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근거,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종류,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사상,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 영지주의자(그노시스주의자)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근거,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종류,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사상,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 영지주의자(그노시스주의자)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근거

Ⅲ.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종류
1. 알렉산드리아의 영지주의
1) 사투르니누스(Saturninus)
2) 카르포크라테스(Carpocrates)
3) 바실리데스(Basilides)
2. 시리안계의 영지주의
3. 유대주의계(Judaizing Type) 영지주의자
1) 에비온파
2) 케린투스(Cerinthus)
4. 로마의 영지주의

Ⅳ.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사상
1. 영지주의의 구원론
2. 영지주의의 우주론
3. 영지주의의 윤리론
4. 영지주의의 기독론

Ⅴ. 영지주의(그노시스주의)의 긍정적 기능과 부정적 기능
1. 긍정적 기능
2. 부정적 기능

Ⅵ. 영지주의자(그노시스주의자)

참고문헌

본문내용

였으며 또 그들의 편협주의에 대하여 예수 그리스동의 복음은 전 인류를 위한 것이라고 역설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영지주의의 사색이 기독교 안에서 지적 요소를 강조하게 되었고 이것이 교리 발전의 진정한 출발점이 되었다.
그 외에도 영지주의는 결국에 가서는 실패하였지만 신비주의를 어느 정도 교회에 전해주는데 기여했다. 그리고 영지주의는 2세기에 풍부한 문학을 산출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 예로서는 교회의 전승 및 신약문서의 본문과 내용, 교의학과 윤리학 등에 관한 비판적 저작들을 만들어낸 선구자적 사업은 그들에 대항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2. 부정적 기능
영지주의의 부정적 기능을 살펴보면 그 첫째가 이원론을 주장하여 물질을 죄악시한 점이다.
영지주의자들은 이원론에 입각하여 물질계와 영계로 존재를 나누고 물질을 죄악시하였기 때문에 하나님에 대해서 잘못된 교리를 가르쳤다.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창조하신 것을 부인하고 하나님은 영계를 다스리시고, 데미우르고스가 물질계를 만들어 다스리는 것으로 말함으로 참하나님과 창조주를 분리시키는 오류를 범하였던 것이다. 그 두 번째가 기독교의 역사적인 요소들을 과소 평가하였다는 점이다. 그들은 예수 그리스도에게 가현설을 주장하며 예수의 육체 탄생을 부인하여 영지주의자들은 예수의 생애, 행위, 교훈, 죽음 및 부활로부터 신앙을 분리시키려는 경향이 있었다는 점이다. 또 어떤 파에서는 예수는 육체를 입었으나 그것은 메시야로서 공적 사역을 하는 동안 잠정적으로 빌어 쓴 것으로 보았으며, 또 다른 파에서는 그리스도는 결코 육체와 관련이 없었으나 사람으로 보였을 뿐이며 사실 순수 정신에 지나지 않았다고 주장하였으며, 또 다른 체계는 그리스도를 하나의 에온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 견해로 그리스도는 예수에게서 분리시켰으며, 또한 영지주의는 예수와는 다른 사람이 처녀 마리아에게서 나서 사람들의 구주로 보냄을 받았다고 가르쳤던 것이다. 이 견해들로 예수의 완전한 인성을 부인하여 기독교의 역사성을 약화시켰던 것이다. 그들은 이러한 원리에서 그들은 인간의 부활과 심판을 부인했으며, 신비의식이 성하였던 것이다. 또한 그들의 창조주 하나님을 배격하고 반 유태주의로 나가던 저들의 사상은 기독교에 들어와서도 구약성서를 완전히 부인하였으며, 혹은 노스틱 체계를 위해서 성서를 우의적으로 해석 하였는데 대부분의 그노시스주의자들은 일체의 역사적 문학적 요소를 배제해 버리고 심리적인 경험으로 재해석하는 오류를 범하였던 것이다. 또한 저들의 구원의 방도는 그리스도의 구속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들의 지식을 통해서 물질의 속박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세계로 돌아가려고 하였던 것이다.
