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원예] 관상식물의 꽃 구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과 원예] 관상식물의 꽃 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꽃의 구조
1) 양성화 2) 단성화 3) 통꽃 4) 갈래꽃
2. 화서
1) 무한화서 2) 유한화서
3. 꽃의 형태
1) 종형 2) 깔대기형 3) 호형 4) 순형 5) 관상 6) 설상
4) 꽃의 구조와 생활원예와의 연관성

본문내용

것이 화관이다.
일반적으로 꽃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화관이 아름다운 것이며, 화관은 꽃잎의 집합이다. 꽃잎의 수나 모양은 여러 가지이지만 이들이 기부에서 떨어진 것을 이판화관 기부 또는 중부에서 상부까지 유합한 것을 합판화관이라고 한다.
합판화관에서도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꽃잎이 유착하여 특징 있는 화관을 만드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도라지·잔대 등의 종형 화관, 나팔꽃 ·메꽃 등의 깔때기형 화관, 월귤 등의 호형 화관 등이 있다.
다른 모양, 다른 크기의 꽃잎이 유착한 것에는 광대수염 ·소엽 등의 순형 화관, 통발 등의 가면형 화관 등이 있다. 또 특수한 것에는 2종류의 화관을 가진 것이 있다. 예를 들면, 국화과에는 엉겅퀴류와 같이 관상 화관만을 가진 것, 씀바귀나 민들레류와 같이 설상 화관만을 가진 것이 있고, 그 밖에 국화류 ·쑥부쟁이류와 같이 관상 화관과 설상 화관의 양쪽을 다 가진 것도 있다.
1) 종형 화관
종 모양으로 생긴 화관이다.
<도라지꽃> <잔대꽃>
2) 깔대기형 화관
깔대기 모양으로 생긴 화관이다.
<나팔꽃> <메꽃>
3) 호형 화관
항아리 모양으로 생긴 화관이다. 가운데가 볼록하다.
<초롱꽃>
4) 순형 화관
꽃잎이 위아래 두 쪽으로 나뉘어 입술 모양으로 된 화관이다.
<광대수염> <소엽>
5) 관상 화관
모양이 대롱 같거나 원통 모양인 화관이다.
<엉겅퀴>
6) 설상 화관
한 꽃에 있는 꽃잎이 서로 붙어 아래는 대롱 모양이고 위는 혀 모양이다. 국화, 민들레, 코스모스, 해바라기 따위가 있다.
<해바라기>
꽃의 형태도 내가 생각해온 것보다 훨씬 더 종류가 다양한 것 같다. 이 중 종형화관과 깔대기형화관과 호형화관은 특히나 비슷하게 생겨서 여지껏 내가 같은 종류의 꽃이라고 생각해온 것들이었다. 이번기회가 아니였으면 평생 같은 종류의 꽃인 줄 알았을 것인데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서 좋았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평소에 해바라기를 좋아하는데 이 꽃이 설상화관 형태의 꽃이라는 것도 알게 된 것도 좋았다.
4. 꽃의 구조와 생활원예와의 연관성
생활원예란 원예학을 기초로 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원예식물을 통한 취미, 오락, 감상, 교육 및 자급자족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원예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상의 공간속에서 화훼, 채소, 과수 및 조경 등의 원예식물을 사용하여 취미, 오락, 감상 및 이용하는 것을 생활원예라 할 수 있다.
생활원예는 일상의 공간에서 주로 이루어진다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면에서 일반원예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생활원예는 활동의 주된 목적이 기본적으로, 취미, 오락, 감상 및 자급자족 등을 위한 것이다. 일반 원예에서는 경제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식물을 재배하지만 생활원예에서는 경제적인 이득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여가선용 및 취미활동 등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생활원예는 주로 미적 가치를 지닌 화훼식물이 주류를 이룬다. 일부의 가정에서는 채소 및 과수류를 재배하여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셋째, 생활원예는 취미, 여가선용으로 이용되고 규모가 작으므로 노동력이 거의 필요없지만 일반원예는 비교적 넓은 면적에 많은 노동력을 투입하여 식물을 재배하여야 한다.
생활원예의 의의는 쾌적한 환경 조성, 건강의 유지와 증진, 교육 및 정서의 효과, 원예치료의 효과 등이 있다.
수많은 생물들의 구조가 다른 이유는 생물마다 살아가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고 꽃들 또한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본 알아본 바와 같이 꽃의 구조와 모양, 그리고 형태는 꽃마다 다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원예식물을 잘 가꾸기 위해서는 꽃의 구조를 먼저 공부한 후에 구조가 비슷한 식물은 비슷한 환경에서 키워야 하고 구조가 다른 식물은 다른 환경에서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비료의 양과 물의 양 등을 꽃 종류에 따라 다르게 조절해줘야 하는 것처럼 말이다.
나는 이 레포트를 하면서 단순히 꽃의 구조를 알 수 있었다기 보다 더 많은 것을 알아가는 것 같다. 내 고향 진해는 벚꽃이 유명한 동네인데 사진을 찍을 때 나뭇가지를 꺾어 꽃송이를 직접본적도 있지만 그냥 별다른 생각을 못했었는데 이 레포트를 하면서 내가 늘 봐왔던 벚꽃이 암꽃과 수꽃이 함께 피는 양성화라는 사실을 처음 알았고 내년에 벚꽃을 다시 보게 된다면 사진에서 보았던 암꽃과 수꽃을 구별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생활원예에 대해서도 정확한 정의와 의의를 알 수 있었고 내 스스로 식물을 한번 키워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1.18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4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