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테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이버테러의 개념
1 . 사이버테러의 의의
2 . 사이버테러의 종류
3 . 사이버테러 범죄행위의 시각
4 . 사이버테러 범죄행위의 관점
5 . 미국과 한국의 사이버테러
Ⅲ. 사이버테러의 특징
Ⅳ. 사이버테러의 유형 및 사례
1 . 유형
2 . 사례
Ⅴ. 사이버테러의 실태 및 심각성
1 . 사이버테러의 실태
2 . 사이버테러의 심각성
Ⅵ. 사이버테러의 대응방안 및 예방수칙
Ⅶ. 사이버테러의 대응법규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지 IP의 책임문제는 흥미로운 문제이나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인터넷상의
저작권침해
-컴퓨터프로그램무단복제죄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 제29조 제1항, 제46조 제1항) 등.
-저작권침해죄 (저작권법 제98조) 등.
☆ 구 정보통신망법상 보호조치침해죄는 삭제되었음.
☆ 데이터베이스(DB) 보호에 관한 명시적 법률은 없음. 입법이 논의중임.
☆ 온라인사업자의 책임문제에 관하여도 명시적 입법은 없음.
사이버정보침해
개인정보유출
-개인정보무단이용죄
(정보통신망법 제24조 제1항, 제2항, 제62조 제1호, 제2호)
-개인정보훼손죄 (정보통신망법 제24조 제4항, 제62조 제3호)
-공공기관개인정보불법변경죄
(공공기관의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 제23조 제1항) 등.
사이버스파이
-영업비밀무단사용죄 (부정경쟁방지법 제18조) 등.
☆ 미국이나 독일의 법제와는 차이가 있음.
ID 도용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의 정보통신서비스이용명의도용죄가 입법과정에서 삭제됨.
-정보통신망 무단침입죄(정보통신망법 제48조, 제63조)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입법적 필요성은 존재하지 않음.
☆ 주민등록법에 의하여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무단사용하는 행위의 가벌성 인정.
Ⅷ. 結
오늘날 컴퓨터 및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소위 정보화 시대가 꽃피우기 시작하면서,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흐름이 그 성격상 익명화, 대량화, 가속화 됨에 따라 이에 부수된 각종의 위험요소 예컨대, 타인의 인격권이나 재산권 등을 침해하는 피해가 커감과 동시에 사이버테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국민 하나하나 보나 많은 편리를 받고 있는 듯 하긴 하나, 이에 역효과 및 부작용이 큰 사회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를 간단히 이번 레포트에서 알아보았다.
출발은 좋았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지금부터 국민들의 의식을 새롭게 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인터넷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으로 우리 생활과 우리들의 머리는 더욱더 많은 지식과 정보로 채워졌기 때문이다. 그 뿐 아니라 정보 검색, 자신의 발전, 컴퓨터간의 자료 전송으로 세상은 더욱더 좁아지고 편리해졌다. 출발 했었을 때의 좋았던 것처럼 인터넷이 더 발전하고, 생활에 즐거움을 주는 그런 매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참고문헌 및 자료 ◎
김기범, 사이버범죄의 유형과 실태, 사이버문화연구실 세미나
김순자,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대책 : 정보화사회의 역기능과 관련, 동국대학교, 2000
노성호, 컴퓨터통신을 통한 음란물 접속실태와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9
백광훈, 사이버 음란물과 처벌법규, 정보보호뉴스, 2001. 3월호
백광훈, 사이버범죄에 대한 현행대응법규 개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백광훈, 해킹범죄와 그 처벌법규 및 문제점, 제4회 해킹방지워크샵, 2000. 12. 6.
백성천, 사이버범죄의 유형과 형사법적대응방안,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002
윤민석, 사이버범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001
정 완, 국가안보 위해 요인으로서의 사이버범죄, 양지, 2000. 1월호
최필열, 정보화시대 범죄
허만형, 사이버범죄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사이버테러리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yberterrorism, 200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사이버범죄의 보안대책 = A study on encryption policy against cybercrime : 암호정책을 중심으로, 200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사이버경찰에 관한 연구 : 사이버범죄의 규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yber police : fighting against cyber crimes, 2000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사이버범죄방지조약에 관한 연구 = A study cybercrime convention , 200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인터넷범죄의 증거와 재판관할에 관한 연구 = Beweisaufnahme, beweiskraft und Gerichtszust‥andigkeit der Internet-kriminalit‥at
SBS프로덕션, (특집다큐 긴급점검)사이버테러 [비디오 녹화자료]. 1부-2부, 2001
1부 디지털 시대의 함정, 인터넷
2부 사이버테러, 한국은 안전지대인가?
대검찰청 인터넷범죄 수사센터, http://icic.sppo.go.kr/
정보통신부, http://www.mic.gr.kr/
한국정보보호센터, http://www.certcc.or.kr/
한국사이버테러연구센터, http://www.cyberterror.or.kr/
한국정보보호진흥원 - KISA, http://www.kisa.or.kr/
한국정보시스템 감사통제협회, http://www.isaca.or.kr/
적수네동네, http://linux.sarang.net/
해커스랩, http://www.hackerslab.org/
■장치혁 기자 jangta@dailysports.co.kr(http://www.hankooki.com/ds-computer...)
■김현우 기자 dionysos@hot.co.kr(굿데이,2002,08-31)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www.i-soccer.co.kr)
■스포츠 조선 전상회 기자 frog@sportschosun.com)
■야후 백과사전
김원우기자 wwkim@buddhapia.com(http://www.buddhapia.co.kr/mem/hyundae..)
http://www.jesusfamily.net/cgi-bin/cyber/read.cgi?board=cybernote1&y_number=2
http://physics.yu.ac.kr/~goltang
http://www.cop112.com/frame1.htm
■박수성기자 mercury@dailysports.co.kr(http://www.hankooki.com/ds-computer..)
■이재일 월간 인터넷라이프 편집인 (http://columnlist.org 서울칼럼리스트모임)
http://www62.daum.net/MAIL-bin/view_mail?MSGID=i00000000023KZv....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12.24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