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1.1 모유수유(母乳授乳)의 개념
1.2 문제제기
1.3 연구목적

2. 모유수유(母乳授乳)의 필요성
2.1 모유수유(母乳授乳)가 아기에게 주는 이익
2.2 모유수유(母乳授乳)가 산모에게 주는 이익
2.3 모유수유(母乳授乳)가 사회, 국가에 주는 이익
2.4 분유가 지니는 한계점

3. 모유수유(母乳授乳)의 어려움
3.1 모유수유(母乳授乳)의 실태
3.2 모유수유(母乳授乳)를 위한 공간 부족 및 질 저하
3.3 통일된 모유수유(母乳授乳) 지침서의 부재
3.4 모유수유(母乳授乳)에 대한 오해와 편견
3.5 분유(粉乳)에 대한 지나친 믿음과 선호

4. 모유수유(母乳授乳) 활성화 방안
4.1. 직장 여성의 모유수유(母乳授乳)를 위한 전략
4.2. 모유수유(母乳授乳)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 전환
4.3. 모유수유(母乳授乳)에 대한 체계적인 청소년기 보건교육

5.결론

<참고문헌>
<참고자료>

본문내용

&cate=1&idx=892
26. 두산백과사전
< 참 고 자 료 >
그림1-4. 지하철 모유수유실 설치와 사후 관리 문제에 대한 제보
http://blog.daum.net/ho461/11774898
<참고> 논문참고부문 연구결과
대학생의 모유수유 지식과 태도에 따른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유수유 생리, 모유수유 이점, 모유수유 영양, 모유수유 금기, 모유수유 시도, 모유수유 관리의 6영역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전체 모유수유의 지식정도의 평균은 0.43(1점 만점)이며 21.5%의 정답률을 보여 대학생의 모유수유 지식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여 평균 17.51점(56점 만점)이었던 이현교(2003)의 연구보다는 높았지만, 16.46점(33점 만점)이었던 김성희 외(2000)의 연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했던 9.84(20점 만점)의 이희정(2003)의 연구, 27.50(41점 만점)이었던 고범자(2003)의 연구보다는 낮았다.
남자 대학생의 정답률은 18.9%, 여자 대학생의 정답률은 24.1%로 남자 대학생보다는 여자 대학생의 지식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낫다. 대부분 문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정답률을 보였던 최정숙(2003)의 연구 결과와 같았다.
이를 각 영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먼저 모유수유 지식정도에는 모유수유 이점영역의 평균이 0.75로 가낭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모유수유 관리 영역 0.46, 모유수유 생리영역 0.42, 모유수유 금기영역 0.39, 모유수유 영양영역 0.29, 모유수유 시도영역 0.19순으로 나타나 모유수유를 하는 데 있어서 실제적인 면외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점 영역이 가장 높아 이현교(2003)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각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전체 문항 중 모유수유 이점 영역에서 ‘모유를 먹고 자란 아기는 알레르기 같은 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문항이 79.7%로 가장 높은 정답률을 보여, 정답률이 72.0%였던 최경숙(2000) 연구와 비슷한 결과였다. 반면에, 모유수유 금기 영역 중 ‘생후 즉시 모유수유를 시작하면 황달을 감소시킨다’는 문항이 7.1%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표 1. 대학생의 모유수유 지식실태>
영역
문항


정답률

N(%)

N(%)
전체
N(%)
모유
수유
생리
1.수유모가 담배를 피워도 니코틴이 모유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X
160(65.3)
184(70.2)
344(67.9)
2.모유수유를 하면 유방이 처진다.
X
68(27.8)
72(27.5)
140(27.6)
3.모유수유는 배란 현상을 지연시켜 자연 피임에 효과적이다.
O
58(23.7)
90(34.4)
148(29.2)
4.모유수유를 할 경우 임신 전 체중으로 빨리 회복이 되지 않는다.
X
92(37.6)
132(50.4)
244(44.2)
평균 +- 표준편차
0.38(+-0.23)
0.45(+-0.25)
0.42(+-0.24)
모유
수유
이점
5.모유 속에는 아기의 두뇌 발달을 촉진시키는 물질이 들어 있지 않다.
X
177(72.2)
210(80.2)
387(76.3)
6.모유를 먹고 자란 아기는 알레르기 같은 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
O
180(73.5)
224(85.5)
404(79.7)
7.모유를 먹인 여성은 유방암 발생률이 높다.
X
155(63.3)
199(76.0)
354(69.8)
평균 +- 표준편차
0.69(+-0.34)
0.80(+-0.27)
0.75(+-0.31)
모유
수유
영양
8.모유는 우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단백질 함량을 가지고 있어서 신장에 부담을 덜 준다.
O
107(43.7)
140(53.4)
247(48.7)
9.모유수유를 하는 영아는 우유로 기른 영아보다 생후 8~11개월에서 체중이 더 적다.
O
34(13.9)
40(15.3)
74(14.6)
10.모유의 주된 탄수화물 형태는 유당으로써 칼슘의 흡수를 촉진한다.
O
108(44.1)
131(50.0)
239(47.1)
11.전적으로 모유수유를 하는 영아들 중에서 비타민D 결핍시 발생하는 구루병의 발병률이 감소하고 있다.
X
20(8.2)
20(7.6)
40(7.9)
평균 +- 표준편차
0.27(+-0.25)
0.31(+-0.23)
0.29(+-0.24)
영역
문항


정답률

N(%)

N(%)
전체
N(%)
모유
수유
금기
12.수유모가 술이나 커피를 마시면 좋지 않다.
O
166(67.8)
201(76.7)
367(72.4)
13.생후 즉시 모유수유를 시작하면 황달을 감소시킨다.
X
16(6.5)
20(7.6)
36(7.1)
평균 +- 표준편차
0.37(+-0.06)
0.42(+-0.24)
0.39(+-0.24)
모유
수유
시도
14.모유를 먹는 아기의 체중이 생후 2주까지 출생시보다 늘지 않는다면 조제분유를 먹여야 한다.
X
50(20.4)
76(29.0)
126(24.9)
15.신생아에게 모유수유는 하루 6회 하는 것이 좋다.
X
33(13.4)
38(14.5)
71(14.0)
평균 +- 표준편차
0.16(+-0.30)
0.21(+-0.29)
0.19(+-0.30)
모유
수유
관리
16.젖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아기에게 젖을 먹이기 전에 엄마가 국, 쥬스, 물을 충분히 먹어야 한다.
O
132(53.9)
160(61.1)
292(57.6)
17.모유의 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출산 직후부터 아기에게 모유를 먹여야 한다.
O
118(48.2)
135(51.3)
253(49.9)
18.모유는 냉장 또는 냉동 보관 한 후 먹이면 안된다.
X
86(35.1)
150(57.3)
236(46.5)
19.모유수유 초기에는 수유 후 유방을 비워주어야 모유 분비가 촉진된다.
O
61(24.9)
106(40.5)
167(32.9)
평균 +- 표준편차
0.46(+-0.28)
0.52(+-0.28)
0.46(+-0.29)
전체 정답률 N(%)
96(39.2)
123(46.9)
109(21.5)
전체 평균 +- 표준편차
0.39(+-0.17)
0.46(+-0.14)
0.43(+-0.16)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11.2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3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