그들의 지식이란 그노시스 혹은 보다 높은 지식으로서 초자연적 지식을 의마형했으며 이것은 소수 영적인 지식인에게만 국한된다고 보았으므로 구원이 극소수의 특정인에게만 국한된 것으로 보아 기독교를 편협한 종교로 만들려고 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지주의는 기독교를 혼합주의 종교로 만들려고 했다는 점이다. 영지주의는 유대적 요소, 헬라적 요소, 이런 여러 근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들을 모조리 이용해서 기독교적 요소를 가미하여 하나의 우주적인 종교가 되게 하려는 일련의 시도를 하였으며, 기독교를 당시의 종교 풍토에 적응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부우세트는 노스틱주의를 본질적으로 기독교를 벗어난 후퇴적 운동, 즉 보편적 종교의 발흥에 대한 혼합 종교의 반발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영지주의는 유대교에 깊이 뿌리박고 있으면서 나중에는 유대교적 요소와 기독교적 교리 그리고 이교 사상의 신비주의적인 것들을 혼합시킨 것으로 영지주의는 이 혼합을 시도하기 위해서 생략과 해석에 의해 적응을 시도하려다 복음을 왜곡시켰던 것이다. 영지주의는 3세기까지는 번창하였으나 얼마 못가서 자취를 감추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만일 기독교가 영지주의 이단을 결속하여 대치하지 않고 저들과 제휴하였던들 오늘의 기독교 역사도 저들과 함께 사라졌을 것이다.
Ⅵ. 영지주의자(그노시스주의자)
영지주의자(gnostic)란, 개인적 조명(illumination)을 통하여 하나님께 이르는-구원의- 길을 안다고 하는 기독교 이단 종파의 하나이다. 영지주의는 주후 2세기의 교회에서 상당히 두드러졌으며 소위 정통파(orthodoxy)에게 불쾌한 존재였다. 그 이유는 개인적 조명으로 확신을 얻은 영지주의자들이 발전하는 교회의 평온함과 그 지도자들의 권위에 도전을 감행했기 때문이다. 그들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서는 복음의 진리의 일면만을 알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보다 특수하고 은밀한 지식이 요구되는 데 그들만이 그것을 알려줄 수 있다고 했다. 그들은 정교한 기독교를 철학이나 신지학으로 탈바꿈하려고 하였다.
교리적 영역에 있어서 영지주의자들은 교회의 경험적 전통에 반대하면서, 그들의 개인적 조명을 더 강조하였다. 또한 교회의 전통이 예수와 관련해서 전달해 주는 역사적 사건들, 즉 예수께서 실제로 사람이 되셨다는 사실을 부인한다. 그들의 견해에 의하면, 예수는 다만 영인데 겉으로만 사람이 된 것이며 실제 사람은 아니라고 한다.
기독교적 영지주의에 있어서 - 물론 비기독교적인 영지주의자도 포함되지만- 이 구원의 메신저(messenger)는 다름 아닌 그리스도였다. 많은 영지주의자들은 천상의 그리스도와 지상의 그리스도를 구별한다. 그 이유는 그들이 철저히 이원론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극단적 이원론의 배경에 따라서 물질을 업신여기게 되었기 때문이다.
기독론의 논쟁에서, 그들은 요한복음의 저자가 묘사한 사건을 개인적으로 목격했으며(21:24), 따라서 그것은 사실임을 암시하고 있지만 예수에 대하여 서술된 사건들을 부인하고 또한 그것들에 대한 증언들을 거부하고 있다.
참고문헌
박용규(2002), 초대교회사, 총신대학교출판부
변한규(1989), 짤막한 신학Ⅱ, 한국 로고스 연구원
새성경 사전, 영지 주의(1996), 기독교 문서 선교회
조병수(1996), 성령으로 사는 그리스도인, 여수룬
쿠어트 알란트, 김성주 역(1992), 인물로 본 초대 교회사
헨리 비텐슨, 박경수 역(1997), 초기 기독교 교부,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