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복지관][사회복지관][가상복지관 장점][가상복지관 모형]사회복지관의 특성, 사회복지관의 목표, 사회복지관의 변천, 가상복지관의 개념, 가상복지관의 종류, 가상복지관의 장점, 가상복지관의 모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상복지관][사회복지관][가상복지관 장점][가상복지관 모형]사회복지관의 특성, 사회복지관의 목표, 사회복지관의 변천, 가상복지관의 개념, 가상복지관의 종류, 가상복지관의 장점, 가상복지관의 모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사회복지관의 특성

Ⅲ. 사회복지관의 목표

Ⅳ. 사회복지관의 변천
1. 사회복지관의 전신인 초기의 형태(Basic Model)
2.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복지관이 설립되다

Ⅴ. 가상복지관의 개념

Ⅵ. 가상복지관의 종류
1. 서비스 제공형 가상복지관(일반 가상복지관)
2. 교육훈련형 가상복지관(대학부설 가상복지관)
3. 혼합형 가상복지관(사회복지정보원)
4. 사이버(cyber) 복지관

Ⅶ. 가상복지관의 장점
1.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2. 지역사회 자체가 좋은 사회로 바뀌어 간다
3. 스티그마를 완화시키고 복지를 보편화하는데 기여한다

Ⅷ. 가상복지관의 모형
1. 지역사회중심 서비스
2. 정보시스템(가상공간)의 활용
3. 조직, 인력 관리
1) 외부의 전문가와 단기계약을 맺어 일하게 하는 것이다
2)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것이다
3) 프랜차이징이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 현재의 일반적인 근무방식이다 이 근무방식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혼잡시간(Rush hour)에 출퇴근하는 것은 시간 소모가 너무 많고, 사람을 지치게 하여 근무능률을 떨어뜨린다. 또한 시간상 고객(클라이언트)과의 접점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예를 들면, 청소년 지도는 저녁부터 밤까지 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밤늦게까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아침 일찍 복지관으로 출근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가상복지관의 사회복지사들은 고객의 필요에 가장 부합되는 시간대에 고객에게 가장 편리한 장소로 출퇴근하게 된다. 레코딩은 온라인 정보시스템을 통해 전송한다. 1주일에 한 두번만 복지관 사무실로 출근하고, 특별한 일이 없으면 현장으로 출퇴근하며 전자게시판과 전자우편을 통해 의사소통 및 지시사항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또한 현지에서 물적자원과 공간과 인적자원을 동원하고 현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현지 완결형” 사업 방식을 지향한다. 이때의 사회복지사는 해당 업무에 있어서 현장소장 혹은 小관장이 되는 것이다. 지역사회에는 호의를 가진 주민조직들이 많이 존재하고 있다.
에를 들면, 부녀회나 상인연합 등이 그런 것이 될 수 있다. 평일에 쉬는 교회의 교육관이나 동사무소 여유공간, 혹은 기업의 유휴 교육시설 등도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이렇게 지역주민들이 그들의 공간과 자원을 활용하여 복지사업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보람도 느끼게 하고 사회 자체를 변화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하려면 사회복지사의 자질과 능력이 그만큼 요구되는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학습하고 연구하는 풍토의 정착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2. 정보시스템(가상공간)의 활용
가상복지관은 정보시스템(인터넷과 컴퓨터)을 의사소통과 기록 및 지식관리의 기반(Infrastructure)으로 하는 복지관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직원들 분만 아니라 함께 일하게 되는 대부분의 Outsourcing Contractor들이 E-mail과 전자게시판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복지관의 행정과 의사소통과 기록 및 지식관리가 이루어지는 가상공간, 즉 정보시스템 네트워크 그 자체가 가장 중요한 사무공간이며 조직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상복지관은 직원들이 대부분의 업무시간을 고객의 현장에서 보내기 때문에 물리적 본부 사무실에 직원 개개인의 책상을 둘 필요가 없다. 단지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의 메일과 파일들에 접근할 수 정도의 사무공간만 있어도 되는 것이다.
3. 조직, 인력 관리
가상복지관은 상근직을 최소화하고 주로 아웃소싱을 통해 인력관리를 해결하게 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 무엇보다 기관의 핵심가치와 Identity, 그리고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이 무엇인지 명료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분야로 특화시켜 최소한의 전문 인력만 상근직으로 채용하고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 아웃소싱하면 되는 것이다.
핵심 인력들도 자기 고유업무에 FTE(Full Time Equivalents) 70% 정도만 투입하고 나머지 30%를 외부계약자, 협력기관, 지역주민 조직 등을 행정적으로 지원하고 조직화, 협의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는 Task force 사업팀의 간사 역할도 해야 한다.
가상조직(복지관)은 정보시스템에 기반으로 하므로 중간관리계층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Flat-bed형 조직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가상조직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Task Force중심의 가변 조직이어야 한다. 해당 사업분야에 관심있는 전공 대학생들을 장기계약을 맺어 사업팀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기존 복지관처럼 정식 직원을 채용하여 일정한 부서로 편성하는 것이 아니고, 사업에 따라 사업팀을 구성하되 팀의 종류와 크기, 운영기간은 해당 업무를 고려하여 정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 복지관은 각 부서간의 협조가 쉽지 않고 단절의 벽이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부서간 갈등, 복지전문직과 타 직원들 간의 갈등 이러한 것이 조직 전체의 역량을 감소시키는 엔트로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가상복지관은 그 특성상 이런 부정적 요소가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상복지관이 최소한의 상근직만 두고 필요에 따라 아웃소싱 하는데 그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외부의 전문가와 단기계약을 맺어 일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단기계약을 맺어 일하는 사람을 Outsourcing Contractor 혹은 Tempo(Temporary employee)라고 한다. 이때의 사업주체는 가상조직(복지관)이 된다.
2)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지역의 청소년들을 위해 “품 청소년놀이문화연구소”에 의뢰하여 우리 지역에서 청소년 프로그램을 진행해 주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 사업비용은 가상복지관에서 일부 혹은 전액 부담하게 된다. 사업주체는 외부 전문기관 명의로 하거나 공동명의로 하게 되는 것이다.
3) 프랜차이징이다
예를 들어, 우리 지역에 노인문제가 심각한데, 우리 기관에는 노인전문가가 없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한국노인의전화로부터 전문 프로그램과 그 실행전략과 자료를 프랜차이징하여 그 프로그램을 우리 지역에서 실시하되, 가상복지관에서 구성한 임시 사업팀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방식이다. 이때 전문기관의 전문가가 일시적으로 사업팀에 파견을 나올 수도 있다. 기관명의는 사업 아이템과 노하우를 제공한 전문기관의 명의로 하거나 공동명의로 하면 된다.
참고문헌
구병기(2003), 사회복지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재교육 실태 및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만두, 사회복지관의 바람직한 기능과 역할
김융일(1995), 21세기를 대비하는 사회복지 발전방향과 사회복지관의 정체성, 지역복지의 이론과 실제, 한국사회복지관협회
홍안나(1992), 사회복지관 운영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명섭(1997), 사회복지관의 실천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편, 지역사회복지 실현을 위한 이론과 실천적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한국사회복지관협회(1999), 사회복지관 백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10.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