단백질원으로 각광을 받는 '콩'으로 특화된 웰빙 강자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 CJ는 96년 출시한 '햇반'의 후속으로 흑미밥ㆍ오곡밥ㆍ발아현미밥등과 북어국밥ㆍ짜장밥ㆍ카레밥,'햇반죽'까지 패밀리 브랜드를 줄줄이 내놓아 밥 시장의 덩치를 키우기에 나섰다. 면 시장에서 인기 있는 생면도'햇반 쌀생면'으로 차별화한 데 이어, 쌀 만두와 쌀 수제비 등 가공 식 품목을 점차 넓히고 있다. CJ 쌀 가공센터 이창용 연구원은 "올해 햇반에서 4~5가지 추가 신제품을 출시하고 햇반죽도 메뉴를 다양화해 4~5가지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에는 처음으로 미국에 마케팅 관련 주재원을 파견, 햇반 사업의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생활용품 브랜드 '라이스데이'와 숙취해소음료 '컨디션' 역시 모두 쌀에서 추출한 성분을 응용한 제품들. CJ의 쌀가공품 매출은 현재 2,000억 원 선으로, CJ의 쌀 소비량은 지난해 6,000톤, 올해 8,000톤으로 매년 30%이상 늘어나고 있다.CJ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밀가루처럼 쓰일 수 있는 쌀가루 출시도 검토 중"이라며 "건강과 편의라는 소비의 두 가지 핵심트렌드를 충족시키는 제품으로 쌀 가공 제품에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2) BM(브랜드 매니저) 제도의 지속적인 활성화
브랜드 파워를 높이는 게 불황속에서도 매출을 늘릴 수 있는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소비심리가 위축될수록 시장을 리드하는 브랜드로 판매가 몰리는 경향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브랜드 매니저 제도(BM)가 도입되고 있다.
BM은 브랜드매니저(Brand Manager)의 약자로서, 외국의 선진 기업들(예를 들어 피앤지, 네슬레, 아지노모토 등)에서는 오래 전부터 있어왔던 존재이다.
기능 중심의 기능 단위 조직에서, 의사 결정의 효율성과 합리성, 신속성이 강조되는 토탈 마케팅(Total marketing) 조직으로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존재라고 볼 수 있다.
BM은 말 그대로, "맡고 있는 브랜드를 관리하는 모든 활동을 하는 사람"을 말하는데, 마케팅 지원 조직(Support Group-리서치,R & D,디자인)을 활용하여 해당 브랜드의 매출과 손익을 제고하고 브랜드 이쿼티(Brand equity)를 올리고 수명을 영구화하기 위한 모든 마케팅 전략 수립과 활동(광고, 판촉, 퍼블리시티, 가격전략, 유통전략 등)을 수행하며, 동시에 생산과 판매를 조율하기도 한다. 즉, 토탈마케터(Total marketer)로서 거의 모든 일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역할과 권한이 큰 만큼 책임도 크다고 볼 수 있다.
CJ에서는 BM제도를 도입하여 상품 기획에서 생산계획, 마케팅 및 영업전략 등 제품과 관련된 모든 의사결정권을 브랜드 매니저의 책임아래 행사할 수 있도록 조직을 개편하고 제품 정비작업에도 착수했다. 브랜드에 힘을 싣기 위해서는 제품을 소수 정예화하는게 선행돼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브랜드의 힘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지금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BM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3) 포장재 자체 개발(저가격을 통한 시장 확대)
현재 cj에서 가장 ‘햇반’이라는 제품의 차별화는 타 기업에서 제공하지 못했던 밥의 맛 이었다. 이러한 밥의 맛을 올리는데 있어서 포장재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용기가 처음부터 지금까지 한국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일본에서 수입해서 쓰고 있다고 한다. 이로 인해 햇반의 가격이 소비자들의 심리적 부담 가격인 900원 선을 넘어설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지금까지도 햇반이라는 제품이, 밥의 맛이 좋다. 라고 누구나 인정하고, 또한 상품 밥 하면 ‘햇반’을 떠올릴 정도로 인지도는 매우 높은 편이지만 실제 구매경험은 우리나라 국민의 50% 인 상황이고 이러한 구매가 지속적인 습관적 구매로 까지 이루어지지는 않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장 큰 요인은 햇반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사먹기에는 심리적, 가계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일반 대학생들의 경우 1500원이면 한 끼 식사를 해결할 수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이 포장재가 자체 개발 가능해질 경우 소비자의 needs인 품질은 계속 유지하며, 아직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는 가격을 낮춤으로써 일반적인 대학 자취생, 또한 아무 부담 없이 일반 가정에서도 가끔 사먹는 정도가 아니라, 항시 보관 상품으로 즉, 현재 일반 가정에서 시장을 볼 때 집에 라면이 없으면 라면을 미리 사놓는 것처럼 라면과 같은 상품 밥 시장의 확대를 cj가 꿈꾸는 국민 브랜드로서의 ‘햇반’의 실현을 더욱더 빨리 앞당길 수 있으리라 본다.
<참고자료>
www.cj.co.kr
www.hetbahn.co.kr
www.nso.go.kr
www.seri.org
www.jobkorea.co.kr
www.hrdkorea.or.kr
www.fnnews.com
home21.co.kr
최고의 브랜드에는 특별한 드라마가 있다 - 브랜드메이저, 원앤원북스, 2007
즉석 밥 제품개발과 햇반의 성공 전략 - 라이터스 편집부, 2006
쉽고 강한 브랜드 전략 - 신병철, 살림, 2004
한국형 포지셔닝 (한국 소비자 마음에 브랜드 심는 법) - 구자룡, 원앤원북스, 2003
마케팅 실천 성공 사례집 Ⅱ - 한국마케팅연구원원, 2001
광고표현론- 이화자 외, 나남출판, 1998
신유통학개론 - 변명식 외, 학문사, 1998
  • 가격3,5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08.05.05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