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현대사회] 기독교와 현대사회 강의노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와 현대사회] 기독교와 현대사회 강의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내산 계약 = 십계명

2. 후기 산업 사회의 문제

3. 후기 산업사회의 5가지 특징 ( H. Cox )

4. 출애굽과 히브리의 `Θ'. 그 역사적 배경

5. 출애굽 과정

6.`출애굽과 히브리의 Θ`의 종교사적 의미

7. 시내산 계약과 계약의 Θ. 그 역사적 배경

8. 계약 공동체의 정치제도

9. 계약 공동체의 종교제도

10. 예수가 가르친 Θ의 나라의 의미 -주기도문에서-

11. 십자가의 의미

12. 부활의 의미

본문내용

) 통치
※ '영적 통치'에 대한 어원적 해석 : "이 세상에 속하지 않는다."
"에" : ek - of : 과거의 입장 from
: 근대의 해석 - 이 세상에서 유리하지 않는다는 뜻. "너희 안에 있다."
"안에" : eutos - within : 과거의 입장. among :근대의 해석.
3) 성격
※ 통치의 방식과 복종의 관계가 중요.
통치 방식 : 3가지 비교
a) 로마의 방식 +▶ 권력을 이용한 압제, 억압의 방식.
b) 열심당의 방식.+▶ 폭력에는 폭력으로 대응하는 방식.
※ a),b) : 세상의 보든 권력 구조에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갈등이 존재하고 권력 구조의 변화는 없고 지배계층의 변화만 존재하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c) 의 통치
+▶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 청산 : 권력 구조자체의 혁명
+▶ How? : '지배자'가 '섬기는 자'가 되면 가능.
: "나는 섬김을 받으려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다."
: 의 나라 - 가 王으로 통치하는 나라
- '섬김'으로 통치.
- 예수께서 실현 : 만난 모든 이를 끝까지 섬기심 의 말씀을 그대로 이루심.
복종의 방식.
+▶ 회개
+▶ 삶 속에서 께 순종하고 그의 뜻을 실천하면 거기에 의 나라가 이루어짐.
: 의 나라는 시공의 차원이 아닌 정도의 문제이며 궁극적으로는 "하늘"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11. 십자가의 의미
※ 예수의 죽음 : 십자가의 처형 -▶ 그의 삶과 행위의 결과.
십자가의 원인
1) 외적 (역사적) 원인
: 재판
+▶ + 가야바 법정 (종교적) : 죄목 - 을 모독 -성전, 안식일, 모세율법.
| - 의 아들 or 이라 주장.
|
+ 빌라도 법정 (정치적) : 죄목 - 백성들을 선동, 열심당의 아류
- 자칭 유대인의 왕 -▶ 로마의 통치 부정.
: 재판의 신앙적 해석
을 모독하는 자, 정치적 억압을 당하는 자를 구원하기 위해 그러한 죄명으로 십자가를 지심.
2) 내적 (신학적) 원인
: "이스라엘을 구원할 자가 자신도 구하지 못하는가?"
+▶ 신정론 : 선하고 전능하신 이 고통을 당하고 죽을 수 있는가 라는 질문 발생.
※ 신관
Apathos : 무감정의 -▶ 희랍의 신관
은 불사, 무감정, 무고통 -▶ 인간에 대해 몰인정함.
Pathos : 감정의 -▶ 히브리의 신관
고통받는 이를 사랑하시고 그의 고통에 동참하시는
+▶ 의 인성화 : 예수 - 인간의 고통을 몸소 체험하고 죽음까지 동참.
: 의 죽음 -▶ 십자가의 삼위일체
+ 성부 - 부성의 포기
+ 성자 - 죽음의 죽음
+ 성령 - 신성의 포기 ---▶ 십자가의 구원.
