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욕망을 지닌 존재로서의 주체적 여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여성의 성적 욕망에 대한 인식
2.1 과거의 성 관념: '낭만적 사랑'을 하는 무성無性적 존재로서의 여성
2.2 현재의 성 관념: '성적 해방'을 경험하는 비혼非婚녀들

3. 여성의 성적 욕망의 주체적 발아
3.1 남성 중심의 성에서 '벗어나기'
3.2 여성의 성적 '주체되기'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로의 몸을 계발하고 알게 하는 것, 이게 중요한 것 같아요.
- (사례, 우은정, 2001)
그러나 여성의 성, 그것은 남성과 여성 사이에서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동성 간 또는 양성 간의 교류도 가능할 것이다. 파트너가 없이도 가능하고 몇 명의 파트너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자기 몸을 통해 스스로 기쁨을 느낄 수도 있고 범 성적인 쾌락을 추구할 수도 있다. 지구, 하늘, 모든 사물 및 자연과 사랑 혹은 에너지를 나눌 수도 있다. 새로운 성의 개념화, 이를 위해서는 여성 스스로 자신의 성을 존중하고 그것이 지닌 놀라운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성의 성적 즐거움마저도 남성의 쾌락을 위해 희생해야 하는 개념이나 관행들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여성들은 우리 자신의 성을 재규정해야만 한다. '표준적인' 성행위가 여성의 성적 기쁨을 보장하지 못한다면 과감하게 '표준'이 아니라고 말하자. 그리고 여성들에게 성적 만족을 가져다 줄 여러 가지 기법들을 발견하고 사용하도록 해보자.
- 이재경 외(2007), 『여성학』
남성지배 사회에서는 여성의 성적 즐거움에 대한 오해나 왜곡들이 많다. 그 중의 하나가 '여성은 질 오르가즘을 통해서 성적 만족에 도달해야 한다'는 질 오르가즘 신화다. 다수의 여성들은 이성애 관계에서 질 오르가즘을 느끼지 않을 경우가 많고 오히려 음핵 오르가즘에서 더 많은 쾌락을 느끼게 된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 오르가즘 신화가 떠받들여지는 남성 중심적인 성 관행을 유지하고 여성을 성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다. 여성의 질은 남성이 성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신체기관이다. 따라서 남성들인 여성 독자적으로 쾌락을 느낄 수 있는 음핵 오르가즘을 열등한 것 혹은 위험한 것으로 규정한다. 질 오르가즘 신화는 여성을 독자적인 욕망을 가지고 있는 동등한 성행위 파트너로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적인 기제다. 이재경 외(2007), 『여성학』, (서울: 미래M&B)
음핵은 여성의 성적 욕망과 즐거움을 일깨워 주는 곳이자 성적 결합에서 남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관이다. 음핵 오르가즘은 레즈비언이나 양성애 여성을 가능하게 하고 성적으로 남성에게 종속되지 않을 수 있는 잠재성을 내포하고 있다. 나아가 음핵 오르가즘은 이성애 내 삽입 성교만이 정상적인 성으로 규정되는 데 대해 도전할 수 있는 중요한 지점이기도 하다.
4. 결론
본 연구는 억압되어 왔던 여성의 성적인 욕망에 대해서 연구하고 주체적인 여성으로서 성을 해석한 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여성의 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해 왔는지를 알 수 있었고 앞으로의 인식의 변화도 나름대로 예측할 수 있었다. 여성은 과거 무성적 존재, 남성의 쾌락과 출산을 위한 부차적 존재로 여겨져 왔으나 점차 많은 인식의 변화를 거쳐 성욕을 가지고, 성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주장할 수 있는 존재로 그 자리를 되찾았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주체적인 여성의 성적 행위나 여성 오르가즘에 대해여 제대로 된 연구 조사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며, 남성 강압적인 성의식에 연구가 치우쳤다는 점이다. 또한 아직까지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발현된 사례가 매우 적다는 것도 아쉬운 점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가 성관계이 남성중심이 아닌 상호중심(혹은 여성중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 여성의 성이 '순결하거나 타락했거나'의 양자택일 식으로 목도되지 않는 점 등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 이다.
5. 참고문헌
김진영(2001), 기혼 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박현욱(2006), 『아내가 결혼했다』, 서울: 문이당
우은정(2001), 한국사회 비혼여성들의 욕망의 억압과 탈주에 관한 연구 : 30대 초반 비혼여성들과의 심층면점을 중심으로
이재경 외(2007), 『여성학』, 서울: 미래M&B
장필화(2002a), 성(sexuality)에 관련한 여성 해방론의 이해와 문제 『여성/몸/성』
황인욱(2007), 영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본 섹슈얼리티와 가족 : <처녀들의 저녁식사>와 <바람난 가족>을 중심 으로
Anthony Giddens (1996) 『현대 사회의 성ㆍ사랑ㆍ에로티시즘』
Byers,E.S.,&Demmons, S.(1999). Sexual satisfaction and sexual self-disclosure within dating relationships. The Journal of Sex Reasearch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0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