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위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의 위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별 1호

2. 우리별 2호

3. 우리별 3호

4. 과학 기술위성 1호 / 우리별 4호

5. 무궁화

6. 아리랑

본문내용

탑재체, 원격 자료 수집 등의 우주 환경 측정 및 지상 생명체 탐사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2003년 9월 26일 러시아 모스크바 북동쪽으로 800km 떨어진 플레체스크 우주센터에서 COSMOS 3M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되었다. 천문학 관측을 위해 개발된 이 위성의 크기는 665x551x830 mm, 무게 106kg, 최대공급전력 180W이며, 3축 안정화 방식으로 자세를 제어한다. 원자외선 분광기, 우주물리 탑재체, 데이터 수집장치, 고정밀 별감지기 등을 탑재했다.
690km 원형 태양동기궤도를 선회하며 원자외선 분광기, 우주과학 탑재체, 원격 자료 수집 등의 우주 환경 측정 및 지상 생명체 탐사의 임무를 가지고 발사되었다. 은하의 고온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검출, 태양 활동 극대기에 발사되어 지구의 극지방에서 일어나는 태양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 등을 조사한다. 또한 지구의 상층대기로 투입되는 높은 에너지의 하전 입자를 동시에 관측함으로서 지구의 상층대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물리적 현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우리별 4호의 발사 및 성공적인 운용은 소형 위성으로서 과학 임무의 수행 가능성과 함께, 국제적으로도 손색이 없는 관측 자료를 얻게 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할 수 있다.
#개발목적
과학기술위성 1호의 정식 명칭을 가지는 우리별 4호는 은하 전반에서 분포해 있는 고온의 플라즈마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검출하게 되며, 태양 활동 극대기에 발사되어 지구의 극지방에서 일어나는 태양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을 조사하게 된다. 원자외선 분광기와 더불어 탑재되는 우주 과학 탑재체는 지구의 상층대기로 투입되는 높은 에너지의 하전 입자를 동시에 관측함으로서 지구의 상층대기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물리적 현상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또한, 인공위성에 기반을 둔 원격 자료 수집기에서는 지상에서 항상 감시하기 어려운 야생 동물이나 교통 감시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위성 자체기술의 경우, 고 정밀도를 요구하는 지구나 천문관측을 뒷받침하는 정밀 별 감지기를 개발하여 3축 자세 제어와 더불어 고성능의 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술을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과학 기술 위성 1호>
5. 무궁화
우리 나라 최초의 방송통신위성. 무궁화1호 위성의 모습은 육면체의 본체 위에 접시형 안테나가 있으며 좌우에는 직사각형의 태양전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본체의 크기는 가로 1.42m, 세로 1.96m, 높이 1.74m이며 태양전지판을 펼쳤을 때 전체의 길이는 15m이다. 위성에 자세조종용 추진제를 채웠을 때 무게는 1,460㎏이며 수명은 10년으로 미국의 록키드 마틴 아스트로 스페이스(Lockheed Martin Astro Space)사에서 제작하였다.
무궁화1호는 1995년 8월 5일 미국의 케이프 케너베럴 발사장에서 델타 로켓에 의해 발사되어 적도상공 3,600㎞의 원궤도(일명 정지궤도)에 진입되었으며 동경 116°에 위치하고 있다. 무궁화1호에는 12개의 통신용 중계기와 3개의 방송 중계기가 있다. 현재 KBS―위성1, 위성2와 위성교육방송이 무궁화위성을 이용한 직접위성방송인 것이다. 무궁화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은 방송국에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용인의 관제소를 통하여 무궁화1호 위성에 보내지고 무궁화위성에서는 이를 증폭하여 지상으로 보낸다.
지상에서는 접시형 안테나와 수신기를 통하여 전파를 받아 TV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위성방송은 접시안테나와 수신기만 있으면 난시청 지역 없이 전국 어디서나 TV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무궁화1호는 발사 때의 문제점으로 수명이 줄어들었고 무궁화1호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를 대비한 무궁화2호는 똑같은 쌍둥이 위성이다. 1999년에는 무궁화3호도 발사되었다.
방송통신위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통신방송위성의 사업화 여론이 일어남에 따라 1991년부터 본격적으로 무궁화위성사업을 시작하여 1995년 8월 우리나라 최초의 상용 방송통신 위성을 발사하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22번째로 상용위성을 보유한 나라가 되었다.
그러나 '무궁화위성 1호'는 델타 2발사체의 발사실패로 위성의 수명이 4,5년 정도로 단축된 상태로 시작하였다. '무궁화2호'기는 1996년 1월에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현재 1호기와 같은 정지궤도의 위치에서 운용중이며, 1999년 9월 발사된 '무궁화3호'기는 1,2호기와는 달리 지역위성으로서 한반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일대를 커버할 수 있는 대용량의 통신, 방송위성이다.
<무궁화 1호>
6. 아리랑
1999년 12월 발사된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아리랑1호'는 지구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으로, 지상에서 6.6m의 해상도를 갖는 전자광학카메라와 해양관측이 가능한 저해상도카메라를 탑제하고 있다.
아리랑 위성은 국가 정밀지도(1/25,000급) 제작 및 GIS(지리정보 시스템)분야, 국토관리 분야(도시계획, 국토관리 등), 재해예방 분야(기상예측, 환경오염, 수해, 산불 감시, 조난구조 등)에 사용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m 해상도를 가지는 고해상도 카메라(Multi-Spectral Camera, MSC)를 탑재된 '아리랑2호'가 2004년 발사.
한국 최초의 다목적 실용위성. 무게 470kg, 높이 235cm, 너비 134cm, 길이 690cm이다. 1999년 12월 2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미국 오비탈사이언스가 제작한 토러스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지상 685km 위에서 98분 주기로 하루에 지구를 14바퀴 반을 돌며 한반도 및 해양 관측, 과학 실험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아리랑 1호는 발사후 13분 26초만에 발사체로부터 완전 분리돼 상공 685km의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발사 당시 계획은 2002년까지 98분 주기로 하루에 지구를 14바퀴 반을 돌며 한반도 및 해양 관측, 과학 실험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었지만 2006년 현재까지도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위성 본체는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에서 만들었다.
<무궁화 1호> <무궁화 2호>
참고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엠파스 이미지
구글 위성 검색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7.29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9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