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 사회통합의 저해요인과 지도자 역할 및 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문제제기

Ⅱ. 장애인관의 변천과정
1. 장애의 개념
2. 장애인관의 변천
1) 고대 및 중세사회에서 장애인관
2) 근세사회에서의 장애인관
3) 현대사회에서의 장애인관
4) 우리나라에서의 장애인관 변천

Ⅲ. 장애인 사회통합에 대한 이해와 저해요인
1.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이란
2. 사회통합의 이념과 목적
3. 우리나라 장애인 사회통합의 문제점
1) 특수교육제도
2) 직업재활과 취업제도

Ⅳ. 우리나라 장애인 사회통합을 위한 지도자 역할 및 방향
1. 장애장벽제거운동의 전개
2. 장애인을 [컨슈머]로 인식
3. 정치적,경제적 권리의 완전확보
4. 장애인지도자의 역량강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람의 말보다는 다수의 말이 더 설득력이 있고 그것의 파괴력과 해결방안을 더욱 지대할 것이다. 따라서 조직체계를 잘 육성하는 「리더쉽」이 필요한 것이다. 이 「리더쉽」에는 판단력과 추진력 그리고 조직체계의 역동성도 포함된다 하겠다.
그래서 집단적·조직체계적 대응이 필요할 때는 강력한 권익집단으로 세력화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한 정신지체인 어머니가 클린턴 행정부의 특수교육과 재활의 책임자로 있는데, 이 어머니는 아들이 가까운 학교에서 입학거부를 당하자 고소를 하면서 전국적인 장애인부모조직을 만들어 대응하면서 「권익집단」으로 육성시켰던 것은 좋은 사례라 하겠다.
Ⅴ. 결론 및 제언
본고는 결론 및 제언을 장애인지도자로서의 구체적 역할로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지도자가 이웃과 사회에 대한 봉사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매사에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사고로 우리사회의 어두운 면을 밝히는 복지사회의 선봉장이 되어야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의식이 바뀌고 통합도 촉진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유지나 지도자와 함께 「장애인복지위원회」 등 통합적인 조직체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고 재활의 표본과 사례를 보여주어야 하며, 다른 사람의 도움보다는 스스로 자립하는 독립생활이념을 구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역장애인지도자는 「그룹홈」, 「독립생활센터」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고용하는 「지원고용」(supported employment) 프로그램 및 사업체 운영 등 자립의 제 형태를 마련하고 주도적으로 운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재활산업과 사업도 육성시킬 책임이 있으며 특히 지역사회 내에 있는 중증장애인의 의료보장, 보호, 재활 그리고 삶의 질 향상에 깊이 있는 연구와 지역사회조직과 지원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하는 것이 오늘 우리 장애인지도자의 과제라 하겠다.
셋째, 장애인 재활 및 복지정책 형성과정에서부터 장애인지도자가 참여하여 심의 조정, 의결, 집행 그리고 사후관리를 하는 등 정책전반을 주체적으로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니까 장애인지도자가 정책형성과 결정의 주체가 되어야 하는 책임과 사명이 있다는 것이다.
넷째, 장애아동의 조기사회통합을 위해서 장애아동의 통합보육을 권장토록 하며, 초·중·고등학교 윤리와 도덕관련 교과서에 자연스럽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살아가는 내용을 싣는데 장애인지도자가 앞장서야 할 것이다.
더구나 각종학교 교과내용이나 사회교육교과 프로그램 그리고 사회재활프로그램 속에 장애인의 이해와 사회통합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끊임없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최근 재활공학이나 재활테크닉은 첨단기술과 함께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다. 비록 중증장애인일지라도 재활공학기기가 주어지면 사회참여나 통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미국 등 통합사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장애인기술지원법」과 같은 법률이 제정되도록 장애인 지도자는 힘을 써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인지도자는 특수교육제도와 장애인복지제도에 있어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분리를 조장하는 법률개정을 체계적인 연구 속에서 청원하고, 필요한 법률의 입법을 위해 힘을 결집해야 할 것이다. 특별히 미국에서 1964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여성 및 소수민족 차별금지법」과 같은 「장애인차별금지법」(Lehr & Brown, 1996)을 제정·시행하되 우리사회의 법적·도덕적·윤리적 강령도 함께 의무조항으로 명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일을 위해서는 ▲ 장애인지도자가 국회나 지방의회 등에 적극 진출해서 의원입법이나 조례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겠고 ▲ 장애인지도자가 장애인복지에 대한 이해가 있는 정치지도자를 뽑아 개선하는 방법도 있겠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문지식과 소양을 갖춘 장애인지도자가 일정비를 국회나 지방의회에 참여하도록 해야 할 당위성은 충분히 있다고 하겠으며 이와 같은 것이야말로 장애인 사회통합의 한 전형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오혜경, 김정애, 2000, 『여성장애인과 이중차별』, 학지사.
이성규, 2000,『사회통합과 장애인복지정책』. 나남출판사.
김종인(1986), 정신박약자 직업재활활성화방안, 계간 재활(여름호) 서울 : 한국장애자재활협회 4-15.
신광영, 2005, “분배와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복지의 이념과 철학 : 사회적 배제, 사회통 합과 세계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5년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김종인(1997), 정신지체인직업영역확대방안, '97고용촉진세미나자료 서울 :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김종인(1988), 장애인복지정책형성에 관한 연구, 장애인복지정책세미나자료, 주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안태윤(1969), 한국인의 전통적 장애인관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사업대학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대구.
이규태(1988),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 조선일보 출판부 3-43.
이성재(1997), 장애인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장애인정책입문, 서울 :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63-72.
Albrecht, G. L. (1997), The Disability Business Saga Library of Social Research 190 International : SAGE publications 285-288.
Lehr, D. H. & Brown, F. (1996),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Challenge the System International : Paul, H. Brookes 131-157.
National Organization on Disability(1994), That All May Workship, An interfaith welcome to people with disabilities, USA 1-45.
Seo, G. H. & Han, H. S. (1992), Special Education in Sorth Korea. Exceptional Children, 5, 213-217.
Szymanski, E. M. & Parker, R. M. (1993), Rehabilitation Counseling Texas : pro·ed USA 103-133.
  • 가격2,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8.29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