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와이브로(Wibro)의 정의와 시장현황 및 활성화방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비즈니스]와이브로(Wibro)의 정의와 시장현황 및 활성화방안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U-KOREA 개념

Ⅲ. WiBro의 개념
1. WiBro 정의
2. WiBro 등장배경
3. WiBro의 특징
4. WiBro 서비스 포지셔닝
5. WiBro 현 시점 핵심기술과 개발현황
6. 기술관련 해외현황
7. WiBro가 변화시키는 비즈니스 환경

Ⅳ. WiBro 관련현황
1. WiBro 시장규모
2. WiBro 가입자수
3. WiBro 해외시장 진출

Ⅵ. 사업자 비교
1. WiBro 사업자 비교
2. WiBro 사업자 컨텐츠의 비교

Ⅶ. 활성화 방안
1. WiBro 활성화의 방해요인
2. WiBro 활성화 방안

Ⅷ.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서비스 제공 방향
KT는 휴대인터넷을 활용, 유무선 통합 인프라를 구축하고 seamless한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통해 세계 최고의 서비스 선도사업자로의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축적된 다양한 핵심 기술과 이동성, 저렴성 등 휴대인터넷의 차별화된 특성을 활용하여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LBS(Location Based Service), 게임, IP Multicasting 등 멀티미디어/컨버전스형 킬러 애플리케이션 모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휴대인터넷 주요 킬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그림 6)과 같다.
이와 함께 효율적인 Cell PLANning, 이동통신 및 무선LAN과의 Roaming을 통한 경제적인 네트워크 구축, 텔레매틱스 등과의 연계를 통한 시장 시너지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나. 단말 제공 방안
휴대인터넷의 단말은 소비자의 다양한 단말 형태의 요구에 따라 시장별, 단계별 소비자의 Needs에 맞추어 제공할 계획이다. 사업 초기에는 Laptop과 PDA용 PCMCIA 타입의 모뎀 카드와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등을 탑재한 Dual-mode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제공할 계획이며, 사업 성장기 이후에는 Combo 카드, One-chip 등의 도입에 따른 Multi-mode 스마트폰과 복합기능 전용 단말기를 주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다. 주요 서비스 제공 방안
KT가 고려하고 있는 휴대인터넷의 주요 서비스는 Message Based Service, Location Based Service, Telematics Service 등이 있다.
(1) Message Based Service
Message 서비스는 개인 및 기업고객에게 통신비 절감, 생산성 증가, 수익창출과 같은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서비스로, 휴대인터넷 이용시 이동전화 기반의 서비스와 달리 전송시간, 대역폭 등에 부담이 없어 사업 초기 유무선연동 Communication Tool로서 포지셔닝할 예정이다. 또한 휴대인터넷의 Message 서비스를 이용하여 이동전화 기반의 MMS와 유선 초고속 인터넷 기반의 IM(Instant Messenger)과 연동이 가능한 Convergence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2) Location Based Service
휴대인터넷 LBS의 특징은 기존의 무선단말을 통한 사용자 위치와 주변정보 탐색 서비스의 한계를 뛰어넘어 사용자 주변정보를 기준으로 실질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휴대인터넷의 저렴한 이용요금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결합하여 실질적인 M-Commerce 및 M-Advertisement 등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존 이동통신 기반 LBS에 비해 콘텐츠 및 비즈니스 모델에서 우위에 있을 것이다.
(3) Telematics Service
현재 제공되고 있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교통정보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콘텐츠 부족, 고가의 단말기 및 과다한 요금체계 등의 요인이 시장 활성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인터넷 기반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교통정보, 네비게이션의 기본서비스와 함께 인터넷 접속, e-mail 송수신 등 사무실과 가정에서 사용하던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차량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저렴하게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7) 및 BIS (Bus Information Service)8) 등의 교통정보 서비스의 기반 인프라로서 휴대인터넷 망을 활용할 계획이며, 서비스 구성도는 (그림 9)와 같다.
다. 네트워크 구축 방안
서비스 및 네트워크 구축 방안은 기본적으로 휴대인터넷 사업의 경제성을 해치지 않는다는 기본전략 하에 조기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며, 휴대인터넷 서비스 개시 3년(Y+2년) 이내에 서울, 수도권, 광역시를 포함한 84개 시지역까지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대하여 시장선점에 주력할 계획이다. 서비스 도입 연도인 Y년에는 서울과 수도권 및 광역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며, Y+1년에는 주요 시지역 그리고 Y+2년에는 기타 시지역을 포함한 총 84개 시까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구대비 90%의 커버리지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Y+2년 이후는 시장 수요상황을 고려하여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전국망으로의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KT는 유선 초고속 인터넷의 접속망과 백본망, 전화국 국사 및KTF의 기지국 기반시설 등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투자비를 절감하여 경제성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유선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의 옥외 확장”의 개념으로 옥내와 Hot spot 지역 중심의 무선LAN 서비스를 Hot Zone으로 확대시킨다는 개념으로 상호 연계를 통해 효율적인 커버리지 확대를 꾀하고 상호 로밍과 핸드오프 기능으로 유무선 Seamless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참 고 문 헌>
[1]“휴대인터넷 킬러맵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연구 보고서,” ETRI 정보화기술연구소, 2003. 12.
[2]김문구, 임상민, “광대역 무선인터넷의 고객 수용도 분석 및 서비스 제공 방향,” 통신시장, 통권제51호, 2003. 12.
[3]이은상, 방형빈, “사용자 관점에서 바라본 휴대인터넷,” 통신시장, 통권 제51호, 2003. 12.
[4]박종서, 신지나, “휴대인터넷 사업 동향,” 통신시장, 통권 제51호
[5]임명환, “휴대인터넷사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 ETRI 정보화기술연구소, 2003. 9.
[6]휴대인터넷 기술 및 서비스 워크숍, “휴대인터넷 서비스 사업방안(KT),” 2004. 3. 30.
[7]휴대인터넷 수요조사, ETRI, 2003. 10.
[8]삼성SDS, “서울BMS 구축사례와 발전방향, ITS 정책토론회,” 2003. 6.
[9]정재학, “휴대인터넷 수요 예측 최종 조사 보고서,” 2003.
[10]정재학, “2.3GHz 휴대인터넷 사업성 평가 및 수요 예측,” 2004. 2.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6.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