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야채][시금치][고추][마늘][상추][배추][양배추]채소(야채) 시금치, 채소(야채) 고추, 채소(야채) 마늘, 채소(야채) 상추, 채소(야채) 배추, 채소 양배추(채소,야채,시금치,고추,마늘,상추,배추,양배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소][야채][시금치][고추][마늘][상추][배추][양배추]채소(야채) 시금치, 채소(야채) 고추, 채소(야채) 마늘, 채소(야채) 상추, 채소(야채) 배추, 채소 양배추(채소,야채,시금치,고추,마늘,상추,배추,양배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채소(야채) 시금치
1. 성상
2. 재배
3. 재배시기 및 품종
4. 먹는 방법과 효능

Ⅱ. 채소(야채) 고추

Ⅲ. 채소(야채) 마늘
1. 마늘의 개념
2. 마늘의 발견
3. 토종마늘 원조는 산마늘
4. 마늘의 종류

Ⅳ. 채소(야채) 상추
1. 성상
2. 종류
1) crisp head형
2) butter headed type
3) cos 또는 romaine형
4) 오그라기형(loose leaf 또는 bunching type)
5) 줄기형(sralk stein type)
6) 라틴형(latin type)
3. 출하시기
4. 보존하기

Ⅴ. 채소(야채) 배추

Ⅵ. 채소(야채) 양배추
1. 성상
2. 품종
3. 수확기(생산기), 저장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례를 이루며 밑동으로부터 위 끝을 향하여 꽃이 핀다. 1개의 암술과 6개의 수술이 있는데, 그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다. 암술이 먼저 성숙하므로 꽃 피기 전 4~5일부터 수정이 가능하다.
열매는 긴 뿔처럼 생겼으며 2실로 되어 있고 그 사이에 얇은 막이 있다. 완숙하면 양쪽의 과피는 앞 끝부터 쪼개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1개의 열매에는 20~28개의 밑씨가 들어 있으며, 보통 상태에서 수정하면 18~25개의 종자를 생산한다. 김치를 담그는 데 쓴다. 배추 100g 중에는 비타민 A 33 IU, 카로틴 100 IU, 비타민 B₁ 0.05mg, 비타민 B2 0.05mg, 니코틴산 0.5mg, 비타민 C 40mg이 들어 있다. 연백(軟白)된 흰 부분에는 비타민 A가 없고 푸른 부분에 많다. 조건이 알맞으면 싹이 난 뒤 60~90일에 결구(結球:배추 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져 둥글게 속이 드는 상태)를 끝내는데, 결구가 끝날 때에는 땅 윗부분의 전체 무게가 3~6kg, 잎 수 40~70장이 된다. 잎 수는 적으나 각 잎의 무게가 무거워서 결구를 이루는 것을 엽중 형(葉重型)이라 하고, 각 잎의 무게는 가벼우나 잎 수가 많아서 결구하는 것을 엽수 형(葉數型)이라 한다. 엽중 형은 조생종에 많고 엽수 형은 중만생종에 많다.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온도에 대한 적응범위가 좁다. 생육적온은 18~21℃이며 10℃ 이하에서는 생육이 떨어지고 5℃ 이하에서는 멈춘다. 반대로 23℃ 이상의 고온에서는 역시 생육이 떨어진다. 특히 꽃눈분화 뒤는 잎 수가 더 이상 늘지 않고 이미 분화한 잎의 생장만 이루어진다.
꽃눈분화는 12℃ 이하의 저온을 일정기간 유지하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통 중부지방에서는 10월 초순에 일어나고 다음해 봄에 추대 개화한다. 그러나 봄에 씨를 뿌릴 경우 생육 초기에 저온상태가 되면 잎수가 적은 상태에서 바로 꽃눈분화하여, 결구하기 전에 추대 개화하므로 결구배추를 생산하지 못할 수도 있다.
추대시기는 품종에 따라 다르나 기온이 높아지면 시작되는데, 낮 온도가 15℃ 이상이 되면 꽃이 핀다. 종자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상태에서 -1℃ 안팎의 저온처리를 약 1개월 동안 하면 씨 뿌린 지 30일 정도에서 추대 개화하므로, 어느 때라도 꽃을 피울 수 있다.
Ⅵ. 채소(야채) 양배추
1. 성상
잎은 두꺼우며 표면에 흰 가루를 쓰고 있다. 잎은 원형을 이루어 내부의 백색화된 부분이 식용으로 쓰인다. 양배추는 열을 가하면 곧 불쾌한 냄새가 생기는데 이는 유기 함황화합물 때문이다. (끓이면 곧 소멸된다.) 양배추 잎은 대체로 녹색이지만 자색인 것도 있으며 전구의 약 85%를 차지한다. 녹색부는 질기나 영양가는 백색부분보다 크며 결구가 큰 것은 3~5Kg이 된다.
2. 품종
배추는 발육 과정이 복잡하고 전 세계에 분포되어 각기 다른 환경 속에서 재배되므로 품종의 분화와 발달이 매우 복잡하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외국에서 육성된 품종을 수입하여 재배한다. 양배추의 품종은 크게 보통 양배추와 붉은 양배추로 구분하고, 결구의 모양, 꽃눈이 분화할 때 낮은 온도에 대한 적응도 등으로 분류하며, 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종중생종만생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주요 품종으로는 코펜하겐 마켓(Copenhagen market)글로리 오프 엔퀴젠(Glory of enkuizen)석세션(Succession)엽심사계 양배추얼리 썸머(Early summer) 등이 있다.
3. 수확기(생산기), 저장성
양배추가 야생하는 곳은 제일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17℃ 가량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해발 1500m정도의 한랭 지대가 최적지로 알려져 있다. 즉, 추위와 더위의 차이가 적은 기후로서 북방에서는 여름작물로 되며 남방에서는 겨울 작물로 기르게 되었다. 봄과 가을 두 차례에 파종하는데 온상에서 이식 재배도 한다.
양배추는 한명으로는 감람이라고 하는데 신선하게 보관해야 영양가의 손실이 적다. 폴리에틸렌의 얇은 필름에 포장해서 5℃이하의 온도로 저장하면 3~5주일간이나 신선도를 유지 할 수 있다. 양배추를 사서 보통 온도로 열흘 동안 방치했더니 비타민 C가 거의 파괴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참고문헌
- 김종경·김소희·노경희·장지현·송영선(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구덕출판사
- 김종길, 마늘 건강식품, 서로출판사
- 문수재(1991), 현대인의 생활영양, 신광출판사
- 식품영양학사전, 한국식품영양학회 편
- 이종임(2004), 식탁위의 혁명, 시공사
- 장학길(1999), 식품정보, 신광출판사

키워드

채소,   야채,   시금치,   고추,   마늘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3.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