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과류의연구동향과 산업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과류의연구동향과 산업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과의 유래와 역사적 배경.......................
2. 한과의 종류와 조리법................................
3. 한과류에 관한 연구 동향.............................
4. 한과류 이용에 관한 실태조사...........................
5. 한과의 산업화 방안 모색.......

본문내용

노력이 필요하다.
(7) 전통 한과류에 대한 가치 인식 제고
학교교육과정, 특히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가정가사 과목에서 한과류의 종류와 특징 및 조리 방법 실습 등에 관한 내용이 선정되도록 하여 전통 한과류에 대한 가치를 인식시킨다. 또한 주부 상대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통 한과에 대한 인식을 바르게 하고, 일반 가정에서 명절음식, 제례음식, 행사음식으로 한과류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상차림 및 학교 급식 등 단체 급식 업소에서도 한과류를 후식으로 이용하여 어릴 때부터 한과를 먹게 한다면 한과의 맛에 익숙해지고 한과가 우리 식생활에 더욱 접근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Ⅲ. 결론
한과류에 관한 주된 연구동향은 한과류의 문헌고찰, 한과류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한과류 제조방법의 표준화 방법, 한과류의 관능적인 품질 특성, 한과류의 저장기간에 관한 연구 등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영양학적 측면에서 이루어진 한과류에 대한 연구, 기능성 식품으로 접근한 연구 등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직 한과류에 대한 영양성분을 분석한 자료와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한과류 조리서의 재료 및 분량에 대한 표시가 다양하지 못했다.
또한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한과의 인지도 및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 한과를 먹는 빈도수는 용돈별 혹은 성별에 관계없이 매우 드물게 먹는다는 응답자가 대부분을 차지했고, 집에서 만들어 먹는 경우보다 시장이나 백화점, 한과전문점등에서 주로 구입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계승희, 윤석인, 이철 의 논문 “주부들의 한과류 이용에 관한 실태조사”의 연구 결과와 같은 양상을 띄고 있었다. 대학생의 68%가 한과를 좋아한다고 응답했으며 좋아하는 이유로는 입맛에 맞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큰 빈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한과를 싫어하는 이유로, 한과에 익숙치 않아서, 입맛에 맞지 않아서라는 응답 등이 있었다. 많은 응답자들이 한과의 맛이 너무 달다고 지적하면서 달지 않은 다양한 맛이 개발되기를 바란다고 한과에 대해 바라는 점으로 응답해주었다. 또한 너무 끈적거리지 않으며, 균형있는 영양소를 이루는 한과개발이 필요하다는 알 수 있다. 한과가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포장과 보존, 유통과정에서 개선점 역시 발견되었다. 많은 응답자가 우리 고유의 한과가 양과 질이 양과보다 높다고 평가했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점을 이유로 구입을 꺼리며 한과를 간식용보다는 선물용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조사대상자들은 한과 포장재의 종류로 바구니 포장을 선호하였고 시판한과가 널리 보급되지 못한 이유로 한과를 파는 상점이 적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임을 주 이유로 제시하였다. 현재 한과류의 이용실태는 과거보다 점차 대중화되어가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양과와 비교할 때 아직 미흡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맞게 한과의 양과 질을 개선하고 웰빙을 추구하는 시대의 적합한 상품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한과를 만드는 전문 기술자의 양성, 한과류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와 제품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조사 및 품질의 향상이 요구된다. 또한 한과류가 유통기간이 짧은 상품임을 고려해 포장과 저장관리에 효과적이고 특수한 방법을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본 대학생의 한과류에 대한 이용과 인식, 기호도 설문조사 연구를 통해 한과류의 대량보급화를 위해 적극적이고 실질적 산업화방안의 모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과의 산업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제품의 다양화 및 품질의 차별화,
들째, 제조공정의 자동화를 통한 간편화 및 기계화
셋째, 저장성 향상을 위한 가공처리기술 개발
넷째, 포장 디자인 개선 및 마케팅 강화
다섯째, 유통 경로의 다양화
여섯째, 세계화 상품개발
일곱째, 전통 한과류에 대한 가치 인식 제고
한과류는 일상적 기호식품 보급으로서의 대중화 기능과 함께 전통적인 행사, 의례 음식 문화를 현대의 합리적, 경제적 식생활 문화와 조화롭게 접합시킬 수 있도록 산업화를 통한 계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 김규흔, 한과의 상품화 방안, 한국조리과학회, 2002
2. 김종애, 한과의 전통계승, 한국조리과학회, 2002
3. 김향숙, 떡, 한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조리과학적 고찰, 한국조리과학회, 2002
4. 계승희, 윤석인, 염초애, 한과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제조공정 및 기기설비류를 중심으로 -. 한국조리과학회, 1990
5. 이철호, 맹영선, 한과류의 문헌적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7
6. 김기숙, 이미정, 강은아, 최애진,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면병류와 한과류의 조리법에 관한 고찰, 중앙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9
7. 김은미, 김현숙, 일부 시판되고 있는 한과류 중 쌀유과, 깨유과 및 약과의 적정 유통기한 설 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 2001
8. 김기숙, 한과류에 관한 연구동향과 산업화를 위한 과제, 한국조리과학회, 1999
9. 이철호, 맹영선, 안현숙,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7
10. 임국이, 김선효, 한과류의 이용실태 및 시판 한과류의 품질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1988
11. 계승희, 윤석인, 이철, 주부들의 한과류 이용에 고나한 실태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7
12. 이예선, 한국 전통색채를 활용한 한과류 패키지디자인 연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02
13. 정효선, 신민자, 한국 전통 한과류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지도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과학회, 2003
14. 김애정, 영양학적 평가를 통한 전통식품의 산업화-한과(과정류)를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 과학회, 2003
15. http://blog.naver.com/rnjsdudtnr80.do?Redirect=Log&logNo=20001676387, 한국의 과자
16.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806&docid=5567, 한과의 유래
17. http://www.ds-food.com/story.htm, 대성식품
  • 가격2,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8.12.14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7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