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자리활동][혼합형학습][이러닝]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자리활동(Corner Learning),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 이러닝(e Learning) 분석(협동학습, 자리활동, 혼합형학습, 이러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동학습][자리활동][혼합형학습][이러닝]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자리활동(Corner Learning),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 이러닝(e Learning) 분석(협동학습, 자리활동, 혼합형학습, 이러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Ⅱ. 자리활동(Corner Learning)
1. 자리 활동(Corner Learning)의 개념
2. 자리 활동의 필요성
1) 자리 활동의 교육적 가치
2) 교사의 역할

Ⅲ. 혼합형학습(Blended Learning)

Ⅳ. 이러닝(e Learning)
1. 적극적 상호작용성
2. 자기주도적 학습방식
3. 학습공동체 형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축될 수 있다.
1. 적극적 상호작용성
기존 교육방식은 교수자에서 학습자로, 지식창출자에서 지식소비자로 일방향적으로 지식이 전달되었다. e-learning은 이러한 이분화된 구조를 상호작용을 통해 구분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형태의 교육컨텐츠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다른 학습자간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참여자간에 상호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전달받기만 하는 지식이 아닌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식을 보다 원활히 교류함으로써 지식창조로까지 연결시킨다. 창조된 지식은 바로 네트워크를 통해 또 다른 교육내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자기주도적 학습방식
e-learning이라면 언제 어디서라도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목표와 방법을 정하고 학습을 주도하며 스스로 그 결과를 점검해가는 방식이다. 이로써 e- learning으로 지식생성력이 생긴다. 지식 생성력이란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다. 지식 생성력을 기르는 교육은 남이 만들어 놓은 기존의 지식을 따라 배우는 수용(受容) 교육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이다. e- learning의 다른 특성들, 상호작용과 학습공동체 형성은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지식창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3. 학습공동체 형성
자기주도적으로 원하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상호작용이 지속되면 특정 지식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새로운 학습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동체 내의 개체들은 각자의 지식을 생성해낼 수 있도록 서로 간 도움을 주고받게 된다. 그리고 학습공동체 내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성을 통해 실제 경험을 대신할 수 있는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참고문헌
▷ 김도헌(2003), Blended Learning 그것이 알고 싶다
▷ 백영균(2004), 학교교육에서의 e-learning 도입과 활성화 방안, 2004년 e-learning 박람회 발표자료
▷ 유인출(2001), 기업교육에 있어서 e-Learning 도입을 위한 고려사항, 이비즈그룹
▷ 오인경(2004), Blended Learning의 실시 현황 분석 : 국내 현황 및 외국과의 비교, 기업 교육연구
▷ 정문성·김동일(1998), 열린교육을 위한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형설출판사
▷ 한정선(2000), e-Learning 시대의 매체와 방법의 의미 재고, 교육공학연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9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