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과 도시재개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절 서론
 1. 도시계획과 재개발조사에 앞서
 2. 도시계획과 재개발의 의의

제 2절 본론
 1. 도시계획의 설립배경
 2. 도시계획의 특성
 3. 도시계획의 문제점
 4. 도시계획제도의 발전방향
 5. 사례

제 3절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방자치단체의 출자로 충당되도록 되어 있다.
㉡그랑프로제(Grand Project)를 통해 라데팡스 개발은 1964년 마스터플랜 수립에 따라 단계별로 진행이 되었으며 최근 2007년까지 주거기능이 보완되었다.
그랑프로제의 추진경과는 다음과 같다.
제1시기(1958~1969년)
라데팡스 개발청(EPAD) 설립
제2시기(1970~1980년)
RERA선 개통 및 라데팡스 순환도로 개통Aurore 타원, Defence 2000타워, Manhattan 타워 완공
제3시기(1980~1990년)
Les Miroirs 타워, Scor 타워, Athena 타워, Descartes 타워 완공, 쇼핑센터 Les Quatre Temps오픈신개선문 완공
2000년 이후~
기타 각종 무수의 타워 건립지하철1호선 개통 및 완공트램 개통 및 완공
라데팡스 개발은 총 750ha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비즈니스지구와 공원 및 주거복합지구로 구분되어 계획, 시행되었다.
라데팡스 개발청은 1958년부터 준비 및 설립이 이루어졌고, 운영비는 라데팡스 지역에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건축권을 판매하는 것으로 충당하며, 건축권 판매비는 개발청의 유일한 수입원이었다. 파리의 구도심과 신도시(라데팡스)를 연결하여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 냈다. 최근 2005년부터는 신도시 라데팡스의 혁신을 주제로 다시 또 한번의 라데팡스 부흥에 주력하고 있다. 70,80년대부터 들어선 건물들이 낡아버린데에 따라서 '라데팡스 2015-미래의 감각'이란 프로젝트를 발표해서 "낡은 라데팡스를 혁신한다"는데 초점을 두고, 사무공간과 주거공간을 확장하는가 하면 기존의 낡은 빌딩들을 개보수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2)런던 도크랜드 재개발
①도크랜드 지역의 입지적 특성
Docklands는 런던 템즈 강 북안의 22km(660만 평)에 달하는 조선 및 계류장(dock)과 Isle of Dongs(royal Docks)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1970년 London Docks와 Surrey Docks 폐쇄 이후 지속적인 쇠락으로 산업쇠퇴 지역으로 전락하였다.
도크랜드 지역의 산업은 주로 선박건조와 수리, 수입품 가공, 의류, 가구, 인쇄업 등 제조업부문이 소규모 워크숍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19세기 후반 이래 이 지역의 남성들은 주로 부두노동과 공장노동에 종사하였고, 여성들도 상당부분 가내노동을 통해서 생계를 꾸려나가고 있었다.
1981년 London Docklands Development Corporation설치 이래 본격적인 재개발이 이루어져 현재는 런던의 새로운 상업, 주거 및 여가의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으며, 강 건너 Greenwich반도의 밀레니엄 돔을 비롯하여 광역적 재개발 또는 부흥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②개발전략
런던 도크랜드 재개발은 업무공간의 창출과 고소득층 위주의 자가소유주택공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Docklands는 런던도심에서 5마일(8km) 정도 떨어진 테임즈강 북안에 위치하고 테임즈강 건너 그린위치와 인접해있다. 런던과는 페리 여객선, 25분이 소요되는 경전철 및 간선도로망 및 유로터널과도 인접해있다. 이 지역은 산업 및 경제 부활을 위하여 기업지구를 설치하고 각종 간선교통, 교역전시시설, 위락시설 및 주택건설을 추진했다.
③시사점
도크랜드 개발은 테임즈강 연안의 재부흥을 가져오고 있으며, 주변에 다양한 비즈니스, 주거 및 위락시설이 들어서 있다. 이들의 특징은 건물설계의 미적감각과 개발, 조경의 질이 높아 향후 도시환경 창출에서 양적인 것보다는 국제수준의 질의 확보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안의 많은 주거시설이 건설되고 있었으나 동일한 설계는 거의 없이 독창적이고, 품격이 높은 시설과 환경을 보여주고 있어 미래를 위한 투자 차원에서 인상적이다.
제 3절 결론
지금까지 도시계획과 재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것들을 조사하고 사례를 통해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계획과 재개발에 대해 살펴봤다.
그 결과 도시계획을 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리 예상하고 예산확보를 함에 있어서도 신중히 결정을 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재개발에 대해서는 도시재개발사업과 관련하여 이론적 접근부터 외국의 사례와 국내의 재개발사업의 실태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방향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전반적으로 살펴봤다.
연구 과정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재개발사업의 시행은 토지의 합리적인 고도이용과 도시기능의 회복, 그리고 발전을 위한 행정의 수단으로써 기본적으로는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재개발사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목표임을 발견하게 됐다.
* 참고자료
<문헌>
김 원, 「도시행정론」, 서울: 박영사, 1991.
노춘희, 「도시재개발」, 서울: 경영문화원, 1989.
박수영, 「도시행정론」, 서울: 박영사, 1991.
박우서외, 「행정개혁론」, 서울: 나남출판사, 1994.
한국 도시지리학회편, 「한국의 도시」, 서울: 법문사, 1999
하창현, 「현대도시계획」,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2007
조재성, 「미국의 도시계획」, 서울: 한울, 2004
<인터넷>
http://www.u-story.kr/212
http://www.macarchitects.com/business/business_02_3p_m.asp
http://cafe.naver.com/key0342.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725
http://blog.naver.com/nskrealty/110006303261
http://blog.naver.com/mongtte36/140030209954
http://blog.naver.com/mongtte36?Redirect=Log&logNo=140014216120
http://www.yeongsangang.com/bbs/board.php?bo_table=NewsNaju&wr_id=4341&page=50
<논문>
유재윤, “도심재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1997.
오경태, “한국의 도시재개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6.16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