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현재와 그 미래에 대해서 -한국의 전자책산업의 문제점과 고찰방안모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BOOK 현재와 그 미래에 대해서 -한국의 전자책산업의 문제점과 고찰방안모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전자출판 산업의 현황

Ⅲ 국내 전자책 산업 분석

Ⅳ전자책 산업의 전망

Ⅴ전자책 산업의 문제점

Ⅵ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해서 알아보았다. 전자책 산업은 그리 역사가 길지 않고 아직 이용자수가 대중화가 되었다고 말할 만큼 많은 것은 아니지만 현저하게 그 이용률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기술적으로도 많은 보완을 통한 발전을 일궈내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하면서 그 잠재력은 가히 폭발적이라 할 수 있겠다. e-Book은 사유와 인식의 방법적 변화를 유도할 것이고, 그래서 기능적이며 효과적인 대신 비판적이고 인문적이지는 못할 것이고 지식과 정보의 획득은 무척 빨라지지만 정서적, 사색적 반응을 얻어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e-Book은 종이 책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하고 장점을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돌이나 대쪽에 기록함으로써 시작된 몇 번의 밀레니엄 동안 지속된 문자 문화가 적어도 새로운 세기를 맞으며 몇 세기 동안 세계의 문화를 주도하던 도서 문화가, 급격한 변화의 단계에 당면해 있는 것이다. 그것은 문자에서 영상으로 종이 책에서 전자책으로, 실물에서 사이버로 전환하고 있는 것이며 인쇄 문화에서 컴퓨터 문화로, 도서 문화에서 인터넷으로 독자에서 네티즌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고, 나아가 글자에서 비트로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인문주의에서 기능주의로 사유에서 정보로 지식에서 뉴스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 출판 산업의 미래는 과연 어떠한가? 기존 출판계는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문명의 확산을 대체로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출판의 개념을 지나치게 협의로 해석하는데 생긴다고 보여 진다. 디지털 문명의 확산은 오히려 출판 산업의 영역을 확대할 것이다. 아무리 기술이 발달하더라도 내용이 없으면 깡통에 불과하다. 즉 컨텐츠가 있어야 한다. 컨텐츠의 원천은 출판이다. 누가 양질의 컨텐츠를 가지고 있느냐가 디지털 시대의 중심이냐 변두리냐를 결정한다. 전자출판이야말로 디지털 시대에 더욱 발전하는 산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출판계는 문을 열고 디지털 문명을 받아들어야 하고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앞으로 종이책과 e-Book으로 대변되는 전자책은 끊임없이 상호보완을 통해 새로운 출판문화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어갈 것이다. 전자책시장이 꾸준히 확대되는 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으나 이에 상응하는 종이책의 시장도 존재할 것이다. 기존 종이책이 가지는 사유의 깊이를 전자책이 다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e-북 시장은 장기간의 전망으로 볼 때 종이책의 시장과 평행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앤더슨 컨설팅에 따르면 2005년까지는 적어도 출판시장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사는 전 세계 2억5천만 명의 인구가 e-북으로 독서 하게 될 것이며 약 1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2015년을 전후해서 정보초고속도로의 인프라가 구축되면 우리의 생활세계는 급격하게 디지털화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술하였듯이 현재는 인터넷 이용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로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요인들이 있으며 네트워크로 인한 병목현상이 해결되지 않고 있지만, 초고속 통신망 구축이 완료되면 더 많은 양의 정보를 더 빠르게 전달할 수 있어 시공간적인 지체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해 줄 수 있으며, 미디어들 간의 융합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 시대의 도래는 종이책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특히, 출판 산업의 몰락을 의미하는 것도 더더욱 아니다. 다만 출판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것이다. 디지털 시대,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역량이 e-Book 산업, 나아가 출판 산업의 진정한 발전을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 문헌 -
- 이정춘, e-북의 시장전망과 인쇄산업
- 김재윤, 한국 전자책의 현황과 과제
- 김은정, 김솔미 「전자책 시장의 현황과 전망」, 한국정보관리학회, 정보관리연구 32호, 2001.6
- 김경미 「모바일 전자책 서비스」, 국회도서관, 디지털 도서관 통권 36호, 2004.
- 이용준, e-Book 콘텐츠 수익구조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통권 제48호, 한국출판학회, 2005.6.15. pp275~307
- 김병익, 무서운, 멋진 신세계-새로운 세기의 풍경들,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9, p.52.
- e-Book Today 제3호, 한국전자책컨소시엄 (http://www.ebk.or.kr/pages/ebook_today.asp)
- 바로북 홈페이지 (www.barobook.com)
- 북토피아 홈페이지 (www.booktopia.com)

키워드

전자책,   e-book,   E-BOOK,   이북,   인터파크,   전자책산업,   킨들,   yes24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12.24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9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