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의 갯벌과 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갯벌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2. 갯벌의 종류
3. 우리나라의 갯벌
4. 갯벌이 우리에게 주는 것들
5. 갯벌의 간척지 개발

Ⅲ. 결 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립하게 되면 자연생태계의 변화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기후 등에도 다양한 형태로 문제가 발생한다. 갯벌은 강과 육지가 만나는 경계지대에 있어 많은 종류의 생물이 살고 있다. 어류, 조개류, 게류, 새우류 등 다양한 생물들이 어울려 먹이사슬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먹이사슬의 첫 번째 단계에 있는 갯벌은 연안 생태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으며, 특히 어류의 먹이와 산란을 위한 장소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갯벌이 사라지는 것은 연안 생태계의 파괴와 더불어 어민들의 삶의 터전이 사라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생활하던 어민들은 간척사업을 통해 일시적으로는 많은 돈을 보상받지만, 그 대가로 후손에게 물려줄 바다를 버리고 도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바다를 끼고 대대로 이어오던 해양문화와 역사는 어민들이 흩어지면서 그 맥을 이어주지 못하고 있다.
Ⅲ. 결 론
갯벌을 보존하는 것과 개발하는 것 중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까? 좁은 국토와 많은 인구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갯벌을 매립하여 국토를 넓히는 것이 가장 손쉬운 방법인지도 모른다. 개발과 보존의 가치만을 따진다면 결론을 낼 수 없다. 도전적인 개발, 발전도 중요하지만 보존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바다로 유입되는 오염을 최대한 줄이고 자연 친화적인 개발을 모색하여 갯벌에 살고 있는 생물들이 떠나거나 죽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소중한 갯벌을 지키기 위해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을 갯벌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는 것, 갯벌 주위에 오물을 버리지 않는 것, 갯벌의 동 · 식물을 함부로 채취하지 않는 것, 한 번이라도 갯벌에 찾아가 보는 것, 갯벌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 환경 보호를 위한 시민단체 활동을 하는 것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갯벌의 “Image making!" 갯벌을 이용한 다양한 관광, 교육 상품의 개발도 갯벌의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적극 홍보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다. 올해 제12회 개최를 앞두고 있는 충남 보령의 머드 축제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도 이미 유명한 우리나라의 주요 축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람사르 협약은 물새 서식 습지대를 국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1975년 12월에 발효. 전 세계 100여국이 이 협약에 가입하였고 우리나라는 1997년 101번째로 가입국이 되었다. 그 뒤에도 니카라구아, 모나코, 자메이카, 바레인, 몽고가 가입하는 등 150개국 약1,549개소 전체면적 1억3천여만ha의 습지가 리스트에 올라 있다.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과 같이 제도적으로 국제적인 차원에서 습지를 보호하려는 움직임에 주체적으로 적극 참여하고, 국민들의 자연보호에 대한 관심을 일으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우리 자연 우리의 삶 / 권혁재 / 2007 / 법문사
갯벌 생태와 환경 / 이병구 / 2004 / 일진사
국토 해양부 / http://www.tidalflat.go.kr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7.03
  • 저작시기2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2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