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문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시아 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러시아 란 나라는?

-역사적 배경

-자연환경

-지형

-기후

-특징

-지리적위치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특이문화

-경제

-교육

-도시와 농촌의 특색

* 블라디 보스토크

-개요

본문내용

출하면 박사학위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러시아의 교육수준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대학진학 희망률이 매우 높으며, 대학졸업 학력소지자의 숫자도 미국에 비해 훨씬 많다. 한편 높은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교육시설은 매우 낙후되어 있다. 특히 초급학교의 경우 교실부족으로 약 1/4 정도가 2부제 또는 3부제 수업을 받는다. 초·중·고교 및 대학 등 모든 교육기관은 9월부터 학기가 시작되어 6월에 종료되며, 여름방학 기간이 한국에 비하여 긴 편이다.
러시아 도시와 농촌의 특색
러시아에서는 유럽러시아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도시가 먼저 생기고 그 주변에 마을이 확산된 경우가 많다. 이는 미개척지를 개척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도시를 만든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러시아에서는 인구수를 기준으로 도시와 농촌을 구분하고 있다. 인구 12,000명 이상인 곳을 도시(고르드), 인구 2,000명 이상이 거주하고 그중 절반 이상이 비농업에 종사하면 준(準)도시, 나머지 지역을 농촌으로 분류한다. 러시아 인구의 약 75%가 도시에 거주하며, 도시인구의 약 2/3가 농촌 출신이다.
농촌인구의 도시 유입 속도는 최근 많이 둔화되었지만, 여전히 농촌인구 비율이 선진국에 비해 높다. 따라서 농촌인구의 도시이주는 상당기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인들은 도시정착을 출세를 위한 지름길로 여기고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모스크바 정착은 최고의 지름길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그동안 대도시 인구유입 억제정책에도 불구하고 대도시 인구는 급속히 증가해 왔는데, 그 여파로 대도시 주변에 많은 위성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러시아 철도 여객수송의 90% 이상이 바로 위성도시 거주민 수송이다.
러시아 대도시의 열악한 주택사정은 유명하다. 1인당 주거면적이 매우 협소하고, 절대 다수의 주택이 방 1∼2개짜리의 소형주택이며, 상하수도와 욕조 등 기본시설을 갖춘 주택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그나마 주택공급량도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신청 후 배정받기까지 상당한 햇수를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주택난은 출산율 저하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결혼·자녀양육·이성관계 등 사회생활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소도시에는 주택사정이 대도시보다 나은 편이다. 그러나 다른 사회적 기회가 대도시에 비해 훨씬 적다. 특히 많은 소도시에서는 도로 등 기본적인 사회간접자본이 농촌과 마찬가지로 낙후되어 있다. 중소도시에는 대개 하위의 행정·교육시설과 저급한 수준의 산업이 입지해 있다. 1993년 농촌인구는 3980만 명이며, 농촌인구의 약 60%가 노동인구로서 그 중 약 6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농촌가구는 텃밭을 갖고 있으며 이곳에서 기본 식량을 조달하고 있다.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 연해주(沿海州)지방에 있는 항만도시.
- 특징: 사계절의 변화를 보이며 짧은 우기를 제외하고는 한겨울의 혹한 강풍에도 불구하고 상시 햇볕
이 비치는것이 특징이다.
블라디보스톡시 개요
인구 : 약 70만명
면적 : 561㎢
설립 : 1860년(중·러 조약에 의거, 중국으로부터 할양)
주요산업 : 수산업, 조선업, 군수산업
모스크바와의 거리 : 9,302㎞(비행기로 9시간30분)
한국과의 시차 : 하절기(한국시간+2시간), 동절기(한국시간+1시간)
종교 : 슬라브정교 (국교 : 없음)
언어 : 러시아어
주재총영사관 : 한국(D124), 미국(D004), 일본(D005), 인도(D032), 베트남(D084), 중국총영사관 분관(D090)
블라디보스톡은 러시아 극동지역의 가장 중요한 공업, 교통, 문화의 중심 도시임.
블라디보스톡은 높고 나지막한 언덕으로 둘러있는 나폴리를 연상케하는 도시로 구부러진 모습의 깊고 작은 만(灣)인 졸라또이 로그(Golden horn)가 높은 해안으로 깊숙이 들어가 있으며, 이 졸라또이 로그만을 임페리얼 예브게니(Imperial Evgeny) 군도에서 가장 큰 루스끼(Russky) 섬이 감싸고 있음.
태평양 진출을 위한 러시아의 중요한 전략적 항구도시인 블라디보스톡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의 출발점이며, 종착역이기도 함. 따라서 개인 사업, 국제 무역과 관광 등이 급속도로 성장, 발전하고 있으며, 동시에 수산물가공, 선박수리, 기계제작공업도 지역경제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블라디보스토크란 ‘동방을 지배하라’라는 뜻이다. 동해 연안의 최대 항구도시 겸 군항이다. 소련 극동함대의 근거지였으며, 북극해와 태평양을 잇는 북빙양 항로의 종점이며, 시베리아 철도의 종점이기도 하다. 항만은 표트르 대제만(大帝灣)에서 남쪽으로 돌출한 무라비요프아무르스키 반도 끝에 위치하며, 시가는 해안에서부터 구릉 위로 펼쳐져 있다. 철도 종점인 임항역(臨港驛)의 북쪽이 시의 중심지구이다.
신시가지와 별장 ·휴양 지대는 반도 북부의 구릉지대로 뻗어 있다. 1856년 러시아인이 발견하였으며, 그 후 항구와 도시의 건설이 시작되었고, 1872년 군항도 니콜라옙스크에서 이곳으로 옮겨왔다. 1890년대부터는 무역항으로서 크게 발전하였으며, 1903년 시베리아 철도가 완전히 개통됨으로써 모스크바와도 이어지게 되었다. 1918년 봄부터 1922년까지 이 지방은 외국의 간섭군대에 의해 점령된 적이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연합군의 원조물자를 이곳에 양륙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는 군항일 뿐만 아니라 무역항의 기능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무역항의 기능이 시의 동쪽 약 90 km 지점에 신설된 나홋카항으로 옮겨졌다.
또한 블라디보스토크는 연해지방 최대 어업기지이며, 포경선·게 가공선·냉동선의 근거지이다. 겨울철에는 항구 안이 다소 결빙하지만, 쇄빙선을 사용함으로써 1년 내내 활동이 중단되지 않는다. 시는 연해지방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극동과학센터 ·국립극동대학을 비롯하여 의학 ·미술 ·과학기술 ·무역 ·수산 등의 여러 대학이 있다. 특히 국립극동대학 내에는 해외 최초의 한국학 단과대학인 한국학대학이 있다. 1995년에 설립된 한국학대학은 5년제 과정으로 한국어학과 ·한국역사학과 ·한국경제학과의 3개 학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에 태평양어업 ·해양학연구소와 부속해양박물관이 유명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8.13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