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C - 브랜드와 포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MC - 브랜드와 포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Part.1 - IMC 전략이란 ?
1.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2. CI
3.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4. 포장의 커뮤니케이션
5. 영화 삽입 마케팅(PPL = Product Placement)
6. 스포츠 마케팅

part. 2 - 지역 브랜드 현황
1. 지역 브랜드 현황
2. 제주브랜드 「제주마씸」
3. 「제주마씸」광고방안

본문내용

다.
지역 브랜드는 지역의 특산품, 축제, 특성화, 관광 등과 관련되어 특정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활용, 활성화하여 지역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하는 일종의 지역 발전 전략이라고 볼 수도 있다.
2) 지역 브랜드 등장 배경
지역 브랜드의 가치와 중요성이 대두된 것은 세계화, 지방화, 분권화, 정보화라는 흐름과 지역 정체성의 부각이라는 측면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거시적인 흐름에서 보면 Globalization과 Localization이라는 측면이 서로 강조되면서 Glocal(또는 Glocalization)이라는 합성어가 탄생하였다. 과거 성장 위주의 로드맵이나 어느 특정 산업 위주의 지역 발전 전략은 환경 파괴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였고 최근의 지식산업 위주의 지역 발전 역시 선진 지역을 중심으로만 가능한 것이라서 여러가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발전 중심의 사고는 지역 브랜드를 사고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라고 보여진다.
지역 정체성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문화주의 및 각 지역이 가지고 있는 여러가지 제반 환경적인 여건을 이용하여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만들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이 측면은 일종의 장소 마케팅 개념과 비슷하다고 보여지기도 한다.
어쨌든 지역 브랜드 전략은 지역의 발전이라는 측면과 함께 지역 이미지,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지역 브랜드 전략이란 왜 필요한 것일까?
3) 지역 브랜드 전략의 필요성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글로벌 시대라고 한다. 어느 특정 지역만을 타겟으로 하는 마케팅은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에게 너무 협소하고 제한적인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전 세계를 지향하는 글로벌人으로서 우리의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어느 기업만이 해서 될 일은 아닌 듯싶다.
예를 들어, 국내 어느 유명한 대기업의 이미지가 좋다고 해서 거기서 생산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외국의 어느 나라에라도 판매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만일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이미지가 좋지 않다면 ‘이미지가 좋지 않은 나라에서 판매하는 제품’ 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나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역 브랜드 전략은 기업의 마케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인가? 그렇기 때문에 지역 브랜드 전략이 중요한 것은 아니리라. 단,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지원해주는 역할도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일 것이다.
지역 브랜드 전략은 그 자체로서 지역의 성장과 발전의 견인차 역할 뿐 아니라 내부인들의 자긍심을 이끌어 내어 단결심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런 것들의 최종적인 결과로서 ‘내가 살고 싶은 곳’, ‘누구나 오고 싶은 곳’, ‘삶이 질적으로 다른 곳’ 등의 이미지를 갖추어 타 지역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게 될 것이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다른 지역 사람들이 보기에 산업적으로 낙후하고 관광 자원도 없고 삶의 질도 떨어지고 살고 싶지 않은 지역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면 나 역시 그곳에서 살고 싶을 것인가? 살고 싶기는커녕 내가 어디 산다는 것 자체를 부끄러워할 것이다.
지역브랜드 - 굿뜨레, 지평선, 해뜨지, 제주마씸, 레오롬, 황금새싹, 보물섬
강원도 횡성의 횡성한우, 충남 보령의 머드랑, 전남 함평의 나르다, 충북 음성·경기 장호원의 햇사레 등이 있다.
2. 제주브랜드 「제주마씸」
1) 「제주마씸」이란 ?
도내 중소기업이 생산하는 우수한 제품의 판로를 개척하고, 기업체별 브랜드 개발 및 유통 물류비를 절감시킴으로써 기업체 각각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이다.
「제주마씸」의 로고타입은 중소기업 BI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중요한 요소로 제주마씸 로고타입은 탁월한 기독성과 독큭한 형태로 상징성을 가지도록 제작이 되었으며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있습니다.
「제주마씸」의 심벌은 「제주마씸」이 제주 중소기업 생산업체의 이미지를 높이고 판로지원을 위한 공동상표로써 제작되었으며, 제주도 지역문화의 특성·자연환경과 연계성이 높도록 제작하기위하여 제주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돌하르방‘을 모티브로 삼아 돌하르방이 미소를 짓는 모습으로 제작되었다. 또한 심벌과 언어의 조화성을 고려하여 ‘제주입니다’의 의미를 가진 ‘제주마씸’이라는 문자를 추가했으며, 한글과 더불어 ‘It's JEJU'라는 영문로고를 삽입하였다.
2) 「제주마씸」연혁
2004년 「제주마씸」개발 상표 등록
2005년 5개업체 등록
2007년 5월 관리매뉴얼 재정
2007년 9월 37개 업체 연합, 사단법인 설립
2008년 1월 유통업체「글로벌 마씸」 선정
2008년 6월 50개업체 200개 품목 가입
3) 「제주마씸」 가입현황
농산업체 - 대흘표고버섯 외 5개업
수산업체 - CHOUNG RYONG
축산업체 - (주)정록 외 2개업
가공업체 - 제주와이너리 외 21개업
기타업체 - 강중이 외 3개업
4) 「제주마씸」홍보전략
24개 전문 판매장·판매코너 구축
- 롯데마트 제주점, 농협 하나로 클럽, 농협 중앙지점
판매전 개최 (2008)
- 롯데백화점 본점 (7월) , 대구지역 백화점(9월) ,
롯데백화점 관악점 (10월) , 하나로마트 양재점 (11월)
등 총 8회
제주항공 기내지 「Join &Joy」에 상표 광고 부고 중
제주공항과 김포공항 대합실 내 「제주마씸」와이드칼라 광고판 설치
3. 「제주마씸」광고방안
1) 스초츠와의 결합
제주도내 유일한 프로팀으로써 FC제주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서귀포에 위치한 월드컵 경기장을 FC제주에서 사용함으로써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제주마씸에서 FC서울에 스폰을 떼어줌으로써 선수들의 유니폼이나 구장의 광고판, 쉬는 시간에 나오는 캐릭터 감규리의 옷등에 제주마씸의 로고를 부착하여 광고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2) PPL과의 결합
요즘에 국내 드라마 혹은 영화에서 제주도를 배경으로 촬영하는 장면이 많아지고 있는 이때에 우리가 장소제공 및 도움을 줌으로써 배경에 제주마씸의 상품이나 판매처 등이 배경으로 나오게 된다면 이는 간접적 광고를 통하여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줄이고 상품의 선호도 및 브랜드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12.0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1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