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득세의 현재와 개선방안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소득세의 개념과 세율구조
1. 소득세의 의미와 개요
2. 소득세의 세율구조
3. 소득세의 과세체계
4. 한국의 소득세제 변천

Ⅲ. 소득세 구조의 문제점

Ⅳ. 한국의 소득세제 개선방안과 앞으로의 정책
1. 감면제도의 정비
2. 탈세의 적발과 예방
3. 조세체계의 조정

Ⅴ. 결론

본문내용

와 비교하는 것이 비교가능성이 높아짐
- 우리나라 과표 5천만원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26%의 세율이 적용되나, 일본의 과표 1억원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33%의 세율이 적용되므로 일본 근로자의 세부담이 높음
* ‘05년 1인당국민소득 : 한국 1.63만불, 일본 3.58만불
<참고> ’05년 최고세율 기준 소득세율 국제비교 (단위 : %)
한 국
미 국
일 본
영 국
독 일
중국
프랑스
OECD 평균
35
(38.5)
35
(41.8)
37
(50.0)
40
(40)
42
(42)
45
(45)
48.1
(48.1)
36.0
* ( )안은 지방세 포함
OECD 30개국중 우리보다 세율이 낮은 국가는 11개, 높은 국가는 16개
과표구간 조정 필요성 등에 대해
<재경부의 입장>
① 중산서민층 지원을 위해 해 온 소득공제 확대가 과세자비율을 낮춘 것은 사실이지만
- ’02년과 ’05년부터 시행된 소득세율 인하는 면세점 및 과세자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② 과표구간을 단순하게 상향조정하는 방식의 한계
- 과표구간을 단순하게 상향조정하는 방식은 근로소득자보다 소득파악 수준이 낮으면서 고소득자가 많은 ‘자영업자에게 더욱 큰 혜택’이 귀속
* 과세표준 8천만원 초과 인원(과세자 중 비율)
’05귀속 : (근로소득) 53천명(0.9%) (종합소득) 89천명(4.6%)
- 과표 1천만원 이하의 저소득 근로자 및 사업자에게는 세부담 경감효과가 전혀 없음
과표 1천만원 이하자 과표 1천만원 초과자(’05)
근로자 1,025만명(79.1%) 272만명(20.9%)
사업자 363만명 (83.1%) 74만명(16.9%)
- 현행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 대비 최고 및 최저세율 적용 과표금액은 외국에 비해 높은 수준
<’05년 1인당 국민소득대비 과표구간 배율 > (과표구간/1인당 국민소득)
미국
한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평균
최고세율구간
7.8
4.9
4.3
1.8
1.6
1.5
3.7
최저세율구간
0.2
0.6
0.8
0.3
0.1
0.1
0.4
③ 과표구간 숫자를 늘리는 것은 세제를 복잡하게 하여 효율성을 저해
ㅇ 그간 세제간소화 차원에서 과표구간을 지속적으로 축소*하여 왔던 정책방향과도 맞지 않음
*16단계(’77년) → 8단계(’89년) → 6단계(’93년) → 4단계(’96년)
※ 주요국의 소득세 과세표준 계급별 구간수
국 가
영국
그리스
독일
일본
한국
이태리
미국
프랑스
구간수(개)
3
3
3
4
4
4
6
6
※ OECD 평균 과표구간 수(’05년) : 4.3개
일본은 ’07년부터 6단계로 확대
④ 과표구간 물가연동제 도입 필요성 주장에 대해
ㅇ 미국 등 일부국가에서만 물가상승율 등을 감안하여 소득세 과표구간 및 공제액을 조정하는 제도를 운영
ㅇ 우리나라의 경우는 각종 공제를 확대하거나 세율을 인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매년 1조원 규모의 세부담 경감조치** 시행
* 소득세율 인하 : ’02년부터 10% 인하(10~40%→9~36%)
’05년부터 1%p 추가인하(9~36%→8~35%)
** 근로소득세 경감규모(조원)
(’00) 1.4 (’01) 1.2 (’02) 1.5 (’03) 0.3 (’04) 1.3 (’05) 0.5
ㅇ 물가연동제 적용시 매년 과표구간이 달라지는 등 세법을 복잡하게 하고, 재정안정성도 저해할 우려가 있는 한편,
- 세율조정, 공제감면제도 등의 조정이 약화되어 경제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른 조세정책기능이 미흡해지는 문제점
ㅇ IMF도 물가연동세제는 높은 행정비용이 소요되는 점을 지적(’05.4, IMF Working Paper)
⑤ 과표구간 금액 상향조정은 큰 폭의 세수감을 초래하므로 곤란
ㅇ 과표구간 금액을 25% 상향조정하면 1.3조원 세수감
< 별첨 # 3 >
※ 조세체계표
이자소득
배당소득
부동산임대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일시재산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수입금액

소득금액
수입금액

소득금액
수입금액
(-)
필요경비
수입금액
(-)
필요경비
총 급 여
(-)
근로소득공제
수입금액
(-)
필요경비
수입금액
(-)
연금소득공제
수입금액
(-)
필요경비
종합소득금액
△종합소득공제
:§50~§52
기본공제(1인당 연 100만원)
추가공제(사유당 200만원, 150만원, 100만원,
또는 50만원)
소수공제자 추가공제(근로자 50만원, 또는 100만원)
* 인적공제
┌ 항목별특별공제(근로자)
특별공제 ┤
└ 표준공제:연 60만원(근로자:연 100만원)
과 세 표 준
×세율(8~35%)
:§55
산 출 세 액
△세 액 공 제
:§56~§59
결 정 세 액
(+)가 산 세
:§81
총결정세액
△ 기 납 부 세 액
①중간예납세액
②원천징수세액등
납부할 세액
참고문헌
>논문
소득세 개편방향, 전영준·이철인, 2008.01
한국의 지하경제 추이와 시사점, 대한상공회의소, 2008.01
새 정부의 세제개혁의 기본방향에 대한 제안, 유경문, 2008
납세환경에 부응하는 조세정책 운영방향, 진병목, 2008
소득세 누진세율 체계와 과세표준 구간의 공평성 연구, 김선구·박성배·홍정화, 2008
조세정보와 납세순응:실험자료를 통한 실증결과, 현진권, 2007
소득세와 지출세, 박환조, 2006.12
간편납세제도 도입에 따른 세무대리인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동욱·정순여, 2006
소득세법상 소득공제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연구, 이지혜, 2003
>관련기사, 보도자료
건전한 경제의 암세포 ‘지하경제’, 서울경제, 2008.05
조세감면제도의 대폭정비, 기획재정부, 2008.04
2008 세법 시행령 개정(안), 재정경제부, 2008.01
>관련서적
조세체계 개편방안, 유경문, 2007.08
PUBLIC FINANCE 8th, Harvey S.Rosen·Ted Gayer, 2007.08
>관련 홈페이지
한국조세연구원 http://www.kipf.re.kr
한국재정학회 http://www.kapfe.or.kr
한국납세자연합회 http://www.ktun.or.kr
조세일보 http://joseilbo.com
국세청 http://www.nfs.go.kr
한국학술교육정보원(KERIS) http://www.riss4u.net

키워드

소득세,   문제점,   income,   tax,   개선,   방안,   정부,   조세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7.05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2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