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조사,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경궁 조사,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관

2. 창경궁의 주요 건물들
1) 홍화문(弘化門)
2)옥천교(玉川橋)
3)명정문 및 행각(明政門 및 行閣)
4) 명정전(明政殿)
5)통명전(通明殿)
6) 관천대(觀天臺)
7) 풍기대(風旗臺)
8) 팔각칠층석탑(八角七層石塔)

참고문헌

본문내용

깃발을 세운 대이다. 이 풍기대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높이 228㎝로 아래에 상을 조각한 대를 놓고 그 위에 구름무늬를 양각한 8각기둥을 세운 모양이다. 8각 기둥 맨 위의 중앙에는 깃대 꽂는 구멍이 있고, 그 아래 기둥 옆으로 배수 구멍이 뚫려 있다. 깃대의 길이는 확실하지 않으며 깃대 끝에 좁고 긴 깃발을 매어 그것이 날리는 방향으로 풍향을 재고, 나부끼는 정도로 바람의 세기를 잴 수 있었다. 풍향은 24방향으로 표시하고 풍속은 그 강도에 따라 8단계 정도로 분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8) 팔각칠층석탑(八角七層石塔)
보물 제1119호
창경궁 안의 연못 옆에 건립되어 있는 탑으로, 8각 평면 위에 7층의 탑신을 세운 석탑이다. 기단부(基壇部)는 3단의 바닥돌 위로 높직한 1단의 기단이 올려진 모습인데, 각 면마다 조각으로 가득차 있다. 바닥돌은 4각으로 밑단을 두고 그 위로 2단의 8각 바닥돌을 두었는데, 8각의 각 면마다 안상(眼象)을 얕게 새겼다. 기단과 닿는 곳에는 1단의 연꽃받침을 놓았으며, 기단은 각 면마다 꽃무늬를 새겨 두었다. 기단의 맨윗돌 역시 연꽃무늬와 안상을 장식하였고, 그 위로 높직한 연꽃괴임돌과 2단의 낮은 괴임대를 두어 1층 탑신(塔身)을 받치도록 하였다. 7층에 이르는 탑신의 1층 몸돌은 높고 볼록한 모습이다. 2층부터 낮아지며 지붕돌은 목조건축의 지붕처럼 기왓골이 표시되어 있다. 꼭대기에는 후대에 보충한 듯한 머리장식이 올려져 있다.
1층 몸돌에는 탑을 세운 때가 새겨져 있어, 조선 성종 원년(1470)에 이 탑을 세웠음을 알게 되었다. 초층 탑신부에는 4각형의 대리석(大理石)을 끼워 다음과 같은 4행(行)(1행(行)에 3자(字)씩)의 명문(銘文)과 1행(行)의 조성년대(造成年代)가 다음과 같이 각자(刻字)되어 있다. 여기의 성화 6년은 조선 제 9대 성종원년(1470)에 해당된다.
遼陽重開山都綱挻玉巖壽塔 요양중개산도강연옥암수탑
大明成化六年庚寅歲秋七月上澣吉日造 대명성화육년경인세추칠월상한길일조
※참고도서
이덕수, 2004 『(新)궁궐기행』, 대원사.
이강근, 2003 『창경궁』, 문화재청.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 서울』, 돌베개.
한영우, 2006 『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열화당.
한영우, 2003 『창덕궁과 창경궁』, 열화당.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창경궁 홈페이지 http://cgg.cha.go.kr/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1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4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