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수학교육에서 인터넷 활용의 필요성 및 실태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교육정보화와 인터넷 활용
2.2 수학교과에서의 정보기술 및 인터넷 활용의 필요성
2.3 교사정보화와 인터넷 활용
2.4 수학 교과에서 인터넷을 활용

3. 연구대상 및 방법
3.1 연구대상 및 절차
3.2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분석
4.1 교사의 컴퓨터 및 인터넷 활용에 관한 환경과 사전경험의 정도
4.2 교사의 수업관련 컴퓨터 및 인터넷의 활용 정도
4.3 컴퓨터 자료를 포함하는 수업자료 준비에 관한 교사의 인식 정도
4.4 인터넷 활용에 있어 교사가 지각하는 장애 요인의 정도

5. 결론 및 과제

참고 문헌

본문내용

애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교사들의 인터넷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가 실제 교수-학습 현장으로 연결되어 실천된다면 학교수업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되며, 위의 학교 수학 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에서의 인터넷 활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부, 학교, 교사, 수학교육 연구자의 개선 노력을 제언하는 바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은 매우 급격하여 한 유형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학교 현장에 도입이 됨과 동시에 새로운 종류가 개발이 되며 이전에 들여온 기자재는 컴퓨터실에 매장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기자재의 도입에 나아가 지속적인 보수(maintenance)를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학교사들 중 테크놀로지 담당 교사를 자원 받아 국가, 대학, 혹은 연구 기관에서 지속적으로 연수를 받을 수 있는 훈련 체제의 설립이 필요하다.
매일 매일의 교수 자료 준비와 수업에서 수월하게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 제작이 국가 차원 혹은 연구 기관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이 사이트에서는 교육 정보가 영어보다는 한국어로 제공이 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 많은 인터넷 교육 자료가 영어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이 인터넷 활용의 장애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한국어 교육 자료 사이트는 국가 차원에 지원되어야 하며, 실제 개발은 이에 대한 관심과 철학이 있는 교사와 수학교육 연구자들에게 책임을 주어야 할 것이다.
한편 모든 수학교사들에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활용의 극대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즉 잘 준비된 교사 연수라고 생각된다. 현재 학생들은 초·중·고등학교 순서로 테크놀로지 활용에 친숙하다고 할 수 있으며 칠판을 주요 기자재로 활용해 오던 수학교사들은 학생들에 비해 테크놀로지 활용이 훨씬 미숙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변화에 맞추어 교사들에게도 적절하게 연수 체제가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이 필요하다. 수학교사들의 인터넷 활용 증진을 위한 연수 체제는 일회적이 아니고 지속적이어야 하며, 테크놀로지의 활용 능력 정도에 따른 수준별 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여교사 혹은 경력이 많은 교사들과 같이 인터넷 활용에 있어 보다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정보화에 소외된 교사들을 위한 사이버 연수체제가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과정 안으로 통합 가능한 정보기술 활용 방안과 각 학년 및 단원을 가르칠 때 인터넷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공적으로 지원되어야 하고 이러한 연구에 적합한 연구기관이 모색되어야 한다. 교사와 교사들 간의 그리고 연구자와 교사들간의 네트워킹으로 경험과 아이디어를 공유함으로써 교사들의 시간과 경험 낭비를 방지하여 교사들의 교재 연구 및 교수 방안 모색에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등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는 연구센터의 설립 및 운영 지원 체제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방안 - 김정일 (교육부-연구논문120) 1999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터의 활용 방안과 과제 - 류희찬 (교원대 수학교육연구소) 1997
교육부,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1998). '98 교육정보화 사업 평가, 연구보고서 RR 98-1.
강숙희(1999). 인터넷 활용의 저해요인 및 활성화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2권 제2호, 9-18.
교육부(1997).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21세기 정보 사회 대비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정보기술 활용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RRC 99-2.
김금순(1996).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현황분석을 통한 내실화 방안.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주영주(1999). 교육정보화정책 수용자 의식이 관한 조사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제3권 제2호, 251-272.
이경희(1998). 멀티미디어 활용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경기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14권 제3호, 259-299.
정상권, 추상목(1999). 수학교육에서 Maple의 활용방안. 학교수학 제1권 제1호, 157-185.
김민경, 노선숙(2000). 초·중등 수학교사를 위한 상호작용적 웹기반 자료센터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 제39권 제1호, 71-80.
Lieberman, A. (2000). Transforming teaching and school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1st Emma Lecture, Ewha Womans University.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Sandholtz, J. H., Ringstaff, C. & Dwyer, D. C. (1997). Teaching with technology: Creating student-centered classroom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Roblyer, M. D. & Edwards, J. (2000). Integrating educational technology into teaching. NJ: Prentice Hall.
Provenzo Jr., E. F., Brett, A. & McCloskey, G. N. (1999). Computers Curriculum and Cultural Change: An Introduction for Teachers. NJ: Lawrence Erlbaum.
Streker, R. J. & Kasshoek, J. F. (1999). Discovering Mathematics with Maple. Basel: Birkhauser.
http://www.moe.go.kr
http://www.edunet4u.net
http://www.ed.gov/pubs/EdReformStudies/
  • 가격2,8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11.1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2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