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전략] 대구지역 중소기업의 국제경영전략의 수립 - 디보스(diboss)의 국제경영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업선정이유 & 기업소개
Ⅱ. 내부환경 분석 및 외부환경분석
1. 국제경영전략의 기본 방향
2. 내부환경분석
3. 외부환경분석
Ⅲ. 국제경영전략 수립
1. 디보스의 글로벌경영전략
2. 경쟁사분석
3. S.T.P 분석
4. 마케팅믹스(4P) 분석
Ⅳ. 결 론

본문내용

%를 해외시장에 수출, 유럽시장을 13%까지 독식하는 등 해외에 더 잘 알려져 있는 벤처 기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소비자들에게 디보스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는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물론 디보스가 삼성전자나 LG필립스와 같은 대기업이 아니기에 고객이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기 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파워에서 열세인 것은 당연하다. 브랜드 파워는 기업에게 이미 축적된 브랜드 자산 덕분에 대대적인 홍보활동을 하지 않고도 신제품을 쉽게 정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해준다. 그러기에 디보스는 매출 대비4%를 브랜드 홍보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가. 미디어전략
매체전략은 표적집단에게 광고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가장 효율성이 높은 매체를 조합시키는 방식으로 표적 집단에게 광고를 효율적으로 노출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카피전략과 긴밀히 연결시켜 소비자의 심리상태를 유리하게 변용 시키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즉, 단순히 도달률이나 도달빈도 등을 최대로 한다는 원리가 아니라 개개 매체의 도달률과 함께 각 매체가 갖는 영향력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디보스가 갖는 제품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를 잘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매체를 선택하여야한다. 우선 디보스는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야한다. 디보스의 원어인 Digital Boss라는 기술력에서의 강한 이미지와 함께, LG의 Life is Good 같은 우리 생활 주변에 많이 자리하고 있으면서도 따뜻한 감성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 형성이 필요하다.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는 정보제공형 메시지의 이성적 위치와 함께 이미지 소구형 메시지의 감성적 위치에서의 이미지 전달 미디어를 중심으로 전략이 구사되어야 하며 도달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체 선정이 필요하다.
a. TV
디보스는 스위스에서 Target 시청율 및 도달률을 고려하여 Peak Time에 집중하여 스포츠 경기와 뉴스 드마라 시간대에 TV광고를 하고 있다.
b. 신문
신제품이 나올 경우 런칭 초기 2개월 집중
Target등의 열독율 고려, 일간지 중심운영, 비용 효율성이 높은 일간지 중심
신뢰도 및 주목율 제고위해 대형 Size유지
c. 잡지
보조매체로 적극 활용 Target의 열독율 고려, 시사지 및 여성지 활용
나. 이벤트
각종 세계 주요 박람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적극적 마케팅으로 마케팅 방식 전환하여 더 넒은 세계 시장으로의 진출 발판을 다진다. 디보스에 대한 고객의 호감도를 높일 수 있는 찬스일 뿐 아니라, 소비자를 통한 촉진 전략도 행해진다. 사용한 사람들의 후기를 받아 광고로 사용하고, 그들의 이웃에게까지 간접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세빗(CeBIT)-
독일 하노버에서 매년 개최되는 세계 규모의 정보 통신 기술 전시회로 세빗 박람회는 매년 60개국 7,000여개 업체가 참가하고 약 60만명의 바이어 및 관람객들이 방문하는 세계 최대 수준의 정보통신 전시회이다. 디보스는 2002년 세빗에서 품질과 기술을 인정 받아 성공 하였다.
4. 실행구조 : 조직 구조 및 마케팅 통제
-디보스(DIBOSS)의 조직도
Ⅵ. 결론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은 기업. 디보스 하면 따라다니는 수식어이다. 국내에서 내실을 쌓아 경쟁력을 키운 뒤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기존 기업들의 방식과 달리 처음부터 국내가 아닌 해외시장을 겨냥해 수출에 주력한 후 국내에까지 진입하는 전략을 쓴 디보스는 지난 2000년 세비텍으로 설립된 이래 15인치~40인치까지 LCD TV 라인업을 갖추어 매년 4~5배씩 급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해 55억, 2004년 매출은 800억으로, 이처럼 눈부신 성장의 배경에는 경영방침 중 하나인 해외마케팅 지향과 특화된 기술력에서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디보스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장밋빛 미래만을 예견할 수는 없다. 근래 LCD시장은 2004년 하반기 중 LCD 산업 및 LCD TV 시장의 부진과 대체율 증가세 둔화로 인한 과잉공급이 LCD 가격 하락을 초래했고 수익성에 큰 타격을 입기도 했다. 물론 2005년 들어 패널 가격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으며 2006년에는 실질적인 수익성 개선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경쟁 상황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보스가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으로 재무장할 필요가 있다.
국내 시장에서는 해외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기술력과 제품력을 무기로 사용하면서 지금과 같이 고급화 전략으로 소비자에게 포지셔닝하고 해외에서는 기존에 쌓아올린 높은 인지도를 활용함과 동시에 차별화된 신제품 개발 및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코란TV나 게임TV, IMTV와 같이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끊임없이 개발하는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대기업과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틈새시장을 공략해 보는 것도 매력적인 전략이며 기술과 브랜드 인지도를 위한 과감한 마케팅 투자를 통해 시장 기반을 확보하는 것에도 주력해야 한다.
'2007년 디지털 컨버전스 TV 세계 NO.1'이라는 경영목표 아래에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LCD TV 선두업체가 되기 위해 비상하고 있는 디보스는 국내 보다 해외 시장에 먼저 진출하는 수출에의 집중을 통해 성장했다는 점에서 특수한 사례이며 또한 중소기업으로서 LCD TV 전제품 Full Line-up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자체 기술 개발이 가능할 만큼의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중소기업 같지 않은 중소기업이다.
이 사례를 통해 우리는 제품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술력이라는 점, 다시 말해 다른 기반 요소들도 뒷받침 되어야 하겠지만 기술력이 해외진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임을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은 뛰어나지만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에 있어 여러 가지 장벽들에 부딪혀 좌절했던 수많은 중소기업들. 정부는 디보스의 사례처럼 해외진출의 역량을 갖추고 있는 기업을 선별해 해외로의 진출을 적극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차별화된 제품력과 Time to Market의 Speed를 활용하여 Digital Convergabce 제품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나는 디보스, 글로벌 기업으로서 힘차게 도약하는 디보스를 기대해 본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08.18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