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비전 저널리즘의 양면성과 공론영역의 가능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서 론

2. 정보사회와 공론영역의 쇠퇴
1) 공론영역의 의미
2) 정보사회와 공론장(public sphere)
3) 하버마스의 공론장
①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
② 웹스터의 공론장 쇠퇴론

3. 공론영역으로서 텔레비전의 규범과 현실 분석
1) 텔레비전과 공론영역의 성격
2) 한국 텔레비전 공공영역의 지형

4. 텔레비전 저널리즘의 양면성: 오락과 정보

5. 텔레비전 저널리즘의 구체적인 양식
1) 텔레비전 뉴스의 현실구성 방식
2) 퍼스낼러티 중심의 뉴스전달
3) 여성 앵커, 뉴스 상업화의 상징인가?

6. 공론영역의 새로운 가능성과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가 시민운동이나 시민사회 영역 등을 통해 효과적으로 압력을 행사한다면, 대중화, 오락화를 추구하는 상업방송의 내용 속에도 비록 제한된 것이긴 하나 공론영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교두보로 확보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텔레비전 영역에서도 시장자유주의의 논리가 힘을 얻고 있는 가운데 공공적 성격을 띠는 프로그램 장르들이 오히려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즉 텔레비전의 기술적·제도적 성격을 감안할 때 완전한 공론영역으로 거듭나기는 쉽지 않겠지만 같은 텔레비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대안적 저널리즘 양식은 가능하다. 가령 뉴스의 단편성을 보완한 심층보도 프로그램이라든지 시청자나 외부 인사들이 참여하는 정책 토론 프로그램, 액세스, 옴부즈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IMF 이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텔레비전 토론 프로그램의 잠재력은 주목할 만하다. 텔레비전이라는 매체 형식을 통한 토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그렇게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액세스 프로그램이나 참여 프로그램이 시청자에게 참여의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이들을 회유하는 속임수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그리고 토론이나 참여 프로그램은 방송사에서 짜놓은 틀에 따라 진행된다는 점에서 시청자의 실질적인 참여나 영향력에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공적인 토론은 하버마스가 공론영역에서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로 보았던 담론 양식(discursive mode)을 채택하고 있으며, 시청자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전문지식보다는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상식적인 논리에 의해 진행되고 있어 공론영역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Dahlgren, 1995, pp.65-66; Livingstone & Hunt, 1994).
위에서 언급한 양식들은 기존의 뉴스 양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공론영역의 형성에 기여할 잠재력이 있는 저널리즘 양식들이다. 물론 시장논리가 지배하고 있는 텔레비전 방송에서 이러한 장르들의 위상은 매우 제한적이다. 이 프로그램들은 비중도 작을 뿐 아니라 심야나 이른 아침 등의 시간대에 편성되고 있어 '주변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중성의 잣대가 프로그램의 위상을 결정하는 지금 체제하에서 이러한 주변화는 불가피한지 모른다. 그렇지만 이는 텔레비전이라는 대중적인 매체에 참여적인 공론영역의 형태를 심을 수 있는 발판을 확보한 것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매체 시장에서 진입 장벽이 갈수록 높아가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텔레비전을 배제하고 다른 대안 매체를 모색하는 것은 영향력의 면에서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 대안 장르의 낮은 대중성은 하버마스가 말한 시청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길러지지 못한 왜곡된 의사소통 구조를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앞으로 이를 키워 장르의 대중성과 영향력을 확대해나가는 것이 공론영역의 과제라 할 수 있다. 텔레비전 매체는 독특한 기술적 속성과 재현방식 때문에 공론영역에 활용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이 매체의 영향력은 공론영역에 활용할 만한 많은 잠재력을 안고 있다. 텔레비전 저널리즘의 정형화된 제도적 틀과 관행을 극복하고 공론영역에 적합한 새로운 저널리즘 형식을 개발해내는 것이 앞으로 남은 과제다.
참고문헌
윌리엄스, R., 박효숙 옮김, [텔레비전론], 서울 : 현대미학사, 1996.
하버마스, J., 이진우 옮김,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서울 : 문예출판사, 1994.
정용준 (1995). "1990년대 한국방송구조의 공익성에 관한 연구: 국가, 시장,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Curran, James (1991). "Rethinking the Media as a Public Sphere." In Peter Dahlgren and Colin Sparks (eds.), Communication and Citizenship, London: Routledge.
Dahlgren, Peter (1995). Television and the Public Sphere, London: Sage.
Fiske, John (1987). Television Culture, London: Routledge.
Garnham, Nicholas (1992). "The Media and the Public Sphere." In Craig Calhoun (ed.), Habermas and the Public Sphere, Cambridge: The MIT Press.
Gitlin, Todd (1980). The Whole World is Watch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Habermas, J rgen (1974). "The Public Sphere: An Encyclopedia Article(1964)." New German Critique, no.3.
Habermas, J rgen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vol.2, Boston: Beacon Press.
Habermas, J rgen (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Cambrdige: The MIT Press.
Livingstone, Sonia and Peter Lunt (1994). Talk on Television: Audience Participation and Public Debate. 김응숙 역 (2000). <텔레비전과 공중> 커뮤니케이션북스.
Morse, Margaret (1986). "The Televsion News Personality and Credibility." In Tania Modleski (ed.), Studies in Entertainment,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Peters, John D. (1993). "Distrust of Representation: Habermas on the Public Sphere."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15.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1.14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