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M][DOI]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정의,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기능,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기술 발전사, DOI(디지털객체식별자)의 연혁, DOI(디지털객체식별자)의 사용 사례 분석(DRM, DOI)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RM][DOI]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정의,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기능,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기술 발전사, DOI(디지털객체식별자)의 연혁, DOI(디지털객체식별자)의 사용 사례 분석(DRM, DO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정의

Ⅲ.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기능

Ⅳ. DRM(디지털저작권관리)의 기술 발전사

Ⅴ. DOI(디지털객체식별자)의 연혁

Ⅵ. DOI(디지털객체식별자)의 사용 사례
1. KERIS 학술 모델
2. KERIS 상거래 모델
3. 참조 연계 시스템
1) Open Journal Project
2) SFX 시스템
3) SLinkS
4) Web of Science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든 장서를 보여주려는 목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연계 방식은 BiomedNet의 BundledLinks에서와 같이 연관된 문서의 정적인 집합에 의해 모든 자원이 통제 가능한 상황에서 미리 계산되어야만 작동되는 연계 방식과 달리 자원 간 개념적 관계를 연계를 원할 시 구축한다. 이를 위하여 연계소스(예를 들어, MEDLINE), 서비스(예: 소장, 목차, 원문 등), 대상물(예: 온라인열람목록, 현재의 내용)을 미리 정의하고, 이용자에게 SFX 버튼을 제공하고 있다. 연계소스는 이름으로 표시되며, 미리 예상되는 연계로 구성된 Colli(Collection of anticipated conceptual links)가 만들어진다. 이용자가 원하는 파라메터 정보와 함께 SFX 버튼을 선택하면 SFX 서버는 Colli에 파라메터를 넣고 실행을 한다. 이때 실행되는 연계소스는 파라메터로 인하여 필터링을 거쳐서 실제적 연계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SFX는 선택 후 계산이 필요한 방식이나, 원하는 것에 대한 완벽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3) SLinkS
S-Link-S(The Scholarly Link Specification) 구조는 출판사간 참조 연계를 위하여 필요한 협약, 데이터 교환, 연계 프로그래밍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현되었다. 즉 S-Link-S는 정보 교환을 위해 정의된 구문과 어휘를 제공하며, 각 출판사는 단일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활용하여 다수의 출판사와 연계할 수 있다. 연계 소프트웨어는 메타데이타를 받아 하나의 URL, DOI, 혹은 S-Link-S 데이타에 기반 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출판사, 중앙집중기관, 도서관 등은 S-Link-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모든 연계에 대한 방법과 저작권 동의를 하게되며 정보를 제공하는 출판사는 개별 학술지로의 연계를 제공하는 원문에 대한 표준 메타데이타를 작성한다. S-Link-S의 중앙 데이터베이스에는 세계 곳곳에 흩어진 저널로부터 연계방법에 대한 규격을 모아놓고, 이용자의 이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S-Link-S는 특정 회사(Openly Informatics Inc.)가 제공하는 해결책이기 때문에 일반적 추세로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
4) Web of Science
ISI의 원문 연계 서비스로 Web of Science는 타 출판사와 타 기관정보 제공자들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원문과의 상호연계를 지원한다. 원문연계에 참여하는 출판사들이 개별 게재논문에 관한 메타데이타를 ISI로 송부하면, ISI는 자체 개발한 연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타 출판사의 서지정보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ISI 내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키를 생성한다. 생성된 키는 ISI 레코드의 키와 비교를 통하여 타 출판사의 원문과 Web of Science 레코드간의 연계가 만들어진다. 원문으로 연계되는 버튼이 웹에 추가되고 이용자는 Web of Scinece 레코드에서 곧바로 원문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타 출판사의 원문내의 참고문헌으로부터 Web of Science 레코드의 연계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축된다. 내부 연계의 종류로, 참조 연계, 인용 횟수(Times Cited) 연계(자신을 인용한 논문과 횟수), 관련 정보(Related Records) 연계(공통의 참조 문헌을 가진 논문들)가 있으며 외부 연계로 전문 연계, 특허 연계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Ⅶ. 결론
DRM 기술은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되는 다양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에 대해서 불법복제나 유통을 방지함으로써 저작권자의 권익을 보호하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다. 하나의 저작물이 발생했을 때 해당 저작물에 대해서는 저작권이 단순한 경우도 있고 매우 복잡한 경우도 있다. 가수들의 음악처럼 작곡자, 작사자, 편곡자, 연주자, 기타 권리 보유자 등 매우 복잡한 권리가 있는가 하면 저널리스트 개인이 작성한 기고문처럼 단순한 권리도 있다. 그러나 저작권의 복잡성 여부와는 별도로 인터넷을 통해서 불특정 다수에게 서비스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원 저작자의 저작권 보호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기술적 발전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 7 차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서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전인적이고 창조적인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교육학술 컨텐츠가 생성되고 보급될 것이다. 이들 컨텐츠는 현명한 사용자에 의해서 옥석이 구분될 것이며, 디지털 시대의 저작물에 대한 권리는 더욱 세분화되어 우리들 곁으로 다가올 것이다. 아직까지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되는 많은 정보들은 무료라는 것이 우리들의 통념이고, 따라서 저작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개념이 희박해져 있다. 그렇지만 무료로 제공되는 컨텐츠에도 분명한 저작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할 것이며, 이를 보호해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비록 기술이 아무리 뛰어나더라도 저작권 보호와 관리라는 측면에서는 법적인 측면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저작권 보호와 관리를 위해서 기술적으로 보다 완벽하게 제어하려하면 사용자에게는 편의성이 떨어지게 되며, 사용자 편의성만을 생각하다보면 저작권 보호가 허술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기술에 의한 저작권의 보호보다는 사용자마다의 저작권에 대한 관념과 보호를 위한 노력이 저작권보호의 진정한 해결책은 아닐까 생각된다.
참고문헌
강호갑(2005) / 최신 DRM 기술 동향, 전자공학회지 제32권 제11호
강호갑(2001) / DRM 기술동향, 계간저작권, 통권53호(2001년 봄호)
문주영 /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의 현황, 정보통신정책
성민규(2006) / DRM을 이용한 디지털 저작물 정보보호 모델 연구 ; OTP 적용 DRM Super-distribution 모델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건국대학교대학원
유승호(2000) / 디지털 시대의 콘텐츠 산업과 지역발전, 인터넷과 우리사회
이상정(1996) / 디지털 시대의 지적 재산권의 제한, 멀티미디어 시대의 저작권 대책, 저작권 심의 조정위원회
장용호·조은기·박소라(2004) /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에 관한 모형,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