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서스’ 국내시장 진출의 성공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개 요
2. 도요타의 브랜드 렉서스.1

Ⅱ. 본론
1. 렉서스의 국내진출
(1) 진출동기
(2) 한국시장내 주요연혁
2. 렉서스의 STP
(1) Segmentation
(2) Targrting
(3) Positioning
3. 4P 분석
4. SWOT 분석
5. 경쟁사 동향

Ⅲ. 결론

본문내용

했다. 이는 렉서스의 성능이 자동차 선도시장인 미국시장에서도 인정받을 만큼 뛰어나다는 것을 말해준다.
② 경쟁제품에 비해 저렴한 가격
ES300의 경우 5,000만원 대의 가격을 가지고 있으나, ES300의 경쟁차종이라 할 수 있는 BMW의 330i나 525i, 530iC는 6,800만원에서 8,000만원정도의 가격을 가지고 있고, Mercedes-Benz 의 E클래스는 7,300만원에서 8,300만원의 가격대를 가지고 있다.
③ 신속인도 시스템
국내 고객이 주문하면 일본 규슈 공장에서 아침에 출고 돼 후쿠오카와 부산을 거쳐 다음날 오후 고객에게 전달되는 ‘신속 인도 시스템’으로 경쟁사보다 제품을 더 빨리 고객에게 인도해준다.
(2) Weakness
① 한국시장 내 낮은 인지도
렉서스의 현지법인인 ‘한국 도요타 자동차(주)’는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2001년부터 렉서스의 판매가 시작되어 세계시장에서 렉서스의 브랜드인지도 보다 한국시장에서의 렉서스 브랜드 인지도가 낮다.
② 렉서스만의 전통 부재
렉서스는 탄생한지 이제 경우 10년이 조금 넘은 브랜드로 이미 수십 년 동안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타 브랜드에 비해 ‘전통’이 약하다. 게다가 자동차 선도시장이라 할 수 있는 미국이나 유럽 등지의 일부 소비자들에게 ‘렉서스만의 개성 없이 세계 명차의 장점만 카피하여 짜깁기 한 차’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3) Opportunity
① 한국 수입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
한국 수입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또한 앞으로도 고속성장이 예상된다. 한국 도요타 자동차(주)의 야스노 히데아키 사장은 “한국자동차 시장은 10년 후 200만대에 이르고, 그 중 수입차가 약 5%인 10만대 정도를 차지할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본적이 있다.”라며 한국 수입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4) Threat
① 한국 내 반일 감정 고조
아직까지 국내의 한·일 관계 사이에는 민감함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반일 감정이 한번 촉발되게 되어 그것이 ‘일본제품 불매 운동’ 등으로 이어질 경우, 렉서스의 판매가 급감할 가능성이 높다.
② 수입차 시장규모에 비해 까다로운 승인 절차
“모델별로 연간 1000대 정도가 팔린다면 몰라도 200~300대를 팔기 위해 한국의 승인절차를 맞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한국 토요타 자동차(주) 야스노 히데아키 사장)
5. 경쟁업체 동향
국내 시장에서 렉서스와의 가장 큰 경쟁업체는 BMW와 벤츠라고 할수 있다 이 두 회사는 세계시장에서 품질면에서는 최고급으로 인정받고 있는 차이며, 국내에 진출해 본사 판매 법인을 두고 있고, 또한 현재 수입차 시장에서 렉서스와 더불어 나란히 1,2,3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1) BMW (www.bmw.co.kr-fascination, http://www.kaida.co.kr/membr/bmw_copr.jsp)
BMW는 현재 국내 수입 차 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고수하다가 렉서스에게 그 자리를 내주고 2위에 머물고 있다. BMW 코리아는 한국에 진출해 있는 수입차 업체 중 최초의 본사 판매법인으로 95년 7월 지사를 설립한 이래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수입차 업체 중 가장 많은 전국 18개의 서비스 망을 구비하고 24시간 A/S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BMW는 고객들에 대한 서비스로 2001년 7월, 국내 수입차 업계 최초로 BMW 파이낸셜 서비스 코리아를 설립해 고객들에게 최적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겨울철에는 안전운전교육을 실시하고, 매년 장학생을 선발해 학술상을 수여하거나 과학도서를 기증하는 등 사회활동에도 열심히 참여하고 있어 소비자들로부터 인지도를 쌓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디자인으로 무장한 신차를 출시함으로써 다시끔 국내 1위 탈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Mercedes-Benz
세계 최고의 자동차 업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벤츠는 유독 한국시장에서는 BMW는 물론 렉서스에까지 밀려 3위로 전락한 상태다. 이는 그동안 브랜드 로얄티에만 의존하는 소극적인 마케팅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평균 판매단가로만 보았을때는 벤츠 1억2030만 원, BMW 8130만 원, 아우디 7870만 원, 렉서스 6460만 원의 순으로 나타났다.(http://cafe.naver.com/automobile1.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93)
국내 판매되는 차종은 BMW에 이어 2번째로 많고 수입 차 최초로 국내 제작 TV 광고를 선보이기도 했는데 이러한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인해 벤츠 코리아는 2003년 2월 그동안 렉서스에게 내주었던 2위 자리를 탈환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3년에 10만킬로까지 소모품을 포함한 모든 수리비용을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서 고객에게 서비스 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www.mercedes-benz.co.kr-services-isp)
<표7>
(www.kaida(한국수입자동차협회)-데이터베이스-연도별수입차점유율)
Ⅲ 결 론
얼마전 동산도서관에서 “오너다이이치”가 저자한 “도요타의 현장경영”이라는 책을 읽고 깊이 감명을 받은적이 있다. 현재의 경영학을 공부하면서 느낀것은 대량생산을 통해 코스트를 최소화하여 많은 이윤을 남기는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반해, 그는 최근 우리가 수업시간에 배운 “노동생산성”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미국의 자동차공장을 방문하고 돌아온 그는 대량생산을 위한 기계설비보다는 최고의 노동생산성을 추구하여 코스트를 낮춤은 물론이고 대량생산을 위한 설비비와 재고위험을 한번에 줄이는 획기적인 방법을 보여주었다.
최근 50년이래 일본 불황속에도 한번도 적자를 내지 않은 기업으로 유명한 도요타 자동차. 어쩌면 한국내에서의 성공도 미리 예견된 일이였던것 같다. 한국 사람들의 기계적 일제에 대한 동경과 그에 상응하는 품질, 서비스, 고객욕구를 모두 충족시킴으로써 브랜드 파워를 가진 독일계 자동차 업계는 물론 내수시장까지 위협하고 있다.
철저한 관리와 빈틈없는 경영, 우리나라 자동차 기업도 세계화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밴치마킹이 불가피할것이라 생각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9.03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