십자가의 의미
1) 고난의 표상
1. 육체적 고통
2. 정신적 고통 : 조롱과 수치, 멸시와 천대.
3. 사회적, 정치적 고난 : 행악자, 로마에의 모반자.
4. 종교적 고난 : 을 모독한 자.
※ 고난의 구체성, 고난의 실재성, 고난의 다차원성.
2) 의 고난
1. Pathos : 神이 人間의 고난에 동참.
2. 십자가의 삼위일체
3. 바라보는 시각
+ 유대 : 거리낌의 대상
+ 헬라 : 어리석음
+ 기독교인 : 구원의 능력
4. 유신론과 무신론을 극복하는 대안
+ 유신론 : 신의 존재 강조. 세상의 고통에는 무감각 - 고난과는 무관성.
- 고난에 대한 인간의 자유와 책임: 실존주의, 공산주의의 형태로 표현.
※ 십자가의 신학
: 이 고난에 동참
-▶ 궁극적인 고난의 극복
: 부활 -▶ 신의 부정 : 부정의 부정(인간의 온갖 고난에 대한 부정)
---▶ 궁극적 긍정. -▶ (-) × (-) = (+).
※ '십자가'와 '부활'은 동전의 양면의 관계와 같다.
12. 부활의 의미
1.배경
1) 타종교, 사상과의 비교 죽음과 그 이후에 대한.....
헬라 사상 : 영혼불멸 - 몸은 죽고 영혼만 살았다.
동양사상(仙) : 老而不死
서양일부 종교 : 승천.
※ 기독교 :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죽음 -▶ 장사 지냄 -▶ 음부에 내려감 -----▶ 몸의 부활.
: 죽음 이후에 대한 전향적인 의식.
2) 어의
: Arastasis : stasis - 항거, 봉기 : 대항하여 일어남.
cf) Egeiro : 자연스런 일어남.
2. 부활은 역사적, 생물학적 사실인가?
- 부활에 대한 부정적 전승
가사설(기절설) 시체유기설 착각(환상)설 강령설 신화설
3. 어떻게 부활의 역사성을 검증할 수 있나?
1) 역사적 검증은 불가능.
+▶ 유비(Analogia)가 없는 유일회적 사건이기 때문.
+▶ 성서의 기록만으로
2) 성서의 기록.
1. 빈 무덤(마가복음)
2. 부활전승 (고린도전서)
+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다.
+ 땅에 묻히셨다.
+ 삼일만에 다시 살아나셨다.
+ 여러사람에게 나타나 보이셨다. !!!!!
※ "나타나 보이셨다." : opthe
-▶ 부활의 '목격자' 존재.
But! 목격자 중에 비기독교인은 왜 없는가?
+▶ 믿음이 있는 자에게만 보이신 "계시의 사건" 이었기 때문.
- 목격자 중에 비기독교인은 없지만, 목격자의 '부활신앙'은 긍정할 수 있다.
-▶ 십자가시의 삶과 부활 후의 삶은 혁명적으로 전환된 모습을 보인다.
죽음 ---▶ 삶의 활력!!!
<십자가> 좌절 포기 무력 해체 두려움 불신 죄의식
+ : 전환("Etwas"-사건 발생)
<부활> 희망 헌신 강력 모임 용기 신앙 회개
의미
1. 고난에 대한 철저한 항거와 궁극적인 해방을 표상.
2. 죄와 불의에 대한 의 속죄와 구원.
3. 죽음의 죽음 = '살' : 새 생명, 영생.
: 인간을 지배하는 마지막 힘인 죽음의 세력을 극복.
+▶ 자연적인 죽음, 폭력적인 살해 등에 대한 두려움으로 사람들은 무기력해 지고 타락하게 된다.
---▶ '부활'로 인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바른 삶의 자세를 지킬 수 있다.
4. 사탄의 세력에 대한 의 통치의 궁극적인 승리.
5. 역사 속에서 역사의 종말, 궁극적 의미가 제시됨. : 역사의 선취(先取)
+ 모든 고난은 환희로, 모든 죄와 부정을 의로 바뀜.
++ 더 이상 죽음이 인간을 지배하지 못함 (영생)
|+ 의 나라가 온전히 이루어짐.
+---▶ '가치'를 위해서라면 육신의 생명도 버릴 수 있는 이유
: 가장 가치있는 일 : 예수 그리스도를 위해 죽음.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