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소비성향의 문제점 및 그 대안 - CMA통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한국 대학생의 소비문화의 문제점
1. 대학생의 소비문화 진단
(1) 조사결과
(2) 명품 소비 성향
(3) 문제점
1) 카드빚에 관한 문제점
2) 모조품 증가와 성매매의 문제점
2. 대학생 과소비의 문제
(1) 소득의 증가
(2) 주체성의 부족
(3) 놀 거리 문화의 부족 및 사회적인 분위기

III. 대학생 소비문화의 해결책
1. 저축
(1) 저축의 의의 및 필요성
(2) 일반 보통 예금
(3) CMA(Cash Management Account) 통장
1) CMA 통장의 개념
2) CMA 통장의 장점
① 높은 이자율
② 공과금 등의 납부
③ 가상계좌의 신설
④ 수수료의 면제
2. 저축을 포함한 금융교육의 필요성

I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 우리의 모습은 이와 무엇이 다른가? 현재 매스미디어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자살, 강도 등의 사건 중 심심찮게 대학생이 신용카드의 빚 등으로 위의 범죄를 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신용불량자가 370만 명을 넘어서고 인구의 1/10 정도가 신용불량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면서 언론은 신용카드 빚 문제를 큰 사회적 이슈로 다루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금융교육은 우리에게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신용불량 문제를 비롯하여 평생의 밑천이 될 수 있는 금융 문제에 관한 해결을 위하여 금융교육에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하지 않을까? 무분별한 소비행동을 보여주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많은 좋은 교양서적과 전공서적을 읽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금융교육을 위한 서적 한두 권 정도는 교수들이 권할 수 있는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며, 나아가 대학에서도 많은 교양과목 중에 금융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의 신설도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금융교육은 어려운 것이 아닐 것이다. 현실적으로 대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CMA 통장의 개설에서부터 시작하여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살아있는 경제교육이 되고 바람직한 소비문화를 형성하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IV. 결 론
현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에게 ‘소비’는 매우 중요한 생활영역 중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소비생활에 있어서 무분별하게 행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소비생활은 작게는 자신의 생활에서 크게는 가정, 국가에까지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학생들이 이렇게 무분별하게 소비생활을 하고 있는 것에는 대학생 주체성 없는 소비 및 소비심리도 문제이지만 가정이나 학교에서 정상적인 금융교육을 받지 못한 것이 가장 큰 문제일 것이다. 자신의 개성의 발현이라는 의미에서 자신을 치장하는 데에 많은 돈을 투자하는 것을 나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나 대학생의 대부분이 부모님께 일정금액의 용돈을 받아서 사용하고 있는데 그 소득을 넘어서는 지출을 하고 있는 것은 단순히 개성의 발현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많다. 현재 심각하게 문제가 되고 있는 대학생들의 소비행태를 단번에 해결해 줄 수는 없겠지만 많은 부분 긍정적으로 돌릴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저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저축의 의미만을 생각해 본다면 시중의 은행의 일반 보통 예금을 들어도 무방할 것이다. 저축 그 자체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많고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소비생활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금 더 효율적이고 시중은행들이 제시하지 못한 부분 즉, CMA 통장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다. 자신이 매달 받는 비용이 많지 않다면 쓸데없이 지출되는 비용을 줄이는 것이 장기적으로 자산을 늘릴 수 있는 중요한 지름길이 될 것이며 나아가 자신이 정말로 지출을 해야 할 때 신용카드의 압박을 이겨내고 슬기롭게 지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CMA 통장의 일반 보통 예금에 비해 나은 장점을 잘 활용하여 저축하는 습관과 자신의 적은 돈으로 목돈을 만들려는 의지가 뭉쳐진다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미래의 소비습관은 긍정적으로 변화되지 않을까 싶다.
또 한가지 중요한 사항은 시중에는 많은 금융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러한 금융상품들은 일일이 관심을 갖지 않는다면 알 수가 없는 것이고 정확한 정보를 알기에도 힘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꼭 대학을 졸업하고 나서 취업을 한 뒤에 자신의 일정한 소득이 있는 경우에만 금융교육을 받으려고 하고 정말 필요할 경우에만 금융상품을 찾게 된다면 그만큼 리스크가 크고 우왕좌왕 할 것이다. 현재 대학교육에서 금융교육에 대한 과목 신설과 나아가 가정에서도 정확한 금융교육을 통해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소비생활로 인도해 줄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
< 參 考 文 獻 >
심리마케팅 연구회, 소비 심리 자극하기, 거송미디어, 1997.
이건홍, 그래도 은행이다, 마젤란, 2001.
박형준 외, 21세기 프론티어, 길벗, 2001.
< 參 考 S I T E >
네이버 www.naver.com
동양종합금융증권 www.myasset.com
재정경제부 www.mofe.go.kr
국민은행 www.kbstar.com
신한은행 www.shinhan.com
우리은행 www.wooribank.com
하나은행 www.hanabank.com
그 밖의 블로그 및 기사
www.saemaul.or.kr
www.lg.co.kr
www.news.hot.co.kr
www.kkujournal.com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1.3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8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