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발전][태양광발전기술][태양광발전 효과][태양광발전 장단점][일본 태양광발전 사례]태양광발전의 정의, 태양광발전의 효과, 태양광발전의 장단점, 태양광발전의 기술개발 동향, 일본의 태양광발전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양광발전][태양광발전기술][태양광발전 효과][태양광발전 장단점][일본 태양광발전 사례]태양광발전의 정의, 태양광발전의 효과, 태양광발전의 장단점, 태양광발전의 기술개발 동향, 일본의 태양광발전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태양광발전의 정의

Ⅲ. 태양광발전의 효과

Ⅳ. 태양광발전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Ⅴ. 태양광발전의 기술개발 동향
1. 해외현황
2. 국내현황
1) 기술개발 현황
2) 태양전지
3) 실리콘계 태양전지
4) 화합물계 태양전지

Ⅵ. 일본의 태양광발전 사례
1. 대상주택
2. 부하계산의 결과
1) 전력부하
2) 냉난방부하
3. 시스템의 개요
4. 성능평가의 결과
1) 전력소비량
2) 발전량과 매전량
5. 경제성 평가(회수년수)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량이 350360KWh정도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는데 비하여, 공조용 소비량이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태양전지가 유인 경우의 전력소비량은 동기에 1월의 785.9KWh, 하기에 8월의 425.8KWh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5월에 239.8KWh/월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태양전지 무인 경우에 태양전지 유인 경우와 전력소비량의 삭감율을 계산하면, 전체적으로 21.6%가 삭감된 것으로 나타났고, 하절기가 동절기에 비해 삭감율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2) 발전량과 매전량
월별 발전량과 매전량을 나타내 보면, 여기서 1년간 발전량을 보면 일사량에 의한 영향 등으로 월별 차이가 있지만, 300450KWh의 범위의 발전량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동기의 3월에 441.1KWh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중간기인 10월에 280.9KWh로 가장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역조류된 월별 매전량은 동기에 220310KWh의 범위로 하기보다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태양전지에 의해 발전된 1년간 전력량은 4349.9KWh이며, 대상주택에서 소비하고 남은 전력을 전력회사에 역조류한 매전량은 2910.8KWh으로, 매전량은 발전량에 비해 66.9%의 비율로 역조류되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태양전지의 발전으로 인해 상당한 비율로 주간대의 상용전력 예비율 확보에 기여하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용전력사용시간중 피크시간대(오후 24시)의 태양전지 유·무의 월별 평균전력소비량과 태양전지에 의한 삭감율을 나타내 보면, 전력소비량은 태양전지 무인 경우 하기에 동기. 중간기에 비해 크게 나타났고, 8월에 0.39KWh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중간기의 5, 10월에 0.11KWh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하기의 피크시간대에 공조부하(냉방부하)가 동기와 중간기의 공조부하보다 더욱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하기. 중간기의 삭감율은 거의 90%이상으로, 동기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삭감율이 85.4%의 높은 비율로 나타나, 이 시간대에 상당한 비율로 전력피크를 카트(cut)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무인 경우의 전력소비량과 태양전지의 발전에 의한 발전량과의 비율로 나타낸 태양전지의존율을 나타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의존율이 100%를 넘는 중간기의 5월은 전력소비량보다 발전량이 많은 기간이며, 동기가 다른 계절에 비해 태양의존율이 낮게 나타난 것은 발전량에 비해 전력소비량이 크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또한 부하가 높은 기간에도 40%정도의 의존율이 확보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태양전지 의존율은 65.4%라는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경제성 평가(회수년수)
태양전지를 설치했을 경우의 경제성을 검토한 결과를 보자. 이하의 식에서 보여주는 회수년수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Ryear = Scost / (Pnon-solar - Psolar + S)
여기서,
Ryear : 회수년수(년)
Scost : 태양전지시스템 설치가격(엔)
Pnon-solar : 태양전지 무인 경우의 매전?(엔/년)
Psolar : 태양전지 유인 경우의 매전?(엔)
S : 매전가(엔/년)
보조금을 지원받아서도 2.18KW의 용량의 태양전지시스템으로는 회수년수가 20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에 대해서 먼저 진술한 바와같이 200만엔정도이라면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한다고 회답한 1.2%의 주민의식을 금후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치가격에의 영향을 기대할 수가 있겠다.
Ⅶ. 결론
태양열 주택은 멀리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발코니 부분에 간단한 온실을 하나 설치하는 것으로도 태양열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갈수록 환경문제와 자원문제가 심각해지는 요즘 무한한 무공해 에너지인 태양열을 이용한 주택의 연구와 시공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 대체에너지보급 관련자료집(2001), 산업자원부 에너지공단
- 이태규(2000), 21세기 대체가능한 신재생에너지 기술탐색,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오대균(2000), 태양광발전의 원리와 이용가능성, 에너지관리공단
- 에머리 로빈스·페터 헤니케저, 임성진 역, 미래의 에너지, 생각의 나무
- 정혜진(2004), 태양도시 : 에너지를 바꿔 삶을 바꾸다, 그물코
- 태양광 산업의 Value Chain 분석(2008), 화학경제연구원
- 태양광발전클러스터 조성 기본 구상(2008), 에너지경제연구원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