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유아를 위한 양성평등교육의 전략과 문제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양성평등교육
(1) 양성평등교육의 개념
(2) 양성평등교육의 목표 및 내용

2. 유아를 위한 양성평등교육
(1) 성역할의 개념
(2) 성역할 학습 이론
(3) 성역할 발달 과정
(4) 성역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 유아를 위한 양성평등교육의 전략
(1)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과 양성평등교육
(2) 유아 교수-학습매체와 양성평등교육
(3) 유아교육과정과 양성평등교육
(4) 유아교사와 양성평등교육
(5) 유아의 부모와 양성평등교육

4. 유아기 양성평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로 치장한 남자, 힘이 센 여자)
3. 여러 가지 직업을 가진 남녀 각각의 사진자료
(간호사, 과학자, 군인, 미용사 등)
4. 남자와 여자의 다양한 일상생활 모습 사진자료
(운전하기, 아기 돌보기, 전등 교환하기, 컴퓨터하기, 청소하기, 설거지하기 등)
5. 밴 다이어그램 판
활동방법
○ 여성과 남성의 신체적인 차이로 인하여 여자만 할 수 있는 일과 남자만 할 수 있는 일의 사진(예 : 면도하는 모습, 아기에게 젖을 먹이는 모습)을 보며 이야기를 나눈다.
면도는 왜 하는 걸까?
면도는 왜 남자만 할까? 여자는 할 수 없을까?
여자, 남자는 모습이 서로 다르고 몸의 특징도 다르기 때문에 하는 일도 다르고, 여자가
(또는 남자가) 할 수 없는 일도 있구나.
○ 여자(남자)만 할 수 있는 일을 이야기해 본다.
여자(남자)만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 유아가 이야기한 남녀의 외양에 대한 고정관념에 반대되는 사진자료를 제시 하며 다시 생각해보게 한다.
치마는 여자만 입을 수 있을까?
힘이 센 여자 운동선수를 본 적이 있니?
○ 그림자료을 보며 여자만 할 수 있는 일과 남자만 할 수 있는 일을 분류한다.
이 사진 중에서 남자만 할 수 있는 일과 여자만 할 수 있는 일을 나누어 그림판에 붙여보자.
○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형성되어 있는 사진을 보여주며 이야기를 나눈다.
(실험 중인 사람의 사진을 보여주며) 무슨 일을 하고 있니?
그렇다면 실험을 하는 이 사람은 그림판의 어디에 붙일 수 있을까?
“병원에 갔을 때 여자 의사선생님께서 진찰을 해주셨어요.”하는 사람은 손들어보자.
○ 일상생활에서의 모습을 보며 이야기한다.
전등을 바꾸는 일은 누가 할 수 있을까?
여자는 전등을 바꿀 수 없을까? 왜 그렇게 생각하니?
“우리 아빠는 요리를 잘 하셔요.”하는 사람 있니? 어떤 요리를 잘하시니?
○ 남자인지 여자인지에 따라 하는 일이 다르기도 하지만 그 밖의 다른 일은 구분 없이 잘 할 수 있는 일,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추후활동
○ 나는 커서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내가 잘 할 수 있는 일과 좋아하는 일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 가정에서 엄마와 아빠가 하는 일을 조사하여 발표한다.
유의점
○ 성에 따른 신체적 특성으로 인한 역할의 제한이 있기도 하지만 가정에서의 역할 분담과 직업에서는 동등하다는 것을 강조하여 활동한다.
가정과의 연계
○ 부모의 직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유아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볼 수 있다.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는 부모님(예: 남자요리사, 여자건축가 등)이 계실 경우에는 직접 유치원에 초청하여 유아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활동 2 : 설거지하기
활동목표
가족 구성원은 각각 역할과 책임이 있음을 안다.
가족 구성원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안다.
놀잇감을 스스로 깨끗이 닦는 일을 통해 성취감을 느낀다.
활동유형
자유선택 활동(역할놀이)
활동자료
역할영역의 그릇류, 큰 대야, 스폰지, 수건, 앞치마, 행주, 바구니
활동방법
○ 역할놀이 영역에서 놀이하는 유아에게 교사가 더러워진 식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묻는다(교사가 놀이자로 참여하여 활동을 제안한다).
여기 음식을 먹고 난 뒤에 더러워진 접시, 그릇, 컵, 수저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깨끗하게 씻어 놓으면 세균이 없어져 병에 걸리지 않을텐데, 엄마, 아빠 생각은 어떠세요?
○ 물놀이 영역에 큰 대야를 준비하고 식기를 옮겨 관심을 가진 유아가 자연스럽게 ‘설거지하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왜 어떤 그릇은 가라앉고 어떤 그릇은 물 위에 떠 있을까?
다 닦은 그릇은 어떻게 할까?
닦은 그릇을 이 바구니에 다 담아서 말리려면 어떻게 놓아야할까?
○ 설거지가 끝난 후, 유아가 놀잇감을 역할영역의 제자리에 정리하도록 한다.
○ 교사는 유아와 설거지를 해본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설거지를 해 본적이 있니? 언제 누구와 설거지를 해 보았니?
설거지는 엄마만 해야 하는 일일까? 왜 그렇게 생각하니?
아빠와 설거지를 해 본적이 있니? 왜 아빠와 설거지를 했을까?
설거지를 해보니 힘이 들었니?
매일 설거지를 하는 엄마(아빠)께 어떤 마음이 들었니?
밥을 먹은 후 설거지를 하는 엄마(아빠)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추후활동
○ ‘쌓기놀이 교구 닦기’, ‘빨래하기’, ‘인형 목욕시키기’, ‘교실의 대청소’등으로 변형, 확장한 후 신체표현 활동을 할 수 있다.
○ 모래놀이 후 더러워진 도구를 함께 세척할 수 있다.
○ 남자 요리사의 모습이 담긴 비디오 자료를 함께 보며 남자의 가사 노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 설거지를 해본 남아와 여아의 모습을 사진이나 비디오로 촬영하여 본 후에 다른 친구들과 어떤 생각이 드는지 이야기 나눌 수 있다.
유의점
○ 활동할 유아는 옷의 손목 부분을 걷고 앞치마를 착용하도록 한다.
○ 세제는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닦는다.
○ 젖은 놀잇감을 깨끗이 말릴 수 있는 도구와 공간도 확보한다.
○ 유아의 대화 중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반영된 어휘가 오고가면 교사가 적절히 반응한다.
가정과의 연계
○ 설거지 모습이 담긴 자료를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가족과 함께 감상하고, 가정에서도 부모와 함께 설거지를 해 볼 수 있도록 하여 경험한 후 교실에서 이야기를 나누어본다.
♣참고문헌
강경희(1999). 전형적 비전형적 성역할 이야기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소원(1999). 반편견 사고게임과 그림동화활동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민정(1995). 성역할 평등 개념에 기초한 교육내용 및 교수방법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석란외(2004)유아사회교육의 이해. 양서원
김영옥외(2001)유아 협동활동의 현장적용. 양서원
네이버 블로그 [사랑이 넘치는 영은진이네]
http://blog.naver.com/nhy214?Redirect=Log&logNo=80056760339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3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