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와 환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의 에너지원별 연도별 현황, 수급과 전망을 도표를 곁들어 작성하시오.
1.1 석탄 소비실적
1.1.2. 무연탄 소비실적
1.1.3. 유연탄 소비실적
1.2.1. 석유 소비실적
1.2.2. 휘발유 소비실적
1.2.3. 경유 소비실적
1.2.4. 기타유 소비실적
1.3.1. LPG 소비실적
1.3.2. 프로판 소비실적
1.4.1. 천연가스(LNG) 공급실적
1.4.2. 도시가스 소비실적
1.5.1. 전력 소비실적
1.2. 수급과 전망

2. 학생이 거주하고 있는 곳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작성하고 각각에 대한 에너지 종류와 전력소비를 나타내고 하루 1인당 에너지 소비를 대략적으로 산출하시오.
2.1. 1차에너지 소비현황
2.2 무연탄 소비량
2.3 유연탄 소비량
2.4 석유제품 소비량
2.5 도시가스 소비량
2.6 최종에너지 소비량
2.7 최종에너지원별 소비구조
2.8 전력소비

전라북도 최종 에너지 소비 추이
가. 원별에너지 소비
나. 부분별 에너지소비
최종 에너지 원별소비

본문내용

7,311
2,271
2,271
114,639
42,278
72,360
17,088
17,088
278,452
연도별
2003
150,387
143,238
7,149
2,331
2,331
123,083
44,572
78,511
17,798
17,798
293,599
연도별
2004
158,337
150,557
7,780
2,475
2,475
132,005
48,615
83,389
19,279
19,279
312,096
연도별
2005
166,813
158,489
8,324
2,601
2,601
142,248
50,873
91,375
20,751
20,751
332,413
연도별
2006
174,661
165,973
8,689
2,534
2,534
149,799
52,522
97,277
21,725
21,725
348,720
연도별
2007
186,252
176,973
9,279
2,433
2,433
157,131
54,174
102,957
22,790
22,790
368,605
연도별
2008
194,630
184,795
9,835
2,277
2,277
164,457
56,228
108,229
23,706
23,706
385,070
* 전력 소비량도 또한 끊임없이 증가추세이다. 연도별 최근 2008년도에 제일 소비량이 높았으며, 가정상업부문과, 산업부문에서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전력소비도 LPG등과같이 소비량이 전체적으로 아주 높다.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실적은 GNP증가율(국민경제성장률)의 증가함에 따라 더욱더 에너지 소비실적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사실상 국민과학기술발달, 국민역량증가 등이 변화 함에 따라 증가 할 수밖에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위치에 있다고 보면 될 것이다. 모든 에너지 소비실적 합계를 보면 수치가 약간 떨어지는 것도 볼 수 있지만 재차 다시 오르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의 에너지 수입량과 의존도는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으며 대체 에너지 개발은 신속히 이루어 져야겠다고 보아야겠다.
1.2. 수급과 전망
석유와 비교 하여 석탄의 장점은 석탄의 풍부한 매장량, 낮은 지역편재성, 저렴한 비용 등이 있다. 2003년 말 기준 전 세계 석탄 매장량은 약 1조 톤으로 추정하고 있다.
밑의 표는 석탄의 발전부문 비율로 2004년 한전전력통계자료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발전설비측면에서 삭탄계가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석탄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전 세계 발전 부문에서 중요한 부문을 차지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많은 매장량으로 석탄사업의 개발로 고유가 시대의 대체개발로 큰 효시를 거둘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의 여러 가지의 대체 에너지 개발은 필수 사항이며 불가피한 사항이 될 것이다. 말로만 대체에너지개발에 주목 하지 말고, 실현가능한 대체에너지 개발에 주목해야할 필요성에 주목해야할 것이다.
2. 학생이 거주하고 있는 곳의 에너지 사용 현황을 작성하고 각각에 대한 에너지 종류와 전력소비를 나타내고 하루 1인당 에너지 소비를 대략적으로 산출하시오.
2.1. 1차에너지 소비현황
* 전북의 1차 에너지 소비량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광주, 대전, 제주가 적으며 대구, 전북 순이다. 전북은 1차에너지로 석유제품과 수력을 그나마 소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2.2 무연탄 소비량 2.3 유연탄 소비량
* 무연탄은 전북이 전 지역 대비를 해봤을 때 * 유연탄 소비량은 아주 극소량인 것으로 추
적게 쓰는 편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자원을 측 된다. 충남은 발전용 유연탄으로 엄청나게
아껴 쓴다고는 말할 순 없지만 말이다. 전북의 쓰는 반면에 전북 광주 대전 제주는 소비가
무연탄 소비량은 가정상업에서 주로 높은 소비 제일 적었다. 그중 전북도 포함.
량을 보인다.
2.4 석유제품 소비량 2.5 도시가스 소비량
* 석유는 울산과 전남에 대비하여 전북지역은 * 도시가스 소비량은 인구가 많이 밀집 되어있
2.5%로 소비량이 적은 지역에 포함된다. 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많았고 그에 반해
전북지역은 3.0%로 적은 수치라고 할 수 있 다.
2.6 최종에너지 소비량 2.7 최종에너지원별 소비구조
* 위의 결과를 합산한 결과이다. 해가 거듭할 * 전북지역은 석유제품사용이 가장 두드러
수록 에너지 소비량도 증가했음을 유추 할 수 지며 다음으로 전력사용과 도시가스 순이다.
있다. 전북은 열에너지 사용은 극소량인 것으로
보인다.
2.8 전력소비
* 경기나 서울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거의 비슷비슷한 소비량을 보인다.
특히 전북지역은 산업부문에서 전력소비량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전라북도 최종 에너지 소비 추이
가. 원별에너지 소비
* 전라북도는 2006년도에 에너지 소비량이 제일 높았다. 열에너지 소비는 점점 떨어졌다가 2006년도에 다시 조금씩 소비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에너지대비 석유가 가장 많은 소비를
하고 있다.
(98년도에는 IMF 때문에 급감했을 것이라 추측함.)
나. 부분별 에너지소비
* 전북지역은 산업부문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정산업과 수송은 거의
비슷하며 2006년도에 가장 에너지 소비가 높았다.
(98년도에는 IMF 때문에 급감했을 것이라 추측함.)
최종 에너지 원별소비
합계
석탄
석유제품
도시가스
전력
열에너지
신재생및기타
인구수
전라북도
4,803
34
2,709
570
1,304
-
186
627,339
1인당 에너지 소비량 ;
석탄: 0.0000542
석유제품: 0.00431824
도시가스: 0.0009086
전력: 0.00207862
열에너지: -
신재생 및 기타: 0.00029649
출처 :
「에너지관리공단」. http://www.kemco.or.kr/ (2011. 3. 11일 검색).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http://www.kier.re.kr/ (2011. 3. 11일 검색).
이성곤, 김종욱, 윤용진. “에너지 자원 수급 전망 분석 및 최적 기술 개발 대안에 관한 연구.” 「에너지공학」, vol.15 no.3(2006): 174-180.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지역에너지통계연보」. 경기: 에너지경제연구원, 2008.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9.10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