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망의 분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통신망의 분류

Ⅰ. 외형에 의한 분류

1. 스타형 네트워크
2. 계층형 네트워크
3. 루프형 통신망
4. 버스형 통신
5. 분산형 통신망

Ⅱ. 거리에 의한 분류

1. 근거리 통신망(LAN)
가. HUB
나. 리피터
다. 브리지
라. ROUTER
마. GATEWAY
2. 원거리 통신망(WAN)
3. 인터네트워킹
4. 광대역 정보통신망(MAN)

Ⅲ. 소유에 의한 통신망의 분류

Ⅳ. 활용에 의한 분류

본문내용

롭게 등장한 개념이 '인터네트워킹(inter networking)'이라는 개념으로 이것은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라우터는 인터네트워킹 장비인 셈이다. 최근 LAN과 WAN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것은 라우터와 비슷한 유형의 장비가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거리 기준이 LAN과 WAN을 구분하는 원칙으로 사실상 힘을 잃고 장비기능이 다양화함에 따라 LAN, WAN의 통합 추세가 분명해지고 있는 것이다.
(4) 광대역 정보통신망(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은 LAN과 WAN의 중간 형태로 보통 50km 정도의 거리 연결에 많이 사용된다. 넓은 대도시 지역의 데이터가 MAN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LAN의 특징을 살리면서 지역적으로 확장시키는데 많이 사용된다.
광역통신망 또는 대도시 네트워크로 불리는 MAN은 1백 내외 지역을 엮는 중형 통신망이다. 주로 미국, 캐나다 등 국토가 광활한 국가에서 구축하고 있는 MAN은 기업, 기관 등의 LAN과 지역 통신사업자들의 WAN을 하나로 묶어 놓은 형태다. 범국가적인 통신망을 구축하는데 징검다리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이는 WAN은 기능상 WAN보다 뛰어나고 범위상 LAN보다 크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III. 소유에 의한 통신망의 분류
통신망을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 사설망(private network)과 공중망(public network)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사설망은 개인이나 개별기업에 국한되어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소규모 통신망으로 사설전화교환기나 부가가치통신망(VAN : Value Added Network)등이 이에 해당한다. 공중망은 누구나 사용료만 내면 사용할 수 있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민들에게 정보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되는 공중통신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대표적인 공중망은 공중전화통신망(PSTN)과 이를 활용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디지털정보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등이 있다.
ISDN은 아날로그통신과 디지털통신의 통합을 추구하는 통신망의 형태로서 전화뿐 아니라 팩시밀리, 비디오텍스 등과 같은 뉴미디어도 전화와 마찬가지로 다를 수 있는 통신망이다.
IV. 활용에 의한 분류
통신망의 활용은 기업 측면에서는 경쟁전략의 차원과 직결되므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용용하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 실제 기업에서 통신망의 활용은 표준양식의 정보를 컴퓨터에 의해 작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의 컴퓨터로 전달하는 전자자료교환(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 기업이 통신회선을 임대하거나 사용하여 단순히 전송이 아닌 축적, 가공, 변환 등의 작업을 거쳐 정보제공의 서비스를 시행하는 부가가치통신망(VAN : Value Added Network) 등이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이를 경영활동에 응용하려는 노력이 인트라넷(Intra-
net)이나 엑스트라넷(Extranet)의 형태로 다가오고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07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