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한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序論
-한류의 기원
-싱가포르는 어떤 나라인가?
-싱가포르의 한류에 대한 예상

2.本論-싱가포르의 한류 역사
-싱가포르의 한류 현황
-왜 한류인가?
-반 한류적 요소
-확대방안

3.結論
*부록 - 한류 관련기사 모음
*참고자료

본문내용

두고 있으며 지난달부터 한국에 ‘MTV 코리아’를 설립한 ‘MTV네트워크 아시아’의 프랭크 브라운 회장도 기자를 만나 “한국의 대중문화는 종류가 다양하고 발달돼 있어 문화욕구가 강한 싱가포르에서도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한편, 싱가포르의 최대부수(39만부) 발행신문인 ‘더 스트레이츠 타임즈’는 지난 28일 ‘홍콩과 싱가포르: 위대한 도시들이 되기 위한 노력’이라는 논평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홍콩과 싱가포르만 위대해진다면 그것은 곧 ‘우리의 지역’이 쇠락한다는 증거”라며 “일본, 한국, 중국, 동남아, 호주, 뉴질랜드까지 무역과 지적 아이디어의 교환 영역이 확대돼야한다”고 보도했다. ‘한류’열풍은 TV드라마 가격 등 경제적 요인에 앞서 서구화로 대변돼 왔던 세계화 속에서 ‘우리’라는 아시아대륙의 정서적 공감대에서 출발했는지 모른다. 전략적 마케팅과 병행해 아시아의 보편적 정서를 담아낼 수 있는 한국의 포용력과 폭넓은 접근이 시급한 때라는 교훈을 싱가포르의 현지 분위기가 우회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류 '한국표 사상'으로 승화시켜야
상표 가치에 최초로 눈뜬 분야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상이었다는 점은 매우 역설적인 사실이다. 공자, 맹자, 노자, 그리고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대가들은 학파를 구성하여 자국 범위를 넘어 광범위한 지역과 오랜 기간에 걸쳐 유명세를 떨쳤으며, 그 영향력이 비단 정치 부문에 그치지 않고 사회문화와 일상생활에까지 미쳤다. 사상에서 고유 브랜드를 만들어 내는 것은 두뇌혁명을 통해 정체성과 국제경쟁력의 확보라는 일거양득의 시너지 효과기 있다. 재미있게도 또한 사상은 격리된 서당에서가 아니라 대체로 시장에서 탄생하였다. 고대 희랍철학이 광장에서 출발했고 공자의 사상도 노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다듬어졌다. 이런 의미에서 현재 시장 속에서 움트고 있는 한류는 새 사상이 될 수 있는 가능태다. 문제는 어떤 집단적 동력이 이를 발효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한류는 중국에서 ‘하한쭈(哈韓族)’, ‘한미(韓迷)’라는 한류팬을 뜻하는 신조어를 만들어 낼 정도로 사회 문화적 파급효과가 크며, 이와 연관된 경제 및 산업 부가가치 창출 효과도 이미 상당한 규모에 이르고 있다. 또한 현재 한류가 일고 있는 지역은 거의 동아시아 전역이다. 위로는 몽골의 울란바토르에서부터 시작해, 중국의 북부 선양과 옌지 그리고 베이징, 중부의 상하이와 난징 그리고 양저우, 남부의 홍콩과 마카오, 일본 열도, 대만의 타이베이, 필리핀의 마닐라, 베트남의 호치민과 말레이시아의 콸라룸푸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중요한 점은 이 하한쭈가 일본에서와 같은 중산층 외에도, 주로 인터넷과 컴퓨터 문화에 익숙한 중국이나 동아시아 유산 계층의 청소년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동아시아의 미래 지도층이 한국 문화의 생산력과 비전에 공감하며, 자신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한류를 긍정적인 기초 토양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뜻한다. 이렇게 한류가 동아시아 전역에서 청년 문화의 중심축의 하나로 성장하고 있으나,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학문적인 차원에서나 국가 정책적인 차원에서 한류를 체계적으로 깊이 있게 연구한 경우는 드문 실정이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한류를 사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지적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한류현상의 문화산업정책적 함의-우리나라 문화산업의 해외진출과 정부의 정책지원-, 한국정책학회보 11권 4호, 2002, 김정수
중국 시청자 분화 및 채널 전문화 경향에 따른 편성전략, 방송문화연구, 2002, KBS방송문화연구소, 박유경
한국영상산없의 해외 시장 지향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2001, 전태석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현황(95-01), 방송위원회, 2002, 이수경
동북아시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성, 한국언론학보45-3호, 2001, 유세경, 이경숙
중국방송법, 방송위원회, 2002, 방송조사자료 2002-1
동아시아 텔레비전의 지역화와 한류, 방송연구2002년 겨울호, 하종원, 양은경
문화관광부보고서, 2002
문화통계연감, 2001
http://newsmaker.kyunghyang.com/culture_science/n411d12.htm
http://news.empas.com/show.tsp/20030120n06082board=Business_and_Economy&y_number=4&nnew=1
http://www.munhwa.co.kr/content/2003020401013030028002.html
http://www.mct.go.kr/cgi-bin/nph-hwp2html/tonggye/tonggye-data5/2002ex-import-1.hwp
http://www.mct.go.kr/uw3/glosend.csh/방송부문[1].hwp db_name=mocs_db&glo_oid=@3886|27|3&content_type=application/octet-stream&file_ext=.hwp
http://www.kbc.go.kr/%B9%E6%BC%DB21/028/128.pdf
http://www.hankooki.com/sed_culture/200302/e2003020419172238510.htm
http://www.kbc.go.kr/%B9%E6%BC%DB%BF%AC%B1%B8(2000%BF%A9%B8%A7%C8%A3)/%B1%E2%C8%B9%B3%ED%B9%AE/%C7%CF%C1%BE%BF%F8.pdf
http://www.kita.net/biz/html/kita/kita_qna_atta/269_1_%C7%D1%B7%F9%C7%F6%C8%B2%B0%FA%C8%B0%BF%EB%C0%FC%B7%AB%28%C3%D6%C1%BE%29.pdf
p.16 휴대폰부터~
p.23~
http://www.kita.net/
http://www.kctpi.re.kr/database/bogose/D001247.PDF
한국관광공사 보고서.2004
한국방송영상진흥원
아시아 문화교류재단
http://www.riss4u.net
  • 가격2,5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