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비즈니스 지불의 개념과 구성) 전자지불의 개념, e-비즈니스의 주문과 지불, 인터넷 전자지불 구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e-비즈니스 지불의 개념과 구성

Ⅰ. 전자지불의 개념

Ⅱ. e-비즈니스에서의 주문과 지불

1. 거래과정과 전자지불
2. 전자지불서비스의 필요사항
1) 지불처리 프로세스의 신속성과 다양성
2) 기존 금융기관과의 연계성
3) 지불정보 보안의 중요성
3. e-비즈니스로서의 전자지불서비스

Ⅲ. 인터넷 전자지불의 구성

1. 전자지불의 참여자
2. 전자지불정보의 구성 및 흐름.

본문내용

은 형태로 구성된다.
인터넷 전자지불의 기본적인 참여자 구성
인터넷 상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지불을 처리하기 위한 기본 참여자는 위의 그림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나, 이 세 참여자로써 모든 지불처리가 가능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신용카드나 계좌이체 등과 같이 기존의 지불수단을 인터넷 상에서 활용하는 경우, 기존의 신용카드회사 또는 은행도 전자지불을 처리하기 위한 참여자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터넷 상에서 발생하는 지불처리에 전화요금 등의 청구과정(billing process)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전화서비스회사도 전자지불처리의 참여자가 될 것이다.
인터넷만을 고려한 전자지불 기본 참여자는 위의 그림과 같으나, 인터넷 상의 전자지불수단(electronic payment method)으로 자주 사용되는 신용 카드(credit card) 또는 은행계좌 간 전자이체(electronic fund transfer)를 통한 지불을 고려한다면 인터넷뿐만 아니라 기존의 금융망을 같이 고려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기존의 신용카드회사 또는 은행은 금융기관 간에 연결되어 금융기관 외부로는 폐쇄적인 금융망을 통하여 지불서비스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신용카드나 은행계좌 간 전자이체와 같은 기존의 금융지불서비스의 활용이 가능한 인터넷 전자지불 참여자의 구성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네트워크상에서 나타낼 수 있다.
기존의 금융망을 고려한 전자지불 참여자의 구성
비록 인터넷 상의 전자거래일지라도 지불수단은 기존 금융기관을 통한 지불서비스를 활용하는 경우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 금융기관을 활용하지 않는 전자지불서비스일지라도 지불참여자의 역할구성은 상당부분 유사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 나타나 있는 전자지불 참여자 각각의 역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지불자(Payer) : 웹(web) 상에서는 주로 고객(customer)이며 경우에 따라 카드소유자라고 하기도 한다. 웹상의 선택 버튼(button)이나 별도의 지불처리시스템을 통하여 지불수단의 선택 및 지불금액에 대한 최종 지불결정을 한다.
(2) 피지불자(payee) : 지불자의 지불가치를 가능한 지불수단을 통해 전달 받는 참여자이며,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merchant)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3) 지불게이트웨이(Payment gateway) : 상품을 주문하고 가격을 지불하는 거래가 지불자와 피지불자 간 인터넷 상의 정보교환만으로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지불게이트웨이는 이름이 뜻하는 바와 같이, 인터넷과 금융망 사이에 존재하면서 지불처리에 필요한 정보전달의 가교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과 금융망이 연결되는 구조의 전자지불서비스에서는 전자지불서비스 제공자가 지불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다.
(4) 신용카드사, 은행 : 인터넷 활용 이전부터 우리 생활에 익숙한 신용카드 또는 은행 간 계좌이체 서비스는 인터넷 이전에 금융망을 통하여 제공된 전자지불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지불자의 전자지불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에 지불게이트웨이는 해당 신용카드사와 지불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정보(지불승인 정보)를 금융망을 통하여 교환한다. 계좌 간 전자이체인 경우 지불게이트웨이는 지불자의 은행과 지불가능을 확인하는 정보(지불승인 정보)를 교환한다.
(5) 정산기관(clearing center또는 clearing house) : 신용카드, 수표 또는 계좌 간 전자이체의 방식을 통한 전자 지불 시에 지불자의 계좌(account)를 관리하는 은행(Payer's bank)과 피지불자의 계좌를 관리하는 은행(Payee's bank)이 다른 경우에는 두 은행 간에 지불금액만큼 서로 주고 받아야 한다. 즉, 지불자의 계좌에서 지불금액을 차감하고 피지불자의 은행에게로 지불금액을 이체하여 피지불자의 계좌에 지불금액을 더해야 하는 과정(정산, clearing)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정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정산기관(정산소 또는 clearing house)이 수행하며, 우리나라에는 금융결제원이 있다.
(2) 전자지불정보의 구성 및 흐름
상품제공과 지불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인터넷 상거래에서 따른 전자지불정보의 흐름은 기본적으로 상품을 구매하고 지불하는 고객(customer, 지불자)과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merchant, 피지불자)와 사이에 발생한다.
그리고 기존의 금융기관(신용카드사, 은행 등)과 관련되는 지불서비스인 경우에는 지불게이트웨이의 지불승인정보처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지불참여자의 인증(authentication) 및 전송정보의 암호화 처리를 위해 필요한 경우에 공인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이 정보처리부분이 포함된다.
전자이체형 지불의 경우 매 전자지불마다 지불자의 잔고가 지불금액보다 커다는 것을 확인한 후 지불이 허락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신용카드형의 지불은 신용지불 한도금액 내에서 지불이 승인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의 흐름을 전체 거래상에서 나타내면, 전자지불정보의 흐름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이중실선(=)은 전달되는 정보가 보안을 위해 암호화 처리되는 부분이다. 웹(web) 상에서 지불정보가 전달되는 가장 흔한 방법은 웹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SSL(secure Socket Layer)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림] 지불시 지불승인이 필요한 전자지불 체계의 정보흐름
이 방법은 비대칭형 방식에 의해 지불자에게 전달된 일회성 비밀키로 암호화한 지불정보를 피지불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피지불자는 지불이 승인되었다는 정보를 확인한 후 거래상품을 전달하게 된다.
SET 상의 참여자 간 세부구성 전송 메시지 종류
지불금액의 실제 정산은 지불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처리된다.
인터넷 상의 신용카드에 의한 지불을 위해 1997년 제안된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 표준에서 여러 참여자, 즉 지불자(Payer, cardholder), 피지불자(Payee, merchant), 지불게이트웨이(PG), 인증기관 간에 정의한 전송 메시지를 참고하면 위의 표와 같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1.20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5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