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체크리스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체크리스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산부간호
1) 입원 및 진통 시 간호

2. 분만 시 간호
3) 신생아 간호
2. 산욕부 간호

3. 퇴원 시 교육

4. 수술 환자 관리

5. 이상임부간호

6. 부인과 환자 간호

7. 외래환자 관리현황.

본문내용

만 정맥주사의 효과가 더 확실하다. 이 시술은 주로 혈액종양내과의사가 한다. 암세포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이 요법을 시행하며, 부작용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입원하여 치료한다.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방사선요법으로 큰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암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우선 방사선요법만으로 완치가 가능한 암종에 림프종 ·피부암 ·입술암 ·설암 ·구강내암 ·비강암 ·후두암 ·항문암 ·자궁암 등이 있고, 수술 전 ·수술 후에 방사선요법을 병행하여 훌륭한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암으로는 식도암 ·유방암 ·폐암 ·방광암 ·난소암 ·부비강암 ·갑상선암 ·위암 ·직장암 ·신장암등이 있다.
방사선요법은 또 그 목적에 따라 수술할 수 없을 정도로 번진 암종을 수술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수술 후 재발을 예방하는 수술 전 방사선요법, 그리고 제아무리 고도의 수술 ·기술을 발휘해도 해부학적으로 완전 절제가 불가능할 때 이들을 소멸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 후 방사선요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Laparoscopy(치료적/진단적)
복부 측면에 작은 구멍을 내고 공기를 넣어 관찰하기 쉽게 부풀어 오르게 한 후 복강 내부를 바라보면서 검사 및 수술, 조직을 채취한다. 복강경을 시야 확보 뿐만 아니라 수술 기구를 넣을 때에도 사용한다.
D & C 관찰
부인과에서 가장 흔히 수행되는 수술절차 중의 하나로 자궁암종, 기능불능성 자궁출혈, 불완전 유산이나 임신 1기의 치료적 유산, 불임 원인에 대한 평가, 월경통의 완화 등 치료목적으로 행해진다.
① 시술 전에 진통제나 부분마취를 실시한다.
② 대상자에게 쇄석위를 취하게 하고 쌍합진검사로 자궁의 위치를 확인한 후 질경을 질내에 삽입하여 자궁경부를 노출 시킨다.
③ 길고 가느다란 소식자를 자궁 내에 삽입하여 자궁 강을 측정하고 나서 금속확장기를 사용하여 자궁경부를 서서히 확대한다.
④ 큐렛을 사용하여 자궁내막을 긁어내는데 이때 큐렛 대신에 흡인 큐렛을 사용할 수도 있다.
kegel`s exercise 교육
4/16
50대 요실금 환자분으로 케겔 운동에 대하여 교육함.
Biopsy(breast, cervix, uterus).
cervical smear
breast는 맘모톰을 이용하고 uterus는 D&C후 조직을 채취하여 Biopsy를 시행한다.
7. 외래환자 관리현황.
산전진찰
임신 28주까지 : 1회/달
임신 36주까지 : 2회/달
출산 시 까지 : 1회/주
- 초기: 임신여부를 알아보는 소변검사를 비롯해서 초음파·혈 액·자궁경부암 검사 등을 받음.
- 15∼20주: 모체혈청알파태아단백(AFP) 검사 또는 트리플 (Triple) 검사를 통해 기형아 여부를 검사하고, 20∼24주는 기형아 여부를 초음파검사를 통해 확실하게 진단함. 24∼28주에는 임신성 당뇨 선별검사와 빈혈 여부를 알아내는 일반혈액검사함.
- 32∼36주: 태아의 성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시 초음파검사를 받음. 그밖에 혈압과 체중 측정 및 단백뇨 검사, 도플러 태아심음 청취 검사, 융모막 검사, 양수 검사, 제대혈 천자 검사, 비자극성 태아 검사, 골반내 검진, 태아심초음파 검사 등을 받아 건강상태를 진찰함.
골반검사
골반검사를 통해 자궁, 난소, 경부가 정상적으로 활동하는지 알아볼 수 있다. 감염이 되었거나 유섬유나 난소낭종, 자궁근종 등의 병이 있으면 바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질초음파검사
4/13,4/14,4/15
생리가 4/1일부터 계속 나오고 여전히 양이 많아서 질초음파를 시행.
patient에게 쇄석위 취하게 하고 질초음파 기구에 cover를 씌운 후 젤을 바른 후 질속에 집어넣고 관찰.
질분비물검사
4/14,4/15,4/16
냉이 많이 나온다고 하여 질초음파 검사하였으나 이상없어 면봉으로 질 내부를 묻힌 후 슬라이스에 도말함.
IUD삽입()/제거()
4/15
질초음파 후 질경삽입하여 베타딘으로 소독 후 포셉으로 IUD 끈을 당겨 제거 후 한번더 소독함.
Pap.smear
4/13,4/14,4/15
쇄석위를 취하게 하고 질경삽입 후 면봉에 세포를 묻혀 슬라이스에 도말하고 99% 알콜 뿌림.
schiller test
자궁경부암 보조검사로 lugol용액을 경부에 도포시 정상세포는 당원에 의해 착색되나 암세포는 당원이 부족하므로 백색의 반점이 나타나 생검을 쉽게 해줌.
cryotherapy
냉동치료라 해서 통증을 치료함.
비정상세포조직을 얼려서 파괴하는 냉동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 치료 후의 부작용은 거의 없음. 물 같은 질 분비물이 2-4주간 다량 분비되고, 추후검사와 Pap. smear검사는 4-6주간 실시함. 드물게 점적출혈과 자궁경부 협착이 합병증으로 발생됨.
LEEP
LEEP은 자궁경부환영원추절제술로 질에 금속 루프롤 넣어 자궁입구까지 삽입한 뒤 전류를 흘려보내 암세포가 있는 상피세포를 태워 없앰.
진단과 치료목적으로 이용되며, 간단하고 비교적 출혈 적음.
colposcope
자궁경부암의 조기진단에는 세포진과 함께 콜포스코피는 중요한 방법이며, 의심이 가는 것을 찾아내는 데 요긴한 역할을 한다. 육안으로는 알 수 없는 이상을 아세트산 처리 등으로 알기 쉽게 한 다음 확대하여 의심스러운 부위를 발견하고 그 조직을 채취해서 확정진단을 내리는 것이 목적이다.
rubin test
불임의 원인을 밝혀 차후 임신가능성에 대한 검사로 자궁경관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난관이 제대로 소통되는지 검사하는 방법.
huner test
불임부부가 성교한지 1시간이 지나서 여성의 경관 점액을 흡인하여 정자의 경관점액을 통과하는 침투력과 운동성을 검사하는것임.
hystero-salpingogram
월경이 끝난 2~3일 후에 하며, 난관을 통과하는 과정을 조영제로 x-ray촬영하여 확인하는 것으로 불임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함.
amniocentestis
태아의 유전적 문제나 성숙정도를 진단하기 위해 바늘로 복벽을 통하여 자궁내로 뚫고 들어가 양수를 채취하는 것으로 태아의 세포 유전학적 조성과 기형을 알 수 있음. 임신 16-20주에 양수내 α-FP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태아의 이상(신경관 결손)을 진단할 수 있음.
  • 가격1,2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1.02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